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스플레이산업의 범위와 의의
디스플레이는 반도체와 더불어 전자정보산업의 발전을 견인하는 산업이자 미래 경제 성장 동력으로서 매우 중요
□ 중국 디스플레이 패널 및 수요처 생산 현황
세계 디스플레이 패널 시장은 한국, 중국, 대만, 일본의 4강 구도가 형성
2010년 이후 중국 정부가 조 단위의 자금을 디스플레이산업에 투자하고 중국 내 TV, 휴대폰 등 디스플레이 단말기산업이 발전하면서 중국 기업의 LCD 패널 생산 능력이 확대
중국은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LCD)와 플렉시블 AMOLED 생산라인에도 기업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의 생산 규모는 컬러 TV와 휴대폰 등 주요 수요제품의 생산량으로도 파악 가능
2019년 기준 중국 내에서 컬러 TV와 휴대폰 생산량이 가장 많은 지역은 광둥성으로, 컬러TV 생산량 2위 지역인 안후이(安徽)성과 휴대폰 생산량 2위 지역인 허난(河南)성과는 큰 격차
□ 중국 디스플레이산업 주요 정책
중국 디스플레이산업 정책은 디스플레이를 직접 다룬 정책과 국가 경제 발전 5개년 계획이나 차세대 전자정보기술, 과학기술혁신 등의 범위 내에서 디스플레이 관련 내용을 언급한 정책으로 분류 가능
또한, 초고화질 영상산업과 같이 디스플레이를 통해 구현되는 서비스산업 발전 정책에서도 디스플레이산업의 발전 목표를 제시
중국 정부는 산업육성정책 이외에도 중앙 및 지방정부 차원에서 대규모 자금 투입을 통해 중국 디스플레이산업의 발전을 강력히 지원
<목 차>
1. 디스플레이산업의 범위와 의의
2. 중국 디스플레이 패널 및 수요처 생산 현황
3. 중국 디스플레이산업 주요 정책
4. 중국의 주요 디스플레이 기업의 발전 현황
5. 결론 및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