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례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선행 연구 검토 및 차별성 4
제2장 동북아 농업구조와 농산물 교역구조 분석
1. 동북아 역내 농업생산 구조 9
2. 국별 농업생산성 비교 13
3. 역내 농산물 교역구조 분석 15
4. 역내 농산물 교역의 상호 보완성과 경합성 분석 17
제3장 동북아경제협력체 체결이 농업부문에 미치는 영향
1. 농업부문 전망모형(KREI-ASMO)에 의한 파급효과 추정 26
2. 양국 간 잠재교역액(PBT)에 의한 무역전환 효과 계측 49
제4장 동북아 역내 농산물 품목별 경쟁력 분석
1. 중국의 주요 농산물 경쟁력 분석 60
2. 한국의 주요 수출 농산물 경쟁력 분석 89
제5장 요약 및 맺음말
1. 요약 100
2. 맺음말 105
부록 1. 거시경제 현황 109
부표 2. 품목별 수급 현황 110
부표 3. 농업총소득, 쌀 소득 현황 150
부표 4. 한·중·일 농산물 수출 증가 예상액 158
참고 문헌 210
요 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선행 연구 검토 및 차별성 4
제2장 동북아 농업구조와 농산물 교역구조 분석
1. 동북아 역내 농업생산 구조 9
2. 국별 농업생산성 비교 13
3. 역내 농산물 교역구조 분석 15
4. 역내 농산물 교역의 상호 보완성과 경합성 분석 17
제3장 동북아경제협력체 체결이 농업부문에 미치는 영향
1. 농업부문 전망모형(KREI-ASMO)에 의한 파급효과 추정 26
2. 양국 간 잠재교역액(PBT)에 의한 무역전환 효과 계측 49
제4장 동북아 역내 농산물 품목별 경쟁력 분석
1. 중국의 주요 농산물 경쟁력 분석 60
2. 한국의 주요 수출 농산물 경쟁력 분석 89
제5장 요약 및 맺음말
1. 요약 100
2. 맺음말 105
부록 1. 거시경제 현황 109
부표 2. 품목별 수급 현황 110
부표 3. 농업총소득, 쌀 소득 현황 150
부표 4. 한·중·일 농산물 수출 증가 예상액 158
참고 문헌 210
요 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