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환경보호 정책 동향
○ (주요 목표) 오염방지·생태건설 강화 및 환경품질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생태환경관리 역량을 확대하며, 탄소 배출 감소 및 탄소중립 관련 작업 수행 등을 포함
○ (산업 확대) 2021년 중국 정부업무보고에서 에너지 절약, 환경보호 관련 기업에 대해 소득세 우대를 확대하고, 환경보호 기술·설비·제품과 관련 연구·개발·적용 촉진 등을 명시하여, 향후 환경보호 및 신에너지산업을 지원할 예정
○ (환경보호) 푸른 하늘 보위전, 맑은 물 보위전, 깨끗한 흙보위전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PM2.5 및 오존(O3) 공동 제어를 추진하며,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의료폐기물 관리를 강화하는 추세
○ (14.5 규획) 14.5 규획(2021~2025년) 환경 관련 중점 추진 분야는 에너지소모 및 탄소 배출 감소, 기후변화대응 국제협력 강화, 중오염(AQI 201~300) 날씨 및 도시 흑취수체 제거 등을 포함
○ 중국정부는 “2030년 이전 탄소 배출 감소 행동방안”을 제정하고, 2060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정책과 조치를 강화할 예정
○ (배출 감소) 2020년 12월 유엔 기후 정상회의에서 시진핑 주석은 2030년까지 중국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05년 대비 65% 이상 줄이고, 1차 에너지(석탄, 석유 등 천연상태에서 얻을 수 있는 에너지) 소비에서 비화석 에너지(재생, 원자력 등)가 차지하는 비중을 25%로 확대할 것이라고 천명
□ 중국 환경보호산업 동향
○ (시장 현황) 중국 환경보호산업은 2020년 2조 위안, 종사자 수는 2018년 350만 명으로 추정
○ (주요 특징) 소기업이 많고 대기업이 비교적 적은 것이 특징이며, 선진국에 비해 여전히 발전 속도가 늦어 성장 가능성이 큰 시장으로 전망
○ (기업 현황) 2018년 중국 환경보호 관련 기업은 약 2만 7,000개로, 그중 상장기업은 100여 개 이상이며, 시가총액은 1조 1,000억 위안
○ 중국 환경보호 기업 구성은 소기업 36%, 초소형기업 35.5% 등 소기업이 71.5%를 차지
<목 차>
1. 중국의 환경보호 정책 동향
2. 중국 환경보호산업 동향
3. 환경산업 분야별 시장 동향
4. 최근 환경이슈 관련 전망
5.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