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동남아시장 진출 확대의 영향과 대응
○ 중국 전자산업의 대동남아 진출 동향 ·최근 동남아 5개국의 수입비중 추이를 보면, 미국, 일본은 점차 감소하고 있는 반면 중국은 증대되고 있음.
- 1996-2000년 동남아 5개국의 수입액 가운데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3.9%에서 5.5%로 높아진 반면, 미국(1994년 20.0% → 2000년 18.2%)과 일본(1994년 29.1% → 2000년 24.6%)으로부터의 수입비중은 감소추세
- 특히 2001년 1-10월 중국의 대동남아 5개국 전기·전자제품 수출액은 413억 달러로 매년 20% 이상의 높은 증가율을 보임. ·태국 ... 고가 대형 가전제품은 일본산과 한국산이 주류를 이루며, 소형 가전과 저가 VCD 등 일부 품목에 한해 중국제품이 판매되고 있음. 특히 소형 가전제품은 가격우위를 기반으로 점차 시장점유율이 확대되고 있음. ·인도네시아 ... 컬러TV를 중심으로 중국 가전제품 시장점유율이 크게 확대되고 있으며, 최근 창훙(長虹) 등 중국 가전기업이 시장점유율 확대를 추진중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 전자산업이 상당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어 중국 가전제품의 시장점유율 확대가 상대적으로 더디게 나타남. 이는 아직까지 중국이 열세인 전자부품 생산에 높은 기술력을 갖고있기 때문.
○ 중국
- 아세안간 경제협력 강화 움직임과 우리의 대응 ·원부자재 및 부품 생산기지 이전을 통한 가격경쟁력 확보 ·노동집약적 공정을 요하는 완제품 및 부품산업은 중국에서 생산하고, 기술집약적 공정을 요하는 품목은 국내에서 생산함으로써 가격 및 기술경쟁력을 동시에 제고
- 최근 중국 가전기업이 동남아 시장에서 직접투자를 통한 현지생산을 꾀하고 있으나, 부품은 자국 또는 한국, 일본에서 조달하는 조립생산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이들 가전기업에 부품을 공급하는 전략 강구 ·동남아 시장에서의 애프터서비스 및 영업 네트워크 구축 등 비가격 경쟁력 강화 ·중국기업과의 경쟁보다는 상호협력을 통한 윈-윈 전략 구사
- 중국기업의 경쟁력이 커지고 있는 저가 가전제품은 중국기업에 위탁 생산하고, 국내기업은 첨단 가전제품 위주로 시장 공략 - 부품 조달선을 중국기업으로 전환해 제품생산 원가를 낮춤
- 중국기업과의 동반진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