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산업의 발전 배경과 중요성
□ 에너지 전환은 탄소중립 실현의 관건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국제사회의 탄소중립 노력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에너지 부문은 4대 온실가스 배출원(에너지 전환·산업·수송·건물) 중 온실가스 배출량이 가장 많은 부문으로서 녹색 저탄소 전환이 시급
○ 태양에너지는 햇빛을 활용하여 전력을 생산하기 때문에 고갈될 염려가 없고, 세계 여러 국가에서 이미 관련 기술이 상용화 단계에 있어 21세기 에너지 패러다임 변화를 주도하는 신재생 에너지원
□ 중국 에너지 안보 신(新)전략 추진과 신산업의 육성
○ 2014년 6월 시진핑(习近平) 중국공산당 총서기는 중앙재경영도소조 제6차 회의에서 에너지 안보 신전략을 제기하고 에너지 생산 및 소비 구조의 개혁 의지를 피력
○ 중국의 발전량 구조는 여전히 화력발전에 대한 의존도가 높지만, 태양에너지 발전, 풍력발전, 원자력발전, 수력발전이 차지하는 비중이 꾸준히 증가
○ 2022년 1월 시진핑 총서기는 탄소 배출정점(탄소피크) 및 탄소중립 목표 실현을 위해 진행된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제36차 집단학습5)에서 태양에너지, 풍력에너지, 수소에너지 등 신에너지의 발전 가속화를 강조
○ 중국 국무원은 2010년 태양광산업을 포함하는 신에너지산업을 7대 전략적 신흥산업으로 지정하고, 태양광 기술의 보급과 이용, 태양광 시장의 확대 등에 중점을 두고 태양광산업 육성을 본격화
<목 차>
1. 태양광산업의 발전 배경과 중요성
2. 중국 태양광산업의 발전 현황
3. 중국 태양광산업 관련 정책
4. 결론 및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