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동북 3성 교역 현황
(교역) 2018년 기준 한국과 동북 3성과의 교역액은 122억 달러 수준으로 대중국 교역총액(3,132억 달러)의 3.9%를 차지
(수출) 우리나라의 對동북 3성 수출 품목은 자동차 부품, 탄화수소, 철강 등이며, 수입 품목은 석유, 합금강, 집적회로, 섬유제품, 자동차 등
(수입) 우리나라의 對동북 3성 수입 품목은 어류, 광천수, 쌀 등의 농식품과 집적회로, 석유제품, 철강 등
(평가) 우리나라와 동북 3성의 교역이 전체 對중국 교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낮은 편(2018년 기준 3.9%)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교역은 비활성화
2. 한·동북 3성 투자 현황
(투자) 1992~2019년(누계) 한국 對동북 3성 직접투자액은 56억 8,000만 달러 수준으로 한국 對중국 직접투자 총액의 8.2%를 차지
(애로사항) 對동북 3성 투자가 미미한 이유는 현지 수요 부진, 인건비 상승, 규제강화, 경쟁력 약화, 사드 여파 등의 경영애로 사항이 존재
(평가) 동북 3성 대외투자 환경 악화, 사드 사태 등으로 우리나라의 對동북 3성 직접투자는 미진한 편
3. 한·동북 3성 협력 확대 방안
기존 전통산업 중심의 한·중 수직적 분업구조 형태의 협력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새롭게 창출되는 동북 3성 지역의 수요에 주목하여 한·중 간 새로운 산업협력방안 모색 필요
(동북 3성 대외개방 정책 활용) 新동북진흥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신산업 투자 및 육성 정책, 자유무역시범구 등에서 한·중 협력방안 발굴
(중한국제협력시범구) 지린성 창춘(長春)에 중국 국무원에서 승인한 중한국제협력시범구가 설립되어 동북 3성의 협력 거점으로 활용할 필요
(중국 신형인프라 투자기회 활용) 향후 5년간 중국의 주요 산업정책이 될 ‘신형인프라(新基建)’ 투자기회를 주목하고, 향후 동북 3성과의 협력기회 발굴 필요
(남·북·중 협력 강화) 중국의 대북 투자가 확대되고 있는 단둥, 훈춘, 옌볜 지역에 주목하고 남·북·중 협력방안을 발굴
<목 차>
1. 한·동북 3성 교역 현황
2. 한·동북 3성 투자 현황
3. 한·동북 3성 협력 확대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