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체 1908건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 교통물류 인천광역시 교통혼잡지구 지정 기준 연구

    • 연구기간 : 2009.07.01 ~ 2009.12.31
    • 연구유형 : 기초
    • 연구자 : 임성수

    [연구목적]본 연구는 이러한 교통혼잡지구 지정을 위한 기준 작성이 목적임. [주요 연구내용]- 도시개발 현황 분석 - 도시교통 현황 분석 - 교통혼잡 정도 분석 - 인천광역시 교통혼잡 관리지구 지정 기준 작성

  • 교통물류 인천광역시 강회군 자전거 이용시설 기본계획 수립

    • 연구기간 : 2009.05.15 ~ 2009.12.31
    • 연구유형 : 수탁
    • 연구자 : 한종학

    본 연구과제는 저작권을 소유한 발주처의 권한에 의거하여, 공개 가능한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정보를 원하시는 분은 발주처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 의뢰자(부서) : 강화군 [연구목적] 본 과업은 자전거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제 조 및 인천광역시 자전거이용 활성화 및 자전거 주차장의 관리 운영 등에 관한 조례 제 조에 의거 강화군 자전거 이용시설의 기본계획 재정비 목적으로 함. [주요 연구내용] 강화군 지역 및 교통현황과 자전거 이용 관련계획 및 이용시설 기준을 검토함. 강화군 자전거 이용현황 및 전망을 제시하고 자전거 이용시설 기본계획 목표 및 추진방향을 마련함. 자전거 이용시설 부문별 계획을 수립하고 사업우선순위 및 단계별 투자계획을 제시함.

  • 교통물류 인천광역시 택시중기공급계획[2010~2014]

    • 연구기간 : 2009.01.01 ~ 2009.12.31
    • 연구유형 : 수탁
    • 연구자 : 한종학

    본 연구과제는 저작권을 소유한 발주처의 권한에 의거하여, 공개 가능한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정보를 원하시는 분은 발주처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 의뢰자(부서) : 대중교통과 [연구목적] 본 과업은 택시 운송사업 면허 중기(‘05~’09) 공급계획 적용기간이 만료됨에 따라 현재의 교통여건과 향후 교통여건을 비교하여 2010년~2014년까지 적정한 택시공급량을 산정하여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택시공급정책 추진을 위한 공급계획을 수립하고, 그동안 지속되어왔던 인천광역시 택시운송사업의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연구․분석하여, 택시산업의 기본방향과 장기적인 정책비전을 제시하여 택시의 기능을 재정립하고 이용활성화를 위한 합리적이고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주요 연구내용] 도시교통현황과 택시교통현황을 조사 및 전망하고 택시 운행 및 이용실태와 택시업체 운송사업 운영실태 등을 조사 분석하여 인천광역시 택시교통체계의 문제점을 조명하고 인천광역시 택시중기공급(2010~2014)계획 및 택시산업 안정화(활성화)대책을 마련함.

  • 행재정 제39회 일한기술사회의자료

    • 연구기간 : 2009.01.01 ~ 2009.12.31
    • 연구유형 : 공통 및 기타
    • 연구자 : 인천연구원

    제39회 일한기술사회의자료

  • 동북아국제 한일기술사 합동 심포지엄자료

    • 연구기간 : 2009.01.01 ~ 2009.12.31
    • 연구유형 : 공통 및 기타
    • 연구자 : 인천연구원

    한일기술사 합동 심포지엄자료

  • 문화관광 인천지역 슬로시티 도입에 관한 연구 :강화군을 대상으로

    • 연구기간 : 2009.01.01 ~ 2009.12.31
    • 연구유형 : 기초
    • 연구자 : 조혜정

    [연구목적] - 인천은 공업도시 이미지로 인한 지역 관광이미지 부재, 녹색자원의 활용 및 지속가능한 관광 발전을 위한 대책 미흡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음. - 따라서 녹색도시로서의 인천 이미지 제고, 녹색관광 활성화를 위한 방안이 필요한 상황이며, 슬로시티 인증은 인천지역의 녹색관광 이미지 제고 및 활성화를 위한 효율적 방안임.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천 도서지역을 중심으로 슬로시티 인증을 통한 녹색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를 통하여 인천의 녹색관광전략을 제시하고자 함. [주요 연구내용] - 이론적 고찰: 녹색관광 관련 개념, 슬로시티 개념 및 지정요건 등 - 관련 정책 동향 분석: 녹색관광 및 슬로시티 관련 국내외 정책 동향 - 사례분석: 국내외 슬로시티 인증 사례 - 실태 조사: 슬로시티 인증 요건 및 평가기준 고려 개선 필요사항 도출 - 슬로시티 도시 인증을 위한 개선사항 및 녹색관광 활성화방안 도출

  • 도시계획 인천시 자연녹지지역내 공장밀집지역 관리방안 연구

    • 연구기간 : 2009.01.01 ~ 2009.12.31
    • 연구유형 : 기초
    • 연구자 : 기윤환

    [연구목적]- 자연녹지지역내 공장입지실태조사 및 문제점 도출 - 도시외곽지역의 자연녹지지역에 대한 난개발 방지를 위한 토지이용관리방안 제시 [주요 연구내용]- 자연녹지지역 및 공장밀집지역 분포 현황 조사 - 국내외의 도시외곽지역 관리 제도 조사 : 도시성장관리, 지구단위계획, 준산업단지 등 - 자연녹지역내 공장밀집지역 관리방안 제시

  • 도시계획 인천광역시 도시재생 프로모션 전략 연구

    • 연구기간 : 2009.01.01 ~ 2009.12.31
    • 연구유형 : 기초
    • 연구자 : 조상운

    [연구목적]- 성공적인 도시재생사업을 위해서는 공공이 좀더 적극적인 자세로 전환하여, 직접 도시재생사업에 대해 홍보하고 판매하는 프로모션 전략을 마련, 사업에 대한 충분한 홍보와 마케팅, 그리고 다양한 기업유치 지원책을 통하여 민간자본 유치를 이끌어 낼 필요가 있음. - 따라서 도시재생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민간부문에서 기업경영 전략의 일환으로 활용하고 있는 프로모션을 도시재생사업에 적용시키기 위한 연구가 필요함.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사업의 민간자본 유치를 위해 공공은 어떠한 전략으로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을 정하고, 이를 전략적으로 지원해야 할 다양한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마련하는 "도시재생 프로모션 전략"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주요 연구내용]- 도시재생 프로모션 전략의 필요성 - 도시재생 프로모션 전략의 기본방향 및 프로그램 - 도시재생 프로모션 전략 추진체계 및 역할

  • 행재정 2009년도 연구결과 요약집

    • 연구기간 : 2009.01.01 ~ 2009.12.31
    • 연구유형 : 기초
    • 연구자 : 인천연구원

    기본연구과제 사회복지시설의 복합화 방안 13 인천광역시 결식아동을 위한 급식지원 발전방향 17 인천시 다문화 분포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21 인천지역 근대산업유산의 문화적 재활용에 관한 연구 25 인천시 도시간 네트워크 구축 및 활성화 방안 28 인천지역 슬로시티 도입에 관한 연구 : 강화군을 대상으로 31 인천시 공무원 교육훈련 민·관 협력방안 37 인천 여성 사회적 일자리 사업 발전방향 연구 41 인천시 여성취업지원정책의 현황과 발전방안 45 정책연구과제 인천광역시 저출산 극복정책 개발에 관한 연구 49 도시축전 자원봉사자 향후 관리방안 연구 53 인천앤아츠 발전방향에 관한 사례연구 57 인천대교 송도작업장의 관광자원 활용방안 60 지역경쟁력 강화를 위한 규제 개혁 과제발굴에 관한 연구 : 녹색성장을 중심으로 65 자치단체의 조례제정범위 확대 및 실효성 제고방안 70 영어교육 내실화를 위한 교육기관 연계방안 75 보육교사 처우개선비 지급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79 기획연구과제 경제위기에 따른 취약계층주민 특별지원방안 83 수탁연구과제 2009 인천시 공무원 성 인지 교육 87 2009 인천 성 인지 통계 90

  • 행재정 새로운 도시 새로운 인천

    • 연구기간 : 2009.04.01 ~ 2009.11.30
    • 연구유형 : 기초
    • 연구자 : 이용식

    [연구목적]새로운 차원의 도시발전을 구상하고 각각의 분야에서 그 실현을 위한 전략과 정책을 개발한 후, 이를 적용 또는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 아젠다를 제시하고자 함 [주요 연구내용]- 인천의 '근대민속'과 문화콘텐츠화 방향 - 행복한 노후를 위한 고령친화도시 인천 - 다양성이 공존하는 열린도시 - 인천 공원녹지의 새로운 비전 "Green Design" - 에너지기후시대의 교통정책: 녹색교통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