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 자동차산업의 수출입 구조변화 및 시사점

  • 저자

    이영주

  • 출처

    산업연구원

  • 발행일

    2004-06-07

  • 등록일

    2004-06-16

<요약>

중국의 자동차산업이 거대 내수시장과 선진기업과의 합작전략에 힘입어 급성장하고 있다. 중국 자동차산업의 성장은 향후 국제 교역구도의 변화에 적지 않은 영향을 초래할 것으로 보여 중국 자동차산업의 수출·입 구조를 면밀히 분석하고 대비책 마련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중국의 중·소형 승용차와 부품의 수출이 빠르게 증가할 경우 향후 우리와의 수출경합이 예상된다. 중국은 국제경쟁력이 확보된 주요 자동차 생산국으로부터 자동차를 수입하고 있어서 일단 중국내 시장기반을 상실할 경우 다시 만회하기가 어렵다는 점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우리의 자동차 수출은 규모 면에서 중국과의 격차가 점차 축소될 것이며, 중국이 우리의 수출을 추월할 우려마저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중국이 우리의 수출경쟁국으로 부상할 예상이어서 중국 자동차산업과의 수출경쟁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더욱이 중국이 ASEAN, 인도 등을 중심으로 FTA를 체결할 경우 향후 한국산 자동차 수입선이 태국, 인도 등의 역내 교역국으로 전환될 우려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자동차의 부품 수출이 부정적 영향을 받을 것이며, 현지생산 능력이 취약한 중소 자동차 수출업체에 타격이 더욱 심할 것으로 예상되어 이에 대한 중장기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