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체 89건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 동북아국제 '인천상륙작전 기념사업'의 확대 추진방향과 과제

    • 연구기간 : 2023.01.01 ~ 2023.06.30
    • 연구유형 : 기획
    • 연구자 : 남근우

    ■ 연구 개요❍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특정 정파의 냉전적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인천상륙작전의 역사적 의미와 중요성을 재조명함으로써 시민이 공감할 수 있는 인천상륙작전의 미래지향적 가치를 발굴하고, 둘째, 인천상륙작전을 인천의 도시경쟁력 제고를 위한 대한민국과 인천의 유무형 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책방향과 과제를 제안함.

  • 동북아국제 재외동포청 인천 유치의 사회·경제적 효과 분석

    • 연구기간 : 2023.03.13 ~ 2023.04.30
    • 연구유형 : 현안
    • 연구자 : 김수한

    ■ 연구개요❍ 재외동포청은 732만 재외동포를 모국과 연결, 우리의 사회문화·경제산업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총괄 전담기구임❍ 인천시는 2022년 10월 6일 윤석열 정부의 발표로 신설 예정인 재외동포청의 유치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음 ❍ 이 연구의 목적은 인천에 재외동포청을 유치할 경우 기대되는 사회·경제적 효과를 다각도로 분석하여, 인천 시정에 필요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음

  • 동북아국제 글로벌 도시 인천을 위한 진단과 제언

    • 연구기간 : 2022.08.30 ~ 2022.12.31
    • 연구유형 : 기획
    • 연구자 : 김수한

    ■ 연구 개요○ 인천 민선 8기 시정 목표인 “시민이 행복한 세계 초일류도시 인천”의 연구 지원을 위하여 발족한 글로벌도시연구단에서 수행한 연구○ 경제지리, 국제정치, 경제산업, 물류, 기후환경, 교육, 문화 분야 7명의 연구진이 참여하여 급변하는 국제환경에서 인천이 만들어가야 할 글로벌 도시(global city)의 방향과 과제를 탐색

  • 동북아국제 ‘(가칭)서해평화 플랫폼’ 구축을 위한 정책 방안

    • 연구기간 : 2022.07.25 ~ 2022.12.31
    • 연구유형 : 정책
    • 연구자 : 남근우

    ■ 연구 개요❍ 본 연구는 인천시의 (가칭)서해평화 플랫폼 구축을 위한 사전연구의 성격으로서 아카이브 플랫폼의 일반성과 차별성 확보를 위해 콘텐츠 분류체계를 크게 2단계(대분류>중분류)로 제시하고 플랫폼 실현을 위한 단계별(수립-발전) 구축전략을 제시함.

  • 동북아국제 2022 인천광역시 평화·통일 인식 조사

    • 연구기간 : 2022.01.03 ~ 2022.12.30
    • 연구유형 : 특별
    • 연구자 : 남근우

    ■ 연구 개요○ 인천광역시민과 인천광역시 중ㆍ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인천광역시 평화ㆍ통일인식 조사」 결과 보고서 (2020년도 부터 매년 실시)○ 인천시민과 인천시 소재 중·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평화·통일에 대한 인식 및 태도 등을 파악하고, 평화·통일을 위한 인천시의 역할을 파악하여 향후 통일 관련 정책을 추진, 개선하기 위한 사항들을 발굴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도출하기 위한 목적이 있음※ 2022년도 황해평화포럼의 연구사업으로 진행된 연구

  • 동북아국제 중국 탄소중립 산업전략화에 관한 연구

    • 연구기간 : 2022.02.01 ~ 2022.07.31
    • 연구유형 : 기획
    • 연구자 : 김수한

    ■ 연구개요❍ 이 연구의 목적은 탄소중립 산업전략에 대한 중국 국가전략 및 지역별 정책 동향 정리를 통해 인천시의 대중국 교류 관련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음 ❍ 이를 위하여 ①중국 중앙정부 탄소중립 전략의 형성 및 내용 ②중국 성·직할시 지방정부 14개의 탄소중립 이행 여건 및 중점 산업전략을 조사·분석함

  • 동북아국제 한반도 탄소중립을 위한 인천시의 남북협력 정책과 과제

    • 연구기간 : 2022.02.01 ~ 2022.07.31
    • 연구유형 : 기획
    • 연구자 : 남근우

    ■ 연구 개요❍ 본 연구는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국제사회의 협력 컨센서스에 한반도 역시 예외가 아니라는 점에서 인천 접경수역이 한반도 평화를 견인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임을 확인하고 정부의 남북 그린데탕트 구상과 인천의 탄소중립 정책을 연계할 수 있는 인천형 남북 기후환경협력 추진방향과 실천과제를 제시함.

  • 동북아국제 남북 생태환경협력을 위한 국제협력 방안 연구 : 인천 접경수역을 중심으로

    • 연구기간 : 2022.01.01 ~ 2022.06.30
    • 연구유형 : 기획
    • 연구자 : 남근우

    ■ 연구 개요❍ 생태환경 분야는 기후환경 분야와 함께 북한의 관심이 높은 분야이자 대북제재 하에서 남북협력의 추진 가능성이 비교적 높은 분야임. 우리 정부는 생태적 가치가 높은 남북 접경지대를 중심으로 남북 생태환경협력 방안을 구상해왔음. ❍ 이에 본 연구는 인천 접경수역을 중심으로 남북 생태환경협력을 추진할 수 있는 국제협력 방안을 모색함.

  • 동북아국제 인천의 중국 도시외교 기본방향과 과제 : 주요 교류사업 평가를 중심으로

    • 연구기간 : 2022.01.01 ~ 2022.06.30
    • 연구유형 : 정책
    • 연구자 : 김수한

    ■ 연구 개요❍ 이 연구는 한중관계를 발전시켜 나가는 데 있어 지방정부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지역의 대중국 교류·협력 사업 진단에 기초하여 인천의 중국 도시외교 기본 방향과 주요 과제를 제시하고자 함

  • 동북아국제 인천-대만 도시 교류협력 기본 방향과 과제

    • 연구기간 : 2021.06.20 ~ 2021.12.20
    • 연구유형 : 기획
    • 연구자 : 김수한

    ■ 연구 개요❍ 이 연구의 목적은 인천이 대만과의 교류를 진행하는 데 있어 고려해야 할 대외적 환경 및 내부적 역량에 대한 조사에 기초하여, 인천-대만 도시 교류·협력의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는 데 있음❍ 연구를 통해 코로나팬데믹 이후 인천의 중화권 교류를 다각화하고 새로운 교류협력 분야를 개척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시하고자 함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