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시진핑 시기 중국 다자주의 외교의 변화:UN 전문기구의 사례를 중심으로

  • 저자

    김한권

  • 출처

    외교안보연구소

  • 발행일

    2020-04-03

  • 등록일

    2020-04-17

시진핑 지도부 등장 이후 중국의 외교정책에서 다자주의에 대한 논의와 개념들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는 중국의 대미정책에도 많은 영향을 주고받으며 점차 구체화되어 왔음.

-이 글에서는 ‘다자주의(multilateralism)’에 대한 정의와 이론적 배경을 먼저 간략히 살펴보고, 이러한 다자주의의 정의와 보편적 의미가 외교 정책과 활동에 적용된 것을 ‘다자주의 외교’로 구분하여 논의하였음.

이 글은 1949년 10월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나타난 중국의 다자주의 외교에 대한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시진핑 시기 나타나고 있는 중국 다자주의 외교의 변화와 특징을 분석해 보고자 함.

특히 이 글은 미·중의 전략적 경쟁 구도 하에서 점차 구체화되고 있는 중국의 다자주의 외교의 특징과 이를 통한 국제사회에서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UN 산하 ‘전문기구(specialized agencies)’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함.

이어 점차 치열해지는 미·중 간 전략적 경쟁 구도 하에서 중국의 다자주의 외교가 가지는 함의를 분석해 보고, 향후 미·중 간 상호 정책적 대응을 전망해 보고자함.

끝으로 이 글은 시진핑 시기 중국의 다자주의 외교가 한국에 대해 가지는 함의와 이에 대한 한국의 정책적 대응 방안을 논의해 보고자 함. 


<목차>

1. 들어가며

2. 중국 다자주의 외교의 역사적 배경

3. 시진핑 시기 다자주의 외교의 정책적 논의

4. 중국과 UN 전문기구의 사례

5. 한국에 대한 함의와 정책적 대응 방안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