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 의류산업과 한·중간 의류교역동향 분석

  • 저자

    김혜진

  • 출처

    한국무역협회

  • 발행일

    2001.02.26

  • 등록일

    2003-09-03

"9·5"기간(1996-2000)중 중국의 의류산업은 연 평균 5.5% 속도로 성장했다. 그러나 중국의 의류산업은 경쟁이 치열한 데다 성장 속도도 "8·5"기간의 연 평균 21%에 비해 크게 둔화 되었다. 그간 수출에 많이 의존했던 중국의 의류산업은 아시아 금융위기에 따른 국제시장 수요의 급감으로 1997년 하반기부터 1999년 상반기까지는 부진을 면치 못했다. 또 동일 품종 및 동일 수준의 제품 생산에 집중되어 기업간 경쟁이 치열하고 제품의 부가가치가 낮다.


중국 의류시장은 신상품, 계절상품 할인이 보편화되어 있고, 여성의류와 캐쥬얼복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특히 아동복의 가격 수준 높다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중국은 향후 동부지역은 고부가가치제품의 수출산업을 중점 육성, 제품개발과 디자인·정보센터를 건설하고, 중서부지역은 자원 우위에 대비해 노동집약형 산업을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중서부지역의 캐시미어 등 특정 원자재를 이용한 산업도 적극 육성할 예정이다. 또 수출 의류의 원단 자급율을 80%에 이르게 하는 동시에, 화섬 자급율도 90%에 이르게 한다는 계획이다.


한국에서는 저가 중국산 섬유가 국내시장을 잠식하고 있으며, 섬유업계에서는 중국산 제품에 내수시장 기반을 완전히 잠식당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