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 제조업의 공급과잉 현상과 우리의 대응

  • 저자

    김혜진

  • 출처

    한국수출입은행

  • 발행일

    2002.05

  • 등록일

    2003-09-02

□ 중국 제조업 부문의 공급과잉의 현황과 원인

○ 최근 국가경제무역위원회는 올 상반기에 600여개의 품목(공산품 466종, 농수산물 134종) 중에서 86.3%인 518종이 공급초과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수요초과 품목은 전무하다고 발표. 현재 우리나라 기업들이 활발하게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가전 분야의 경우, 일부 첨단 제품 외에는 거의 대부분의 제품이 공급과잉 상태

○ 제조업의 생산능력 증대
·1990년대 중반 이후 중국의 제조업 생산능력이 급격히 확대. 소비재 생산의 급증으로 기업간 경쟁이 심화되고 제품가격 인하 압력이 커짐.
·외국인 투자기업의 중국 진출 목표가 점차 수출에서 내수시장 공략으로 전환

○ 소비재 수요 포화
·도시 지역의 내구소비재 보급률이 이미 포화상태에 이르러 추가적인 소비증가 여력이 크지 않음. 또한 중국의 높은 경제성장이 중서부 내륙 및 농촌 지역의 소득 증대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어, 농촌의 소비진작에는 한계가 있음.

○ 수출증대 효과의 한계
·중국의 주력 수출품목은 여전히 신발, 의류, 완구 등 경공업 제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반해, 공급과잉 현상은 경공업 제품뿐만 아니라 가전, 화학제품 등 거의 전 산업 분야를 망라

□ 중국 정부의 소비촉진 정책

○ 금리 인하
○ 농촌 지역의 구매력 증대를 위해 다양한 정책 추진(호구제 완화, 준조세 철폐·인하, 전기료 인하, 서부대개발 등)
○ 적극적인 확대 재정정책 추진
○ 기업 구조조정을 통한 생산량 감축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