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국 투자환경이 질적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중국 투자환경에 대한 불안감이 조성되고 있다. 투자대상국 투자환경을 평가하는 것은 복잡다단한 사안을 종합적 으로 검토해서 고-스톱을 정하는 것이니 만큼 평가의 틀을 이루는 사고방식도 중요시 되야 할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중국정부가 자국기업 해외투자 가이드의 하나로 제시하고 있는 평가요인을 살펴보는 것은 우리기업의 중국 투자환경에 대한 이해를 돕고 나아가 중국정부 측이 중요시하는 투자환경 요인 목록을 통해 앞으로 투자환경 변화의 방향을 예측하는데도 참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정부 권장 해외 투자환경 평가요인>
(1)하드 환경
(가)자연환경
-원재료 산지와 제품시장
-부존자원
-기후
-자연재해 발생빈도 및 정도
-지리적 이점
(나)물질기술환경
-투자지 공업수준:공업발전 정도, 연관산업 및 부품공급 능력
-SOC 수준: 통신, 급배수, 에너지, 환경보호, 생활시설 편의성 및 요금
(2)소프트 환경
(가)정치환경
-정국: 정국 및 사회 안정도
-정부: 부서 조직, 공무원 수준, 행정절차 및 제도
-정책: 공개도 및 투명도
(나)경제환경
-경제발전 수준: GNP 및 일인당GNP 규모와 증가율, 현지시장 규모 및 잠재력과 개방도,
최근 5년간 통화팽창율, 현지 소비수준 및 구조, 금융 및 서비스시장 수준
-생산요소: 원재료 공급 용이성 및 가격, 노동력 공급 용이성 및 임금, 토지공급 용이성 및
가격, 자금공급 용이성 및 이자율, 외환관리방식 및 환율
-외자유치: 외국인 투자유치 금액, 외국인 투자유치 증가율 및 최근 신규 투자기업 내역
(다)사회문화환경
-사회질서
-현지 사회관념
-교육수준
-선진국 및 해외교포와의 연계성
-언어
-과학기술 개발능력 수준
-종교신앙
-픙속습관
-문화문화
(라)법률환경
-지방법규와 중앙법규의 일치성
-정책 및 법규 제정과 집행수준 및 안전감
<정보원: 호북외자. 2004년 제 1기>
<중국정부 권장 해외 투자환경 평가요인>
(1)하드 환경
(가)자연환경
-원재료 산지와 제품시장
-부존자원
-기후
-자연재해 발생빈도 및 정도
-지리적 이점
(나)물질기술환경
-투자지 공업수준:공업발전 정도, 연관산업 및 부품공급 능력
-SOC 수준: 통신, 급배수, 에너지, 환경보호, 생활시설 편의성 및 요금
(2)소프트 환경
(가)정치환경
-정국: 정국 및 사회 안정도
-정부: 부서 조직, 공무원 수준, 행정절차 및 제도
-정책: 공개도 및 투명도
(나)경제환경
-경제발전 수준: GNP 및 일인당GNP 규모와 증가율, 현지시장 규모 및 잠재력과 개방도,
최근 5년간 통화팽창율, 현지 소비수준 및 구조, 금융 및 서비스시장 수준
-생산요소: 원재료 공급 용이성 및 가격, 노동력 공급 용이성 및 임금, 토지공급 용이성 및
가격, 자금공급 용이성 및 이자율, 외환관리방식 및 환율
-외자유치: 외국인 투자유치 금액, 외국인 투자유치 증가율 및 최근 신규 투자기업 내역
(다)사회문화환경
-사회질서
-현지 사회관념
-교육수준
-선진국 및 해외교포와의 연계성
-언어
-과학기술 개발능력 수준
-종교신앙
-픙속습관
-문화문화
(라)법률환경
-지방법규와 중앙법규의 일치성
-정책 및 법규 제정과 집행수준 및 안전감
<정보원: 호북외자. 2004년 제 1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