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세계적으로 기후 변화에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 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를 달성하기 위해 녹색 저탄소 순환 경제로의 전환을 강조하면서 탄소중립, 녹색 성장, 녹색산업 등이 주목받고 있음.
- 세계 각국은 국내경제를 발전시키기 위한 새로운 성장동력의 확보와 환경보호를 동시에 추구하는 경제 패러다임을 채택
- 녹색산업은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면서 새로운 비즈니스모델과 기회를 창출할 수 있어 세계 각국이 치열하게 경쟁을 벌이는 미래 유망산업 분야로 부상
○ 중국에서도 관련 논의는 예전부터 있었으나, 2010년대에 접어들면서 생태 문명 건설이 강조되고 녹색 성장을 위한 강력한 산업 기반과 기술이 필요해지면서 논의가 더욱 활발해지는 양상
- 2012년 11월에 열린 제18차 당 대회1)에서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녹색 발전, 저탄소 발전, 순환 발전을 통한 생태 문명의 건설을 강조하기 시작2)하면서 생태 문명이 중국 경제와 사회전반의 키워드로 부상
- 2017년 10월에 열린 제19차 당 대회에서는 녹색 저탄소 분야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을 육성하고, 녹색산업의 핵심으로 에너지절약·환경보호산업, 청정생산산업, 청정에너지산업을 발전시킬 것을 제시
- 2018년에는 정부 조직 개편을 통해 기후 변화, 유해 물질 배출 감소, 해양 환경보호 등의 문제 대응과 관련하여 여러 부처에 분산되어 있던 기능을 통합하여 생태환경부를 신설
- 시진핑 국가주석이 2020년 9월 제75차 유엔(UN) 총회에서 2030년 이전 탄소 배출정점 도달과 2060년 이전 탄소중립 달성을 선언하고, 2021년 4월 기후정상회의에서는 녹색 저탄소 발전을 견지할 것이라 밝혀 이러한 흐름은 계속 강화될 전망
<목 차>
1. 녹색산업의 발전 배경
2. 중국 녹색산업의 범위
3. 중국 녹색산업의 발전 현황
4. 중국 녹색산업 관련 주요 정책
5.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