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우리나라의 위안화 활용 현황 및 시사점

  • 저자

    이치훈,김기봉

  • 출처

    국제금융센터

  • 발행일

    2024-10-22

  • 등록일

    2024-11-04

ㅁ [현황] 금년 우리나라의 위안화 활용은 무역결제 측면에서 역대 최대수준을 기록한 반면 자금조달 등 금융 거래는 위축되어 시장별 차별화 현상이 뚜렷

ㅇ (무역결제) 금년 상반기 對중국 무역 정체에도 불구, 위안화 결제는 142.8억달러 규모로 전년동기대비 10.3% 증가. 위안화 결제 비중도 역대 최고치인 10.8%를 기록

ㅇ (원-위안화 직거래) 일평균 거래량이 작년 33.7억달러에서 금년 1~10월 23.3억달러로 30.9% 감소. 원-달러 거래 규모 대비 비율은 22.0%<그림3>

ㅇ (딤섬본드) 금년 1-9월 중 딤섬본드(홍콩내 외국인발행 위안화 채권) 발행은 중국 부동산發 신용 불안 등에 따른 시장 위축으로 전년동기대비 46.1% 감소


ㅁ [전망] 향후 부동산시장 위축 등 중국경제의 불안이 위안화 활용의 제약요인으로 작용하나, 중국의 자본시장 개방 확대 등으로 위안화의 활용 규모와 범위가 서서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

ㅇ 우리나라의 위안화 무역결제 규모가 `30년까지 2배 정도인 550억달러 규모로 늘어나고, 활용 경로도 직접투자(FDI·ODI), 무역금융 등으로 점진적으로 다변화될 가능성

ㅇ 미중의 상이한 통화정책 등으로 국내은행의 위안화-달러화간 환가료율이 역전된 이후 금년 10월에는 격차가 2.3%p(CNY 4.3% < USD 6.6%)로 확대되어 위안화 조달 비용도 크게 하락


ㅁ [시사점] 우리나라는 국내 위안화 활용 확대 가능성을 염두해 두고 금융 효율성을 제고 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 중장기적으로는 위안화의 국제화 진전이 글로벌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에도 유의

ㅇ 최근 우라나라의 對중국 위안화 무역결제 급증에도 불구하고, 중국 본토내 위안화채권(판다본드) 발행은 전무하여 글로벌 기업의 발행 급증 트랜드와 대조

 –   특히 중국 진출 기업(은행)의 경우 중국내 자금 조달을 통한 비즈니스를 추진할 필요

ㅇ 다만 중국의 자본시장 개방 및 위안화의 대외 사용 확대는 글로벌 금융시장이 중국 경제와 정책 변화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소지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