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홍콩 「경제 파트너십 강화협정」내용과 시사점

  • 저자

    오동윤

  • 출처

    KIEP

  • 발행일

    2003-08-29

  • 등록일

    2003-09-01

  1. 서론
  2. 경제파트너십 강화 협정(CEPA)의 주요 내용과 향후 효과
  3. 경제파트너십 강화 협정(CEPA) 체결의 배경
  4. 결론: 요약 및 시사점

지난 6월 29일 중국과 홍콩은 FTA에 준하는 ‘경제 파트너십 강화협정’(CEPA)을 체결하였다. 내년부터 중국은 273개 홍콩산 수출품에 대한 관세를 철폐하고 18개 서비스시장을 개방할 예정이다. 상품교역의 경우 CEPA의 효과가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수출품이 관세철폐 대상에서 제외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서비스시장의 개방효과는 클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WTO 양허안보다 조기에 시장을 개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CEPA 체결과 관련하여 중국의 정치적 배경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중국의 ‘일국양제’ 통일정책과 향후 서비스시장 개방 일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정치적 배경을 차치하고 CEPA는 서비스시장에 있어 한국에 경제적 효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예상된다. 한․홍콩 경제협력을 강화하여 중국으로 진출하는 우회전략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다. 특히 금융부문의 협력의 시너지 효과는 클 것으로 예상된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