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 금리인상의 산업별 영향과 전망

  • 저자

    이문형

  • 출처

    KIET

  • 발행일

    2004-11-08

  • 등록일

    2004-11-08

<요약>

ㅇ 이번에 중국 정부가 단행한 소폭의 금리인상이 우리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판단되나 추가적인 금리인상 조치가 시행될 것으로 전망되어 이에 대비할 필요

- 세계 주요 금융전문가들은 향후 1년 이내에 중국정부가 인민폐 절하와 함께 금리도 1.0~1.5% 포인트를 추가로 인상할 것으로 예상

ㅇ 최근 중국에 대한 수출과 투자가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중국경제의 변화에 대한 노출도가 증대되어 추가 금리인상 시 국내산업에 대한 영향은 다양한 형태로 파급될 전망

- 부정적인 영향:가정용 전자제품, 의류(소비심리 위축에 따른 최종소비재 수요 둔화), 일반기계(투자심리 위축에 따른 설비투자용 기계류 수요 둔화), 철강, 자동차부품, 석유화학의 일부, 중국 완제품 업체에 수출하는 부품소재업체(최종소비재 수요 둔화에 따른 중간재 수요 위축)

- 긍정적인 영향:철강, 화섬소재, 조선, 석유화학(중국의 원자재 수요 둔화에 따른 세계 원자재 공급 부족 완화 및 가격 안정)

- 영향 미미:섬유소재, 석유화학(수출용 완제품에 투입되는 중간재를 중국으로 수출하는 우리 업체들은 중국 경기보다는 미국, 일본, EU 등 수입국들의 경기에 영향을 더 받음), 통신기기, 반도체 및 전자부품(경쟁력이 높고 중국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업종)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