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한중 무역관계의 현황 및 전망

  • 저자

    아시아개발연구원

  • 출처

    KTC(무역위원회)

  • 발행일

    2001.12

  • 등록일

    2004-03-03

Ⅰ. 중국 경제의 부상과 장기 전망 
1. 중국 개혁개방의 성과와 성장 원동력 
(1) 중국의 대내외 경제적 위상과 개혁개방정책의 성과
(2) 經濟成長의 原動力 
2. 최근 경제동향과 경제현안 
(1) 주요 거시경제지표 동향
(2) 경제현안
3. 중장기 경제발전 전망
(1) 중국 정부의 “제10차 5개년 계획(2001∼2005년)과 2010년 장기발전 계획
(2) 세계 경제대국으로의 부상 
4. 화교 상권의 부상과 “중국경제권” 형성 
(1) 세계 화교자본의 규모와 최근 동향 
(2) 21세기 중국경제권의 발전 방향과 전망 

Ⅱ. 중국의 교역 발전과 대외무역제도 53
1. 중국의 교역 발전 추이와 구조
(1) 수출입 규모 확대 추이
(2) 교역 구조
2. 개방경제로의 통상정책 전환
(1) 통상정책 체제와 변화
(2) 관세체계와 관세율 구조
(3) 비관세장벽
(4) 외환관리체제의 개혁과 지속적인 환율인하
3. 외국인직접투자와 외자기업의 수출입
(1) 외자도입 정책과 형태 
(2) 외자유치 추이와 동향
(3) 외자기업의 수출입 비중과 추이 

Ⅲ. 한중 무역 및 산업협력 관계 분석
1. 양국간 시장협력 
(1) 양국간 무역 구조
(2) 무역경쟁력 비교 
2. 양국간 생산협력 
(1) 민간 생산협력 : 투자협력 
(2) 정부간 생산협력 : 한중산업협력 위원회 
(3) 소 결 120

Ⅳ. 한중 통상마찰 분석
1. 통상 마찰 원인
(1) 무역결합도 심화 
(2) 무역수지 불균형 지속
(3) 특정 품목의 지나친 수출 의존도
2. 통상 마찰 가능 분야 선정
(1) 경쟁력 분석
(2) 세분류
(3) 소 결
3. 주요 품목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
(1) 석유화학
(2) 핸드폰(HS 기준 8525의 주요 품목) 
(3) 반도체(HS 기준 : 8542) 

Ⅴ. 중국의 WTO 가입과 대응전략 
1. 중국의 WTO 가입과 조건 
(1) 가입 배경
(2) 경과 및 가입 절차
(3) 분야별 가입 양허 사항
2. 중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1) 전반적인 영향
(2) 산업별 영향 
3.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1) 전반적 영향 
(2) 주요 수출입 관련 산업별 영향

Ⅵ. 향후 한중 무역전망 및 결론 
1. 무역 및 투자전망 
(1) 대중국 무역 전망
(2) 대중국 투자 전망
2. 대응 전략 
(1) 대중국 경제협력 증진 전략 
(2) 통상마찰 완화 대책 

<참 고 문 헌> 

총 220쪽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