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한·중 무역 불균형 원인 분석

  • 저자

    이상직

  • 출처

    수출입은행

  • 발행일

    2003-03-07

  • 등록일

    2003-09-02

1. 무역 불균형 현황
- 한국의 무역수지 흑자 증가로 무역 불균형 지속 확대
- 한·중 양국의 통계차이로 무역수지 흑자 규모 차이가 2배에 달해

2. 무역 불균형 원인 분석
가. 직접투자와 무역수지의 상관관계
- 한국의 대중국 직접투자 증가와 무역수지 흑자규모 확대는 연해지역 중심으로 正의 상관관계를 보임. 투자 유형별로 '상해형'이 내수시장과 제3국 시장을 주된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무역수지와의 상관관계가 현저함.
- 그러나, 일부지역에서는 상관관계를 찾기가 곤란. 이를테면, '광동형'의 경우 직접투자와 무관하게 경제발전 수요에 따른 수요 증대로 무역수지 흑자를 가져옴.

나. 통계상의 불일치
- 한국과 중국의 무역 통계 불일치는 홍콩을 경유하여 한·중 양국으로 재수출되는 규모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보임.

3. 한·중 무역불균형 원인 분석
□ 직접투자와 관련한 무역불균형 발생
- 한국기업이 직접 투자가 많이 이루어진 산동, 상해 등의 중국 현지법인이 한국에서 원·부자재를 수입하여 생산한 제품을 주로 중국 내수시장이나 제3국 시장에 판매함에 따라, 한국으로부터의 수입금액이 수출금액을 초과하여 무역불균형 발생
□ 직접투자와 무관한 무역불균형 발생
- 한국기업의 직접투자와 상관없이 광동 등 지역의 조기 개방에 따른 고도 경제성장으로 소비와 투자 등의 수요가 증대되면서 한국으로부터 원·부자재, 소비재 등의 수입규모가 커지면서 무역불균형 발생
□ 홍콩 경유 한·중 양국의 재수출 규모에 의한 무역 통계 차이 발생
- 한국제품이 홍콩을 경유하여 중국으로 수출되는 규모가 중국제품이 홍콩을 경유하여 재수출되는 경우보다 많음으로써 무역 통계차이가 발생. 끝(총8쪽)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