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의 서비스산업 개방과 우리의 대응방안

  • 저자

    이장규, 조현준, 오동윤

  • 출처

    KIEP

  • 발행일

    2003-12-31

  • 등록일

    2004-01-19

< 요약 >


중국의 서비스산업은 종전에는 고도로 보호되어 왔으나 2001년 WTO 가입과 과감한 개방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서비스산업 개방은 중국경제 자체는 물론 외국기업의 중국 비즈니스 전반 나아가 경제자원 의 국제적 배분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사건이라 할 수 있다.


중국의 서비스산업이 개방됨으로써 외국기업의 對中무역과 투자 및 내수시장 진출에서 새로운 기회가 제공되었다고 할 수 있는데 특히 중국 에서 서비스산업이 국민경제의 전반적인 발전수준에 비해 낙후되어 있기 때문에 외국기업의 진출기회는 더욱 크다 반면 향후 중국의 고도 경제 성장 추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산업구조의 고도화가 빠르게 진전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중국의 서비스산업은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중국의 서비스산업의 개혁ㆍ개방은 우리나라의 산업구조 조정 그리고 동아시아 비즈니스 허브화 비전의 실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되어 우리에게 중요한 기회요인이면서 동시에 위협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중국의 서비스산업 중에서 우리에게 연구수요가 높은 유통 금융 통신 세 개 업종을 집중적으로 연구대상으로 다루었다 본 연구는 이들 세 개 산업을 중심으로 중국 서비스산업의 특성 개방의 현황과 전망 개방의 영향 중국 서비스산업의 경쟁력 우리나라 서비스업계의 진출현황 서비스시장 진입시 고려해야 할 주요 요인 및 성공적 진입을 위한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우선 중국의 유통산업은 사회주의 계획경제체제의 전통이 여전히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가운데 다른 한편으로는 개혁ㆍ개방의 진전으로 인해 새로운 유통업체와 유통경로 유통업태도 빠르게 자리를 잡고 있다 따라서 전통적인 국유기업들과 새로운 유통경로를 구축하는 등 빠른 성장추세를 보이는 비국유 유통업체들간의 경쟁이 격화됨에 따라 수익성 악화 문제까지 등장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볼 때 유통산업에서 중국정부는 종래와 같이 점진적이고 단계적인 개방확대 패턴을 유지하면서 약속한 개방확대 일정을 준수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같은 중국의 유통업 개방은 국제적인 상품유통에 커다란 변화를 초래하고 할 것으로 전망되며 향후 중국의 유통업부문에서 중국유통업체와 외국기업의 경쟁 외국기업간의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될 것이다 또한 중국 유통업체와의 외국업체의 제휴ㆍ협력을 통한 경쟁력 강화노력이 예상된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