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경제 리스크 요인 및 국내 영향

  • 저자

    이지현, 장한익

  • 출처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

  • 발행일

    2022-05-23

  • 등록일

    2022-06-17

IBK 기업은행 경제연구소는 중국 리스크 요인이 국내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Global VAR 충격반응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중국경제 급랭이 우려되는 가운데, 다양한 리스크 요인 상존

- 지난해 하반기 이후 이어진 부동산 침체와 비용 상승 리스크가 지속되며 중국경기 둔화와 글로벌 인플레이션을 심화시킬 가능성 고조

- (중국내 영향) 중국경제의 주요 리스크 요인인 ①부동산 침체, ②비용 상승으로 인한 충격은 중국 경제성장률 하락 및 수출물가 상승 등으로 이어짐

- (국내경제 영향) 중국 리스크 요인으로 인한 ①경제성장률 하락 및 ②수출 물가 상승은 국내경제에 하방 압력을 주고 물가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추정

- [시사점] 고도성장을 거듭했던중국경제의 성장세가 다양한 리스크 요인들로 둔화되며 한국경제에 나타날 직간접적 영향에 대응할 필요

- [시사점] 현지진출 기업 및 국내 기업은 불확실성이 큰 중국의 경제환경 변화 및 국내 영향에 빠르고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역량 강화


<목 차>

1. 중국경제 주요 리스크

2. 중국 리스크 요인의 영향 분석

3. 시사점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