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올림픽 경제 주기
올림픽 경제 주기란 올림픽 주최 성공에서부터 정식적으로 올림픽 주최한 이 후까지의 경제, 정치, 문화 등 각종 수익의 연장으로 형성되는 하나의 완전한 경제 주기를 일컫는다.
국제 통상 기준에 의하면 이 주기는 10년~ 12년 정도이다.
일반적으로 올림픽 경제주기는 올림픽 전 단계, 올림픽 단계, 올림픽 후 단계로 나눠진다. 각 단계에 따른 투자액, 경제 촉진 작용, 특징들은 서로 다르다.
2. 올림픽 전단계( 2002년~ 2007년)시의 인프라 투자 현황 전망
관련 연구 결과에 따르면, 베이징의 올림픽 전단계(2002년~ 2007년)에는 올림픽 경기장 및 설비 건설 투자에 280억 위안, 올림픽 개최로 신축되는 인프라에 대한 투자에 1069억 위안, 올림픽 개최에 따른 직접 투자가 1349억 위안 등이 사용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또한, 올림픽 직접 투자의 사회 소비품 소매액 합계가 540억 위안, 사회소비품 소매액은 각각 130억 위안과 139위안 정도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로서 알 수 있듯, 올림픽 전단계의 직접 투자는 사회 소비품 소매액의 성장이 비교적 큰 촉진 작용이 된다.
3. 올림픽 개최가 소비품 소매업에 미치는 영향
1) 관광업
관광부의 예측에 따르면, 올림픽 경제 요소의 작용으로, 2002년~2005년 동안 베이징 입국 가능 여행객은 연간 6%정도 속도로 증가, 2006년~2007년에는 연간 8%로 증가, 2008년~2010년 간은 10%로 증가, 외지에서 온 베이징 사람은 2002년~2007년 연평균 5%증가함으로써 관광업이 특수를 누릴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따르는 여행객의 외화 수입은 2010년까지 47.8억 위안, 외지에서 온 여행객 수입은 2010년까지 1266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 상업, 요식업
여행업의 영향으로 상업, 요식업도 대폭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001년 베이징 시 중국 내 여행 표본 조사 결과, 여행객이 창출하는 상품 소매액이 전 사회 소비제품 소매 액에서의 비중이 15%였다. 이로 알 수 있듯, 올림픽이 관광업의 성장을 견인함에 따라, 간접적으로 상품 소매액에 큰 영향을 미치고, 이는 유통업 입장에서 볼 때, 아주 좋은 발전 기회가 아닐 수 없다.
4. 올림픽 개최의 긍정적 영향
올림픽 개최의 잇점은 첫째, 사회투자의 증가를 가져오는 것이고 둘째, 투자의 증가는 노동력 시장의 수요를 자극하여, 많은 일자리가 창출되고, 셋째, 투기, 상업과 서비스업, 체육, 통신, 교통 등 관련 영역과 업계가 크게 증가하게 된다.
베이징 시 통계에 따르면 올림픽 개최로 인해 새로 창출되는 일자리가 2002~2007년 사이 192만 개 정도가 될 것이라고 하며. 새로 창출되는 고용에 따른 수입은 1560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를 상품성 소비 지출에 사용한다고 계산했을 때, 280억 위안의 소매액이 증가하고, 평균 46억 위안을 좌우로 성장할 것이다.
이 수치로 알 수 있듯, 취업기회의 증가는 사람들의 수입 안정을 보장하게 되어 상품 판매의 순차를 실현하는데 유리하고, 유통업 생산에 적극적인 영향을 준다.
5. 올림픽 개최는 유통업에도 긍정적인 역할 할 듯
베이징의 올림픽 개최는 더욱 많은 중국 내 자본 및 국제자본을 유통업에 투자하게 할 것이다. 2002년 말 까지, 베이징 유통업 중 외자나 홍콩 대만 이 투자한 기업은 800개인데 북경 올림픽 개최이후엔 훨씬 더 많은 국제자본이 베이징의 유통업 투자를 희망하게 될 것이다.
대량의 외자가 베이징의 유통업에 흘러들어올 경우, 기존의 유통기업에 대한 도전이 될 것이다. 따라서 중국 내 유통 기업의 경영태도,경영이념 및 마케팅 방식 등에 근본적인 개혁을 불러일으킬 것이고, 유통업 전체 수준을 업그레이드 시켜, 베이징 유통 서비스 기능을 한층 더 강화시킬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다.
자료출처: 56net, 2004/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