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지역 불균형적 발전 전략에서 벗어나 서부대개발의 기치아래 전국적인 균형발전을 꾀하고 있다. 이러한 경제발전을 이루기 위해 중국정부는 전국적인 규모의 사회 간접자본의 구축을 우선 추진하고 있다. 중국이 벌이고 있는 주요 사회간접자본 구축 프로 젝트들을 살
펴본다.
1.대륙을 가로지르는 송전프로젝트:서부 전력의 동부지역으로 송전(西電東送)중국의 수자원분포는 불균형이 심한 상황이다. 수력발전으로 개발 가능한 자원 중 90%가 중국의 서남부, 중남부 및 서북지구에 집중되어 있는 사실이 이를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수력발전 자원의 분포와 전력사용 분포간의 불균형은 객관적으로 수력발전의 개발과 이용을 제한하고 있다. 경제발달지역과 미발달 지역간의 상호 유리한 분야를 보충하기 위해 이미 오래전에 중국국무원은 “서부 전력을 동부지역으로 송전한다는 이른바 서전동송 (西電東送)”프로젝트를 실시키로 결정하였었다. 관련 부문의 계획에 따르면 전력송전 프로젝트는 3개의 주요 송전망 형성을 목표로하고 있다.
1)남부송전망
꾸이쩌우(貴州)성의 우강(烏江),윈난(雲南)성의 란창강(瀾滄江)과 꽝시(廣西)-윈난-꾸이 쩌우 세지역의 접경지인 난판강(南盤江),뻬이판강(北盤江),홍수이하(紅水河)의 수력발전자원 및 꾸이쩌우,윈난 두 성(省) 광산지역 화력발전소의 전기에너지를 개발하여 꽝뚱(廣東) 지
역으로 송전하는 전력망 형성.
2)중부송전망
삼협과 진샤강(金沙江) 지류의 수력발전을 주로 화동지역(상하이,지앙쑤,저지앙 등)으로 송전하는 전력망 형성.
3)북부송전망
황하 상류의 수력발전과 산시(山西).내몽고(內蒙古) 광산지역의 화력발전을 베이징.천진. 당산 지역으로 송전하는 전력망 형성. 현재 이러한 서부지역의 전력 송전 프로젝트는 초보적인 단계지만 어느 정도 형성단계에 접어들었다. 지난해 11월 아래 7개의 주요 송전망 형성 공사를 시작하였다.
①꾸이쩌우(貴州)성 홍지아뚜(洪家渡) 수력발전소
②꾸이쩌우성 인쯔뚜(引子渡)수력발전소
③ 우지앙뚜(烏江渡) 수력발전소 확충
④ 티엔셩챠오(天生橋)-꽝뚱 간 제3차 500KV 교류 송전선 공정
⑤충칭(重慶) 완현(萬縣)-삼협발전소 간 500KV선로공사
⑥윈난성 슈엔웨이(宣威) 화력발전소
⑦윈난성 빠오펑(寶峰)-루어핑(羅平)간 500 KV 교류 송전 선로 공정
중국정부는 전력 송전 프로젝트를 순조롭게 진행하기 위하여 송전망 건설에 온 힘을 기울이고 있다. 2000년부터 중국국가전력공사에서 인민폐 300억을 연속 투입하여 삼협송변전 공정 및 동북-화북,서북-화중,화중-화북,쓰촨충칭-서북,푸지엔(福建)-화동,산동-화북 등 7대
지역간 송전망 공사를 추진하였다. 10차5개년 계획기간(2001-2015년간)중국정부는 남부송전망 건설에 중점을 둘 예정이다.
2.남부의 수자원을 북부로 공급하는 프로젝트(南水北調)
중국의 수자원은 그 분포가 극히 불균형적이다. 북방은 건조.반건조 지역에 속하며 황하. 회하 유역의 일인당 수자원은 전국 평균수준의 1/5,세계 평균수준의 1/16에 불과한 중국에서 수자원이 가장 부족한 지역이다. 이러한 북방지역의 수자원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 해
중국정부는 50년대 이래 남부의 수자원을 북부로 공급해주는 프로젝트에 대해 조사 및 타당성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우선 동부지역의 남과북을 연결하는 방안이 제기 되었으며, 80년대 중반에는 중부지역의 남북을 연결하고 그 후에 동부지역을 연결하려는 순
차적인 건설방안이 제기되었다.
남수북조의 수자원 공급 프로젝트는 양자강을 중심으로 양자강의 상류-중류-하류로 각각 남부의 물을 북으로 끌어간다는 즉 '서부라인 공사(西線工程)'-'중부 라인공사(中線工程)' -'동부라인 공사(東線工程)'의 세 공사로 구성되어있다.지난해 11월 '남수북조'공정회 좌담회에서 중국지도부가 수자원절약, 수질오염방지,환경보호등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면서 남수북조 공정을 시행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어 단순한 수자원 연결 차원을 넘어선 공사임을 명확히 하였다는 것도 동 프로젝트의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다.
현재 관련 프로젝트는 단계적으로 시행에 들어갔다.
1)동부라인 공사
양자강 하류의 양쩌우(揚州),지앙뚜(江都)구역에서 13단계의 물을 끌어올리는 계단형 설비와 황하 하상의 지하도를 통해 양자강의 물을 북방의 티엔진 및 허뻬이(河北)성 지역으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동부라인공사는 주로 황하.회하.해하(海河) 평원 동부지역의 물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공사로 주요 간선의 길이는 1,150km에 달한다.
2)중부라인 공사
양자강 호북성의 딴지앙커우(丹江口) 저수지의 물을 베이징으로 공급하는 공사이다. 주로 베이징, 티엔진 및 베이징-꽝쩌우 간 철도에 연해있는 도시들의 물 사용과 화북지역의 환경 용수 및 농업용수로 사용될 전망이다. 주요 간선의 길이는 1,240km이다.
3)서부라인 공사
현재 계획으로는 따뚜하(大渡河),야롱강(雅 江),통티엔하(通天河)에서 150억입방미터에 달하는 물을 황하 상류로 끌어들여 주로 닝시하(寧夏),내몽고(內蒙古),산시(陝西),산시(山西) 지역에 물을 공급한다.
3.대륙횡단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공사(西氣東輸)
중국 서부는 천연가스 자원이 비교적 풍부한 지역으로 전국 천연가스 총자원의 60%를 차 지하고있다. 특히 신쟝(新疆)의 타림분지 지역이 중심 저장지역으로 전국 천연가스 자원 총량의 22%를 차지하고있다. 그러나 서부지역 자체에서는 이 자원에 대한 수요가 별로 크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심각한 수급의 불균형은 관련 지역의 천연가스를 경제가 발달하여 수요 가 많은 동부지역으로 공급한다는 프로젝트의 현실적인 기초가 되고 있다. 중국정부는 이러 한 대륙횡단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공사를 통해 서부지역의 천연가스 자원의 우세를 서부지역의 경제발달의 동력으로 삼고, 또한 가스를 공급받는 지역들 (성,자치구,직할시 등) 의 산업구조와 에너지 구조를 조정하여 경제효율을 높이려는 원대한 목표를 갖고있다.
가스공급 주 파이프라인은 총 길이 4,200km으로,신쟝 타림분지의 룬난(輪南)유전에서 시작하여 쿠얼러(庫爾勒),깐수(甘肅)성 우웨이(武威),닝시하(寧夏)자치구 깐탕(甘塘), 산시 (陝西)성 징삐엔(靖邊), 산시(山西)성 린펀 (臨汾),허남(河南)성 쩡쩌우(鄭州),안후이(安徽 )성 띵유엔(定遠),지앙쑤(江蘇)성 난징(南京)을 거쳐 최종적으로 상하이에 연결된다. 주간선은 가스수송규모가 연간 120억 입방미터가 되도록 설계되어있다. 현재 관련 공사계획은 세 단계로 나누어 있다.(주: 현재 공사진척은 프로젝트에 참여할 업체 유치 단계이다.)
1)일단계 계획
쓰촨(四川),충칭(重慶)의 가스유전에서 매년 30억 입방미터의 잉여가스를 우선 우한 (武漢)으로 수송하고, 우한에서 신양(信陽)까지 파이프라인을 건설하는 동시에 산시-깐쑤-닝시하 접경 분지의 천연가스를 신양으로 수송하며, 신양에서 다시 이 가스를 상하이로 재 수송 하는 수송망이다. 2002년에는 동 수송망의 수송능력이 40억 입방미터에 달하도록 할 계획이다.
2)이단계 계획
차이따무(柴達木)분지의 천연가스를 란쩌우(蘭州)로 수송하고,란쩌우에서 시안(西安)까지 파이프라인을 설치하여 차이따무.산시-깐수-닝시하 및 쓰촨-충칭 3대 가스유전이 양자강 중 하류 지역의 가스공급기지화 한다. 2005년에는 80억 입방미터의 가스 수송능력을 갖추게 된다.
3)삼단계 계획
타림분지의 천연가스를 동부지역으로 수송토록 한다. 이 프로젝트가 순조롭게 진행되면 2007년에 이르면 양자강 중하류 지역으로의 가스 공급량이 140억 입방미터에 달하며,2010년에 이르면 190억 입방미터에 달하게 되어, 향후 30여년간 안정적인 천연 가스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현재 일단계 공사와 관련 파이프라인 노선이 초보적으로 확정된 상태이며 2001년에 서부 라인과 동부라인으로 나누어 공사를 시작할 계획이며, 2004년에 관통시킬 예정이다.
초보적인 추산에 따르면 공사에 소요되는 강재가 174만톤, 소요되는 용접재가 5100톤,토목 공사량이 3000만 입방미터에 달할 전망이며, 동시에 대량의 물,목재,공기펌프,측량측정기기 및 자동화 설비가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 파이프라인 공사의 67%가 서부지역에서 이루어지는데 신쟝 가스유전에 대한 고정자산투자만도 인민폐 200억 이상에 이를 전망이다. 이런 막대한 자금이 투입되면 현지의 경제발전을 가져올 뿐만아니라 재정수입 및 대량의 취업기회를 창출하게 될 것으로 중국정부는 내다보고 있다.
관련 전문가들은 대륙횡단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공사는 중국의 동부와 서부지역의 에너지 구조를 개선시킬 뿐만아니라 파이프라인에 연해있는 지역의 철강, 시멘트, 기계전자, 건설 등 부문의 성장을 가져 올 것이라고 지적하고있다.
4.삼협댐 공사
삼협댐 공사는 지난 1992년 4월 중국의 전국인민대표대회 7기 5차회의 에서 심의를 거쳐 통과됨으로써 본격적인 추진에 들어갔다. 실제 건설 공사가 시작된 것은 그로부터 2년 반이 지난 1994년 12월이었다.
삼협댐 공사는 지난 50년래 중국이 사도한 프로젝트 중 그 종합적인 성과가 가장 큰 공사 로 평가받고 있다. 삼협댐의 공사 총량은 2,643만 입방미터로 후뻬이(湖北)성 이창(宜昌) 시의 꺼쩌우(葛洲)댐 공사의 2.5배에 해당되는 공사량이며, 현재 세계 최대 수력발전소인 브라질의 이타이푸 공사의 2배에 해당되는 양이다.
삼협공사의 발전기 세트는 현재 세계 최대의 발전기 세트로 발전기 한기의 용량이 70만 kw에 달해 전체 공사가 완공되면 발전량은 1,820만kw에 달하게된다. 삼협댐 공사의 선박 통행을 위한 갑문은 영구적인 건축물로 상하 양방향의 5단계 연속 사다리식 갑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재 세계 최대의 갑문이다.
삼협댐공사의 댐은 시링협(西陵峽)의 이창시(宜昌市) 난진관;(南津關)에 건설하고 있는데 유리한 지리적 위치로 인해 양자강 상류의 홍수를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 되고 있다.(징강(荊江)하단에 있는 홍수방지용 표시를 하상의 상승으로 현재 10년에 한번씩
높이고 잇는데 삼 협댐이 건설되면 100년에 한번 조정하게 될 전망이다.) 연평균 발전량 847억kwh로 계획된 삼협댐은 경제가 발달하였지만 에너지가 부족한 화중.화동 지역에 더욱 확실하고, 저렴하며 깨끗하고 재생할 수 있는 에너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삼협댐공사는 후뻬이성 이창에서 충칭까지의 660km의 항로의 효율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고 만톤급 의 선박이 직접 충칭에 도달할 수 있게되어 통항 능력이 1,000만톤에서 5,000 만톤으로 향상되고 선박운송 코스트가 현재보다 35%-37%이상 내려갈 전망이다.
삼협댐공사는 총 공사기한이 17년으로 3기로 나누어 공사를 하고있다. 1기공사는 1993- 1997 년간으로 양자강을 가로 막는 공사였다. 2기 공사(1998-2003년)목표는 최초의 발전기 세트를 설치 발전을 시작하고 갑문을 건설하여 선박들이 통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3기
공사( 2004-2009년)목표는 주요 공정을 모두 완성하고 26대의 수력터빈 발전기세트 모두를 가동 발전하는 것으로 이것으로 전체 공정을 끝내게 된다.
5.베이징-상하이간 고속철 공사(京호高速鐵路工程)
중국내에서 베이징-상하이간을 잇는 교통망은 비교적 발달한 편이지만 운송수요와 비교 하면 운송능력이 상대적으로 모자라는 지역이기도 하다. 총연장 1,463km인 베이징- 상하이 (경호)철도는 승객/화물 운송이 가장 빈번한 중국의 주요 간선이다. 1995년 조사한 통계에
따르면 화물운송과 승객운송 밀도에 있어 전국 평균 수준의 각각 5.2배와 3.6배에 달할 정도로 운 송 밀도가 높다.(주:'호'는 상해를 표시하는 글자로 水(삼수변)+戶) 80년대 중반에 이미 중국 철도부가 초보적인 구상을 제시한 바있으며,1990년에 국무원의 비준을 얻어, 시험적으로 전장 147km인 광주-심천 노선을 시속 160km인 철도로 개조하였다.
1992년 베이징에서 개최한 '중국고속철 세미나'에서 고속철을 건설할 조건이 가장 성숙 된 역으로 베이징-상하이 철로로 인정하였다. 1994년 광주-심천간 준고속철이 건설되면서 중국 이 자체 개발한 기관차로 구성된 실험열차가 최고 시속 183km로 달렸다. 이와 동시에 국무 원은 철도부의 “경호고속철 예비 사업타당성검토서”를 비준하였다. 1998년2월 중국의 고 위층은 경호고속철을 2000년에는 기공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아직 기공하지 않은 상 태임. 현재 독일 등 유럽 방식과 일본 방식 중 어느 방식을 도입할지를 검토하고 있는 단 계임.)
경호고속철은 여객운송을 전문으로 하는 복선 전기화철로로, 베이징역에서 출발하여 천 진, 제남,서주,방부(蚌埠),남경을 거쳐 상하이에 도착하도록 설계되어있다.(현재의 베이징- 상하이간 철도와 대체적으로 같은 노선으로 건설될 예정) 고속철은 일반 철도보다 다소 짧 은 총연장 1,300km로 26개 역을 설치하며,역간 평균거리는 55km 으로 계획하고 있다. 역의 경우 베이징 , 천진, 제남, 서주, 남경, 상하이의 경우 기존 시설을 조금 개조하여, 기존의 간선철도와 연결을 시키는 것으로 구상하고있다.
베이징-상하이간 고속철은 토질이 대체적으로 무른 중국의 동부연해 평원지역을 지나가며 , 일부 선로는 연토(軟土)지대와 하천의 수해발생 지역을 통과하는 관계로 고가교량 설치가 많아져 고가교량이 총연장의 33%, 터널이 1.3%에 달할 전망이다. 고속철 건설을 위해서는 토석 1.1억 입방미터가 소요될 전망이며, 토지작업이 필요한 면적은 약 6천ha에 달할 전망 이다. 베이징-상하이간 고속철이 완공되면 여객운송시간이 현재의 14시간에서 6시간 이내로 대폭 단축될 것이다. 이 고속철은 중국 최초의 남북지역을 연결하는 고속철이 될 것이다.
6.티베트 지역 연결철도 공사(西藏鐵路工程)
시짱(티베트 西藏)지역은 중국에서 유일하게 철도가 없는 자치구(성과 동급 행정구역) 이다.중국 정부는 지난 50년대부터 탐측과 설계를 해왔으나 최종적으로는 1985년에 칭하이(靑海)-시짱을 연결하는 철도 공사에 착수 칭하이성 내의 시닝(西寧)-꺼얼무(格爾木)를 연결하
는 1기 공정을 완공하였다. 그러나 여러 가지로 이유로 꺼얼무에서 라싸에 이르는 노선은 건설되지 않았다. 중국정부는 시짱으로 진입하는 철도 건설의 필요성이 높아지자 2001-2005년간 추진되는 제 10차 국민경제 및 사회발전 계획에 시짱으로 진입하는 철도공정을 포함시켰다. 국가의 중심 프로젝트 중 하나가 된 것이다.
중국정부는 시짱으로 진입하는 철도를 1)칭하이-시짱,2)깐쑤-시짱,3)쓰촨-시짱,4)윈난-시짱의 네 방향에서 검토하였으나 기존에 설치된 칭하이-시짱선(칭하이성 부분만 건설되어 있음)을 연장하여 시짱의 중심인 라싸로 연결하는 것이 가장 경제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향후 건설해야 할 철도의 길이는 1,100km에 달하고 있다.(현재 시닝-꺼얼무 간의 기존 철도도 2001 년 10월까지 확대개선할 계획이다.)
서부대개발 정책이 추진되면서 윈난(운남)성과 서짱을 잇는 윈난-시짱선(1,594km)의 사업 타당성이 초보적으로 검토된 단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