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 간의 경쟁이 군사, 무역, 기술 분야로 확대되면서 가속화되고 있음. 많은 논자들은 미중 경쟁이 앞으로 더욱 확대되고 심화될 것을 예견하고 있고, 양국의 국지적 충돌 가능성에 대한 우려마저 제기되고 있음.
미중 경쟁에 대한 논의에서는 양국의 상대적 힘의 변화와 이에 따른 국제체제의 구조적 변화에 초점을 맞추는 시각이 지배적이며, 이들 논의들은 주로 다음과 같은 현실주의 국제정치 이론적 시각에 기반하고 있음.
그러나 이러한 논의와 시각들은 ‘물질적 힘의 배분’의 변화 측면에만 논의를 집중함으로써 ▲국제체제 구조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강대국의 입장과 시각을 반영하고, ▲미국과 중국 간 이분법적 대립구조를 지나치게 강조하는 경향이 있으며, 따라서 이들 시각들이 ▲한국과 같은 비강대국들에게 시사하는 정책적 옵션은 제한적임.
<목 차>
1. 문제의 제기
2. 국제질서를 구성하는 두 개의 축 - ‘물질적 힘’과 ‘가치와 규범’
3. 국제 가치·규범질서의 변화 - 자유주의의 쇠퇴
4. 가치·규범 차원에서 중국의 도전과 ‘가치의 진영화’
5. 한국에 대한 함의와 정책적 고려 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