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 시니어 비즈니스 진출 방안: 20개 유망품목 중심으로

  • 저자

    정도숙 등

  • 출처

    KOTRA

  • 발행일

    2019-07-16

  • 등록일

    2019-07-18

◦ (용어) 중국에서 고령친화산업은 ‘은발산업(=실버산업, 銀髮産業)’, ‘양로산업(養老産業)’, ‘노령산업(老齡産業)’, ‘노년산업(老年産業)’ 등으로 불리고 있음

* 실버산업의 정의: 노년층을 위한 상품과 서비스를 생산·판매 또는 제공하는 것을 목적하는 산업

- 예상치 못했던 빠른 인구 고령화로 최근에야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용어정의, 관련 품목, 발전패턴 등은 일본 등 선진국의 경험을 그대로 수용하거나 벤치마킹하는 초기단계임

◦ (분류) 실버 용품, 실버 서비스, 실버 부동산, 실버 금융 등으로 분류

- 용품은 △건강식품, △목욕용품 등 일용품, △보청기, 휠체어, 요양 침대 등 의료기기, △전자제품, △완구, △장례용품으로 구성

- 서비스는 △양로서비스, △의료/간호서비스, △관광/법률 서비스 등이 해당

- 부동산은 △실버타운, △양로복합단지, △건강요양 리조트(康養小鎭) 등을 개발·운영하는 산업을 의미

- 금융은 △장기요양보험·양로보험·고령자 의료보험 등 보험 상품과 △기타 노인 저축상품 등 금융상품을 지칭

◦ (노인 기준) 중국은 정년퇴직연령이 남성 60세, 여성 55세(생산직은 남성

55세, 여성 50세)이지만 국제적으로 노인 인구는 65세 이상을 기준으로 함

- 본 보고서에서 인용한 일부 현지 보고서 및 데이터에는 60세 이상을 노인인구로 지칭

◦ 본 보고서는 실버용품 관련 정부 정책, 수입규제, 유통채널과 아래 20개 품목의 주요 생산업체, 대리상 등을 조사

- 의식주, 여행, 의료, 오락/교육 등 분야의 소비상품과 서비스 수요에 따라 20개 유망상품·서비스 선정


<목 차>

Ⅰ. 중국의 인구구조 변화와 정책동향

Ⅱ. 중국의 시니어 비즈니스 동향

Ⅲ. 유망 품목(서비스)

Ⅳ. 진출 방안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