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와 한국 철강산업 대응방안

  • 저자

    이윤희

  • 출처

    포스코경영연구원

  • 발행일

    2025-04-28

  • 등록일

    2025-05-16

자유무역의 수혜 속에서 성장해 온 한국철강산업은 강성 리더의 복귀로 세계경제 규칙이 붕괴됨에 따라, 새로운 국제질서에 대한 대비가 필요

미국은 자국 중심의 질서 재편을 기대. 한편, 脫세계화와 다자주의 균열로 국제질서는 ‘가치와 규범’에서 ‘힘과 거래’로 이동하며 경제안보에 최우선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속에 글로벌 철강산업도 격랑의 한 해가 예상되며, 중국의 수출공세와 미국의 관세공격에 따른 강대강 충돌은 격화될 전망

(중국 수요정체) Peak China 현실화, ’20년을 정점으로 마이너스 성장

과잉생산 물량을 밀어내기 수출로 해소, 저가 공세로 글로벌 철강시장 교란

(트럼프발 관세전쟁) 동맹국과 적대국을 막론한 25% 철강관세 부과

철강 외 2차제품까지 확대, 자동차/부품 25% 관세부과로 공급망 재편 촉발

(보호주의 도미노) 수입재 차단과 자국산업 육성 위한 보호·지원 강화

세이프가드 등 무역구제 강화와 탄소장벽 도입 및 제조업 재건 정책 수립


한국 철강산업은 새로운 국제질서의 도래로 대내외 도전에 직면한 상황. 수요침체와 수입증대로 생산기반이 약화되고, 핵심제품의 시장잠식 가속

국내 수요는 10년 전보다 20% 소멸, 국내 생산은 ’18년 이후 13% 감소

품목관세·상호관세로 직접수출과 간접수출까지 타격을 받아 위협에 직면


한국 철강산업은 제조업의 근간으로서 복합위기를 전향적으로 대응하여, 새로운 국제질서 속에서도 흔들림 없이 경쟁력을 지켜가는 것이 필요

(시장질서 정상화) 국산 철강재의 공정한 경쟁 여건 조성

수입모니터링제도 신설, 원산지규정 및 우회덤핑 강화, KS품질기준 상향

(통상리스크 최소화) 주력시장 안정화로 통상에 민감한 산업구조 개선

상대국 니즈 변화에 적극 대응, 파트너십 구축(에너지, 친환경, 방산 등)

(산업생태계 강건화) 경제안보 강화와 국내 수요 창출

국산재 활용 확대와 상생방안 개발 및 관련 정책지원 수립

(저탄소 기술개발 가속) 지속가능한 생산방식 확보

저탄소 철강재 기준을 수립, 수소환원제철 예산 확보, 전문인력 양상


<목차>

1. 세계경제의 新국제질서

2. 글로벌 철강 통상환경 변화

3. 한국 철강산업의 현주소

4. 철강산업의 중요성과 역할

5. 한국 철강산업의 대응방안

6. 종합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