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에 적합한 마케팅전략 7

  • 저자

    김혜진

  • 출처

    LG경제연구원

  • 발행일

    2002.05.08

  • 등록일

    2003-09-02

○ 중국에 적합한 마케팅전략 7

 1. 중국 소비자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시장 세분화 변수를 선별하라 ·인구통계학적 변수, 사회심리학적 변수, 고객 편익, 제품에 대한 사용이나 태도 등 일반적으로 마케팅에서 이용하는 시장 세분화 변수가 중국 시장에서는 잘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정확한 시장조사가 선행되어야 함.

2. 명확한 포지셔닝 전략을 바탕으로 일관된 세부 전술을 수행하라 ·Christian Dior, Lancome ... 시장은 작지만 수익성 높은 최고가 시장에 집중 ·Shiseido ... 중고가 시장을 타겟으로 Aupress라는 중국브랜드 출시, 중산층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확산 ·P&G ... 저가 시장을 타겟으로 Olay라는 중국브랜드 출시, 외국 브랜드이면서도 저렴해 인기 확보

3. 중국향 브랜드 네이밍 전략이 효과적이다 ·중국인들은 영문 브랜드보다 중문 브랜드를, 의미없이 유사한 발음을 차용한 외국 브랜드보다 원음과는 다르더라도 뜻이 있는 중국식 브랜드를 선호

4. 국가 및 기업 브랜드 이미지 효과를 이용하라 ·중국인들은 상품 선택시 개별 브랜드 뿐만 아니라 기업 브랜드, 나아가 국가 브랜드까지를 구매의사결정에 반영하므로, 중국인들이 가지고 있는 한국의 긍정적 국가 이미지와 제품, 기업 브랜드 이미지를 결합

5. 제품별, 타겟별로 광고 매체를 차별화하라 ·중국 시장에서는 소비재와 내구재, 고가와 저가 제품에 따라 매체별 광고 효과가 매우 상이. 중국 TV는 중저가 소비재 광고가 대부분. High-end 브랜드는 잡지를 이용하는 것이 고급 이미지를 유지하면서도 높은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음.

6. 구전과 제품 사용 경험을 마케팅 활동에 적극적으로 반영하라 ·중국에서는 구전과 제품 사용 경험이 매우 중요하므로, 구전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오피니언 리더에 제품을 협찬하는 전략 검토 가능. 또한 시제품 행사나 견본품을 이용한 판촉활동 등도 적극 활용

7. 현지 직원의 마케팅 아이디어를 적극 수용하라 ·중국 현지 직원의 중국향 마케팅을 적극 개발·활용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