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현황] 금년 우리나라의 위안화 무역결제 및 원-위안화 직거래는 활발해진 반면, 자금조달 및 예치 수단으로서의 위안화 활용은 크게 위축되어 시장별 차별화 현상이 뚜렷
ㅇ (무역결제) 금년 상반기 對中 무역 중 위안화 결제가 68.4억달러 규모로 지난해 수준(67.4억$)을 유지하였으나, 對中 무역결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1%에서 역대 최고치인 5.7%로 상승
ㅇ (원-위안화 직거래) 일평균 거래량이 지난해 18.2억달러에서 금년 1-10월 23.2억달러로 크게 증가. 원달러 거래 대비 비율도 22.8%에서 역대 최대치인 33.2%로 상승
ㅇ (딤섬본드 및 위안화예금) 딤섬본드 발행이 1.5억달러 규모로 지난해 전체의 1/10 수준 으로 급감하였고, 위안화 예금도 미미한 수준으로 주요국과의 격차가 크게 확대
ㅁ [전망] 당분간 위안화 절하기대 심리 등이 국내 활용 확대를 제약하나, 한중의 실물경제 기반이 양호하므로 앞으로 중국의 자본시장 개방 폭이 커질 경우 점차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
ㅇ 우리나라는 주요 위안화 활용 추진국가에 비해 무역 및 FDI 등 실물경제 연관성이 높고, 중국정부의 제약도 거의 없어 무역결제가 향후 3~5년내 최대 2배 정도 증가할 가능성
ㅁ [시사점] 우리나라 기업 및 은행은 위안화 활용을 통해 자금(외환) 효율성을 제고하는 한편, 최근 활성화하고 있는 판다본드(본토내 외국인 발행 위안화 채권)를 중국 내수시장 진출 자금으로 활용하는 등 기회요인 확대 방안도 검토할 필요
ㅇ 근래들어 외국기업의 판다본드 발행이 활성화되고 있음에도 불구 우리기업의 발행은 전무
#보고서찾기-제목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