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1990년대 후반 이후 상하이의 국제화가 빨라지면서 점차
상하이가 홍콩의 기능을 대신할 것이라는 견해가 대두됨.
ㅁ 그러나 홍콩무역발전국은 상하이와 홍콩은 경쟁적이기보다는
상호 보완성을 높여 중국경제를 선도하는 양대축으로써 발전할
것이라고 분석함.
1. 무역 및 운송중심지 기능
- 상하이는 창쟝(양자강) 유역의 화중, 화베이 지역의 관문
역할을 맏는 반면, 홍콩은 주쟝(주강) 유역의 광둥성 등 화남
지역의 무역 및 운송중심기지로 발전.
2. 금융중심지 기능
- 중국의 상하이에 대한 국제금융센터로의 육성을 위해 노력
- 홍콩은 아시아 지역 금융중심지 역할 외에 대중국 투자자금
의 창구기능을 강조하는 상호 보완성을 유지해 나갈 것임.
3. 다국적기업 거점기지로서의 기능
- 최근 아시아 지역본부를 홍콩에서 상하이로 이전하는 다국적
기업이 부분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홍콩은 여전히 자유로운
기업 환경 등 소프트웨어적 인프라 우위를 확보함으로써
아시아 지역 후보지로 각광받을 것임.
ㅁ 향후 전망
- 국제금융, 무역중심지로 부상하기 위해서는 상업인프라 구축,
관련 분야 인적자원 진입이 용이해야 하나 상하이는 아직 초기
단계임.
- 결국 현재 상하이와 홍콩의 기능은 경쟁적이기 보다는 보완성
이 강하며, 다만, 15-20년후 상하이의 국제화가 진전되면서
점차 홍콩과 경쟁하게 될 것임. 끝.(총8쪽)
상하이가 홍콩의 기능을 대신할 것이라는 견해가 대두됨.
ㅁ 그러나 홍콩무역발전국은 상하이와 홍콩은 경쟁적이기보다는
상호 보완성을 높여 중국경제를 선도하는 양대축으로써 발전할
것이라고 분석함.
1. 무역 및 운송중심지 기능
- 상하이는 창쟝(양자강) 유역의 화중, 화베이 지역의 관문
역할을 맏는 반면, 홍콩은 주쟝(주강) 유역의 광둥성 등 화남
지역의 무역 및 운송중심기지로 발전.
2. 금융중심지 기능
- 중국의 상하이에 대한 국제금융센터로의 육성을 위해 노력
- 홍콩은 아시아 지역 금융중심지 역할 외에 대중국 투자자금
의 창구기능을 강조하는 상호 보완성을 유지해 나갈 것임.
3. 다국적기업 거점기지로서의 기능
- 최근 아시아 지역본부를 홍콩에서 상하이로 이전하는 다국적
기업이 부분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홍콩은 여전히 자유로운
기업 환경 등 소프트웨어적 인프라 우위를 확보함으로써
아시아 지역 후보지로 각광받을 것임.
ㅁ 향후 전망
- 국제금융, 무역중심지로 부상하기 위해서는 상업인프라 구축,
관련 분야 인적자원 진입이 용이해야 하나 상하이는 아직 초기
단계임.
- 결국 현재 상하이와 홍콩의 기능은 경쟁적이기 보다는 보완성
이 강하며, 다만, 15-20년후 상하이의 국제화가 진전되면서
점차 홍콩과 경쟁하게 될 것임. 끝.(총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