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2024년 수출전망 및 지역별 시장여건

  • 저자

    황성운 외

  • 출처

    KOTRA

  • 발행일

    2023-12-19

  • 등록일

    2024-01-04

□ (총괄) ’24년 우리 수출은 글로벌 교역 여건이 개선되며 증가세 회복 전망

◦ 세계 IT경기 회복으로 인한 반도체 관련 품목의 수출 증가가 예상되며친환경 자동차‧기계 또한 견조한 수요에 수출 성장세 유지 전망

◦ 세계 교역 및 아시아 교역의 개선 흐름이 수출 상방 요인으로 작용

◦ 반면, 지정학적 불안과 미-중 경쟁, 중국 경기회복 둔화 등 대외 불확실성증가로 수출 하방 압력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


□ (권역) 중국‧아세안 수출 회복, 북미‧EU는 소폭 증가세 전망

◦ 중국의 내수 부진 등 불확실한 대외여건에도 불구하고 아세안 신흥국성장 흐름과 경기부양책에 따른 수입 수요 확대 예상

◦ 미국‧EU 친환경차, 프리미엄 전자‧통신기기 수요 증가, 친환경 인프라투자 확대 등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소폭 증가 예상


□ (품목) 소비위축 등 불확실성 장기화로 주력 품목 수출 증가 둔화

◦ (주력) 프리미엄 디지털기기, 무선통신기기 등 글로벌 ICT 품목의 수요회복, 자동차‧기계 품목의 견조한 수요를 바탕으로 수출 증가 예상

◦ (신성장) AI산업 확대에 따른 HBM(High Bandwidth Memory), 고용량 스토리지 등고부가가치 메모리 반도체를 중심으로 관련 품목의 수출 신장 예상

◦ (中企품목) 전 세계적인 한류 문화와 K-콘텐츠 확산으로 의류 및 문화콘텐츠, 화장품‧식품 등의 소비재 수요 확대 예상


<목 차>

제1장 2024 세계 경제·교역 전망

제2장 2023 한국 수출 평가

제3장 2024 한국 수출 전망

제4장 지역별 시장 여건 및 전망

제1절 북미    

제2절 중국    

제3절 EU    

제4절 일본    

제5절 ASEAN·대양주

제6절 인도    

제7절 중동    

제8절 중남미    

제9절 CIS    

제10절 아프리카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