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89건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
동북아국제 중국 일대일로 추진 동향과 시사점 : 중국 중앙-지방정부 정책 분석을 중심으로
- 연구기간 : 2016.03.01 ~ 2016.07.31
- 연구유형 : 기획
- 연구자 : 김수한
[연구 배경 및 목적]○ 동아시아경제권과 유럽경제권 연결을 목표로 하고 있는 중국 일대일로(一帶一路)구상이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출범 등을 통해 구체화되고 있음 ○ 중국 중앙·지방정부 정책 분석을 통하여 일대일로 추진 현황 검토 및 향후를 전망함 ○ 선행연구 및 중국 관련 전략 및 정책 분석에 기초하여 한반도에 갖는 의미를 도출하고 인천 지역 차원에서의 연계를 위한 기본 방향과 과제 제시[주요 연구내용]○ 국내외 선행 연구 검토 - 한국 정부 및 타국 관련 정책 동향 분석○ 일대일로 관련 중국 지역발전전략 분석 - 권역 성장 거점 지역발전전략 연장으로서 일대일로의 논리 파악 ○ 일대일로 관련 중국 교통·물류/ 산업구조 고도화 등 관련 정책 분석 - 서향개방(西向開放) 기조에 따른 중국 육상 및 해상 교통·물류망 구축 전략 - 동부연해 → 중서부내륙으로의 산업이전 동향 ○ 일대일로 관련 중국 지방정부 관련 정책 분석 -서부지역/ 동북3성 / 산둥·장수·푸쩬 등 주요 지방정부 편승전략 및 유관 정책 분석 ○ 시사점 및 연계 방향 도출
-
동북아국제 인천-텐진 인문유대사업을 위한 기초 조사 및 추진방안 연구
- 연구기간 : 2015.08.01 ~ 2015.11.30
- 연구유형 : 정책
- 연구자 : 김수한
[연구 배경 및 목적]○ 2013년 한중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양국 인문유대 강화를 위해 <한중인문유대테마도시 사업>이 진행, 경북-시안(2014년)/제주-하이난다오(2015년)에 이어 인천광역시와 중국 텐진시가 2016년 인문유대 테마도시로 선정되었음○ 텐진시의 인문자산·문화인프라 및 사업 추진 시·공공기관에 대한 조사에 기초하여 인천-텐진 인문유대 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주제/분야/추진안을 제시하고자 함[주요 연구내용]○ 인문유대 개념 및 사례 조사 - 경북-시안/ 제주-하이난다오 기추진(예정)사업 ○ 텐진시 현황 및 인문자산 조사 - 역사, 지리, 인구 및 중국 수도권에서의 위상 파악- 문화인프라 (텐진 조계지 五大道, 랜드마크 등)○ 텐진 국제교류 관련 시·공공기관 현황 조사 - 시 국제문화교류 부서 체계 및 산하 국제교류/문화·관광 부서 중심 ○ 인천- 텐진 인문유대 주제와 분야 선정/ 추진 방안 제안 - 전문가/실무자 자문회의 개최
-
동북아국제 인천-중국 교류 현황: 도시외교, 경제교류, 유학생·다문화가정
- 연구기간 : 2015.07.01 ~ 2015.11.30
- 연구유형 : 기획
- 연구자 : 김수한
[연구 배경 및 목적]○ 중국 관련 정책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토대 자료가 미흡한 실정임 ○ 이 연구는 인천-중국 간 정치, 사회, 경제 등 여러 영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교류 현황 파악을 위한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함 [주요 연구내용]○ 인천-중국 간 교류 현황을 ▲도시외교 ▲통상·물류 ▲투자▲인천 중국 유학생·다문화가정으로 나누어 살펴봄 - <도시외교> 인천-중국 자매우호도시 기본정보, 시기별 교류 현황, 유형별 교류 현황- <통상·물류> 인천의 대 중국 수출입/물류 현황 및 추이- <투자>인천의 중국 투자규모 및 추이, 지역별 투자, 업종별 투자, 기업별투자 현황- <중국인유학생> 인천 중국인 유학생의 추이 및 비중, 전공 및 과정, 거주 현황 - <중국계다문화가정> 인천 중국계 다문화가정의 규모, 분포 ○ 인천-중국 교류 현황 파악을 위하여 인천광역시 국제협력관실 자료, 한국무역협회, 국립교육교류원, 한국수출입은행 등의 통계자료를 수집하여 분류·정리하고 분석
-
동북아국제 중국 산둥지역 발전에 관한 연구: 경제·산업현황 및 발전정책을 중심으로
- 연구기간 : 2015.02.01 ~ 2015.10.31
- 연구유형 : 기초
- 연구자 : 김수한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가공무역을 통해 중국 황해권역의 경제발전을 선도해 왔던 산둥성은 내수경제 중심의 국가발 전전략 전환에 발 맞춰 경제·산업구조 고도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음 산둥성의 1·2·3차 산업비중은 2004년 12:56:32에서 2013년 9:50:41로 변화○ 특히, 산둥성은 한중FTA 체결에 대비한 대외개방 확대 및 한중경제무역합작시범지역((中韓經 濟貿易合作示範區) 설치 등의 조치를 통하여 여건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음○ 한중FAT의 기회요인을 적극 활용하기 위해서는 인천의 최대 중국 교역·투자 거점인 중국 산둥 인천 대 중국 투자 1위 : 인천 대 중국 전체 투자액 168억 2,800만 달러 가운데 산둥성에 전체의 45%인 약 77억 달러 투자 (2013년 누적 투자 기준), 인천 대 중국 주요 항만 집중(칭다오항, 웨이하이항, 옌타이항), 인천 대 중국 지방교류 거점: 칭다오시 우호결연 (1995년), 산둥성 우호결연 (2004년), 옌타이시 우호결연(2007) 의 변화 내용 및 특징에 대한 면밀한 파악에 기초 한 지역 차원의 교류 및 비즈니스 지원 방안 수립이 필요함 ○ 생산거점, 소비시장, 대외교역의 측면에서 산둥 및 성 거점도시들이 갖는 역량과 성장잠재력 분석 그리고 인천의 여건 진단에 기초한 인천-산둥 교류·비즈니스 유망 분야 및 타켓 지역 선정○인천- 산둥 교류·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 제안
-
동북아국제 인천 대 중국 교류 체계화를 위한 중국 거점도시 선정에 관한 연구
- 연구기간 : 2015.03.10 ~ 2015.08.15
- 연구유형 : 정책
- 연구자 : 김수한
[연구 배경 및 목적]○ 소비 위주의 내수 경제 육성을 도모하고 있는 발전 전략에 힘입어 중국의 권역 별 주요 도시들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권역 별 주요 도시들의 소비규모·성장력 관련 경제 지표 비교를 통해 그 특징을 파악하고 이에 기초하여 인천과의 교류·비즈니스가 필요/유망한 도시들을 거점도시로 선정, 인천 대 중국 교류 체계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도록 함 [주요 연구내용]○ 중국 권역 거점 육성의 지역 발전 정책 조사 - 각 권역 도시군(城市群)중심인 직할시 및 부성급시(副省級市) -19개 시로 연구 범위 한정 ○ 권역 중심 도시 일반 현황 및 경제 지표, 산업정책 조사 - 역사, 지리, 인구 및 각 권역에서의 위상 파악- 권역 도시군 전략 및 경제·산업 정책 정리○ 중심 도시의 소비규모·성장 역량 분석 - 19개 중심 도시를 일정한 기준으로 유형화○ 중심 도시의 각 유형에 적합한 인천의 교류 방향 제안 - 전문가 자문회의 활용
-
동북아국제 북한 지방급 경제특구 현황과 연계방향 연구
- 연구기간 : 2014.07.01 ~ 2014.12.31
- 연구유형 : 정책
- 연구자 : 김수한
[연구 배경 및 목적]○ 이 과제는 IFEZ 모델의 북한 지방성 경제특구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사전연구임 ○ 북한은 최근 13개 지방성 경제특구 계획을 통해 제한적이나마 대외협력의 의지를 보여주고 있음○ 기간 북한의 경제특구 경험과 법제, 그리고 새롭게 제안된 지방성 경제특구의 지리, 경제·산업 특징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 성공가능성을 탐색하고 향후를 전망함으로서 인천과의 연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
-
동북아국제 인천 중국 교류 현황 : 도시외교 유학생 다문화가정 경제교류
- 연구기간 : 2014.07.01 ~ 2014.12.31
- 연구유형 : 현안
- 연구자 : 김수한
- 우리 안의 중국, 유학생다문화가정 현황 - 인천-중국 경제 교류 현황
-
동북아국제 중국의 해외투자 동향 및 시사점
- 연구기간 : 2014.08.01 ~ 2014.12.30
- 연구유형 : 기획
- 연구자 : 김수한
○ 중국의 한국 투자 현황 ○ 중국의 인천 투자 현황
-
동북아국제 인천시 중국인 유학행 실태분석 및 지원방안 : 지방공공외교를 중심으로
- 연구기간 : 2014.06.02 ~ 2014.12.30
- 연구유형 : 정책
- 연구자 : 김수한
Ⅱ. 중국인 유학생과 지방 공공외교 Ⅲ. 인천시 중국인 유학생 실태 조사 Ⅳ. 지방정부의 중국인 유학생 지원 정책 동향Ⅴ. 관련 정책 방향과 과제 제안
-
동북아국제 중국인 해외관광 현황 및 시사점
- 연구기간 : 2014.09.01 ~ 2014.12.29
- 연구유형 : 현안
- 연구자 : 김수한
[연구 배경 및 목적]- 중국의 경제발전에 힘입어 중국인 해외관광객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한국 방문 중국인 관광객 역시 급증하고 있음 - 그러나 방한 중국인 관광객의 양적 증가 속에서 저가덤핑 관광상품의 범람 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으며, 지속가능한 중국 해외관광객 유치를 위한 대책 마련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임- 중국인 해외관광객 시장 및 수요의 다양성에 주목하여 내실있는 중장기적 중국인 관광객 유치 전략 수립이 필요함 - 이에 중국 해외관광객 및 방한 중국인 관광객에 대한 기본 현황 및 특징을 정리하여 관련 심층 연구 및 종합적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