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라이즌 그룹 478개 社 설문조사
지난 해 1월부터 11월까지 중국에 생겨난 외국인투자기업은 36,616개 사로 하루 평균 110개 꼴로 늘어났다. 개방의 폭이 확대될수록 새로 들어오는 기업도 있지만 이미 투자한 기업들의 재투자도 증가하고 있다. 재투자에 나서는 기업들은 어느 지역을 선호할까?
중국의 시장조사기관인 허라이즌 그룹(零點硏究集團) 산하의 遠景投資가 지난 해 상하이와 베이징 소재 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화설문에 따르면, 약 70%가 앞으로 3년 이내에 중국내 재투자 계획을 갖고 있고 이들이 가장 선호하는 도시는 상하이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 조사는 중국기업과 외국인투자기업을 포함, 자산규모 5,000만 위앤(약 75억 원) 이상인 478개 사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 앞으로 3년내 재투자 의향은?
기업들은 전반적으로 자산규모가 클수록 투자계획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산이 5,001만 위앤에서 1억 위앤 사이인 기업은 75.4%가 재투자를 고려 중이다.
□ 재투자한다면 어디로 갈건가?
재투자 계획을 밝힌 기업들 중 63.2%는 현재 소재지(상하이 또는 베이징)에 투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비율은 상하이(65.0%)가 베이징(61.5%)보다 높게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부동산 건축업과 유통업, 무역업에서는 현재 소재지에 재투자하겠다는 비율이 70% 이상을 차지해 이들 업종은 영업확대 여건이 수월하지 않음을 반영했다.
그러나, 자산규모가 커질수록 기업들은 현재 소재지 이외의 타지역 투자를 고려 중인데 5천만 위앤 이상인 기업에서는 그 비율이 50%를 넘어섰다. 외국인독자기업들도 약 40% 정도가 타지역 투자에 나설 예정이라고 답했다.
□ 재투자한다면 어디로 갈건가?(省市 선택; 복수 응답)
타지역 투자계획을 가진 기업들이 가장 선호하는 지역은 상하이(29.5%)였으며 이어 광저우(27.3%)-베이징(19.3%)-선전(深 18.2%)-저장(浙江省 16.5%)-장쑤(江蘇省11.9%)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복수응답]
□ 재투자한다면 어디로 갈건가?(권역별 선택; 복수 응답)
재투자 선호지역을 경제 권역별로 보면, 상하이와 저장성, 장쑤성을 포함한 장강삼각주가 50.6%, 광둥성의 주강삼각주가 50.0%로 비슷한 비율을 보였고 베이징, 티앤진(天津) 등을 포함한 환발해 경제권이 29.5%를 기록했다. 그러나, 서남부와 기타 지역에 대한 선호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지난 해 1월부터 11월까지 중국에 생겨난 외국인투자기업은 36,616개 사로 하루 평균 110개 꼴로 늘어났다. 개방의 폭이 확대될수록 새로 들어오는 기업도 있지만 이미 투자한 기업들의 재투자도 증가하고 있다. 재투자에 나서는 기업들은 어느 지역을 선호할까?
중국의 시장조사기관인 허라이즌 그룹(零點硏究集團) 산하의 遠景投資가 지난 해 상하이와 베이징 소재 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화설문에 따르면, 약 70%가 앞으로 3년 이내에 중국내 재투자 계획을 갖고 있고 이들이 가장 선호하는 도시는 상하이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 조사는 중국기업과 외국인투자기업을 포함, 자산규모 5,000만 위앤(약 75억 원) 이상인 478개 사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 앞으로 3년내 재투자 의향은?
기업들은 전반적으로 자산규모가 클수록 투자계획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산이 5,001만 위앤에서 1억 위앤 사이인 기업은 75.4%가 재투자를 고려 중이다.
□ 재투자한다면 어디로 갈건가?
재투자 계획을 밝힌 기업들 중 63.2%는 현재 소재지(상하이 또는 베이징)에 투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비율은 상하이(65.0%)가 베이징(61.5%)보다 높게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부동산 건축업과 유통업, 무역업에서는 현재 소재지에 재투자하겠다는 비율이 70% 이상을 차지해 이들 업종은 영업확대 여건이 수월하지 않음을 반영했다.
그러나, 자산규모가 커질수록 기업들은 현재 소재지 이외의 타지역 투자를 고려 중인데 5천만 위앤 이상인 기업에서는 그 비율이 50%를 넘어섰다. 외국인독자기업들도 약 40% 정도가 타지역 투자에 나설 예정이라고 답했다.
□ 재투자한다면 어디로 갈건가?(省市 선택; 복수 응답)
타지역 투자계획을 가진 기업들이 가장 선호하는 지역은 상하이(29.5%)였으며 이어 광저우(27.3%)-베이징(19.3%)-선전(深 18.2%)-저장(浙江省 16.5%)-장쑤(江蘇省11.9%)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복수응답]
□ 재투자한다면 어디로 갈건가?(권역별 선택; 복수 응답)
재투자 선호지역을 경제 권역별로 보면, 상하이와 저장성, 장쑤성을 포함한 장강삼각주가 50.6%, 광둥성의 주강삼각주가 50.0%로 비슷한 비율을 보였고 베이징, 티앤진(天津) 등을 포함한 환발해 경제권이 29.5%를 기록했다. 그러나, 서남부와 기타 지역에 대한 선호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