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61건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
문화관광 구도(球都) 인천 - 지역역사문화로서의 야구를 활용한 관광콘텐츠
- 연구기간 : 2017.01.01 ~ 2017.06.30
- 연구유형 : 현안
- 연구자 : 황희정
[인천시 관광콘텐츠 기획 No.8]구도(球都) 인천 - 지역역사문화로서의 야구를 활용한 관광콘텐츠◆ 연구목적○ 도시의 성장과 변화를 함께한 인천 야구를 조명하고, 인천의 일상문화로 정착시킴으로써 야구를 중심으로 연대하고, 화합하는 인천 구현○ 100여년을 함께 한 지역의 역사문화로 접근하여 구도(球都)의 가치를 이해·강화하고, 야구를 중심으로 한 인천의 이야기 관광콘텐츠화
-
문화관광 (강화갯벌 에코 프로젝트) 갯벌이 살아나는 관광
- 연구기간 : 2017.03.01 ~ 2017.05.31
- 연구유형 : 현안
- 연구자 : 황희정
인천시 관광콘텐츠 기획 No.7○연구목적- 갯벌생태에 대한 관광객의 인식을 제고하고, 생태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생태관광 형태로 추진하여 천연기념물 제419호로 지정되어 있는 강화갯벌 및 저어새번식지에 대한 적극적 관리- 갯벌체험, 채취, 그리고 취식 중심의 갯벌관광 활동유형 전환- 생태적 이슈에 대하여 공론화할 수 있는 생태관광지로 추진하여 대표 생태관광지로서의 이미지 선점
-
문화관광 근대문화박물관 설립 · 운영방안
- 연구기간 : 2017.01.01 ~ 2017.03.31
- 연구유형 : 현안
- 연구자 : 황희정
관광콘텐츠 시리즈 vol.6○ 연구 목적참소리축음기·에디슨과학박물관 전시콘텐츠 유치를 중심으로 개항장 일대 근대문화박물관 설립·운영방안 제시-근대문화박물관 설립·운영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우선, 근대 문물로서의 참소리축음기·에디슨과학박물관의 전시콘텐츠 현황과 유치조건, 박물관 설립·운영 관련 여건 및 현황에 대하여 분석함.- 이를 토대로, 근대문화박물관 설립·운영을 위한 공간 확보전략, 전시콘텐츠 확보전략, 그리고 조직 및 인력 운영전략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추진전략 제시- 이를 통하여 근대문화 중심지로서의 인천을 조명·강조하고, 인천과 한국의 근대에 대한 관람객들의 이해를 심화함으로써 결국 근대문화와 박물관 집적을 통한 관광객 증대 효과를 창출하고자 함.
-
문화관광 제6차 인천권 관광개발계획수립 용역
- 연구기간 : 2016.03.28 ~ 2017.01.21
- 연구유형 : 수탁
- 연구자 : 심진범
본 연구과제는 저작권을 소유한 발주처의 권한에 의거하여, 공개 가능한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의뢰자(부서) : 인천광역시 관광진흥과
-
문화관광 인천 섬 지역 활성화를 위한 주요 이슈 및 정책방안 : 물, 에너지, 여객, 관광분야를 중심으로
- 연구기간 : 2016.01.01 ~ 2016.12.31
- 연구유형 : 기획
- 연구자 : 인천연구원
[2016 집중연구] 물, 에너지, 여객, 관광분야를 중심으로○ 연구목적1. 인천 섬 지역 현황 및 여건을 검토하여 섬 지역 활성화를 위한 주요 이슈를 선정2. 인천 섬 관광 콘텐츠 개발 관련 실태 및 자원을 분석하고 대표 자원을 중심으로 섬 관광 콘텐츠 개발 구상 및 관련 정책과제를 제안3. 인천광역시 ‘섬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섬 관광 활성화 등에 대비한 생활용수의 물수급, 에너지수급, 연안도서여객운송 방안 강구=> 참여연구진: 김성우(연구총괄), 심진범, 윤하연, 김운수, 박경문
-
문화관광 인천시 도시가치자원 현황과 자원화 방안
- 연구기간 : 2016.01.01 ~ 2016.12.31
- 연구유형 : 기획
- 연구자 : 인천연구원
○ 연구목적1. 인천가치재창조 사업 추진전략 수립을 통한 인천시 역점사업의 효과적 추진2. 인천가치 재창조사업 추진에 필요한 기초 자원조사 및 시민의식 조사 분석 3. 도시 자산 활용 국내외 우수사례 조사 분석을 통한 모델 구축 4. 사업 분야별 자원 조사 평가를 통한 잠재적 자원 및 주요가치 자원제시 등※ 참여연구진: 김창수(연구총괄), 권전오, 김수한, 정지원, 조상운, 채은경, 최영화
-
문화관광 경인 아라뱃길의 여가관광 공간화,아라 얼라이브(Ara Alive)
- 연구기간 : 2016.11.01 ~ 2016.12.30
- 연구유형 : 현안
- 연구자 : 황희정
○ 경인 아라뱃길은 인공적으로 조성된 친수공간으로, 공간이 지니는 스토리와 장소성이 다소 부족함. ○ 연 900만명의 관광객이 경인 아라뱃길을 방문하고 있으나, 이들이 참여하여 즐길 수 있는 콘텐츠는 다소 미흡한 상황임. ○ 문화적 요소를 결합한 친수공간 운영방식으로 감성적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산책과 휴식 중심의 친수공간 경험방식을 다양화하고, 경인 아라뱃길만의 장소성 형성 ○ 시민 여가공간으로서의 경인 아라뱃길이 지니는 의미를 주목하여 여가공간으로서의 기능을 강화·확대하고, 이를 토대로 관광공간으로서의 가치 형성 - 경인 아라뱃길의 기존 시설·콘텐츠 및 관련 계획 등과 연계하여 추진 ▶ 콘텐츠명 : 경인 아라뱃길의 여가관광 공간화, 아라 얼라이브(Ara Alive) ! ○ 관광콘텐츠의 기획·운영으로 경인 아라뱃길을 생기있고, 활기 넘치는 여가관광 공간으로 구현 ▶ 콘텐츠 특징 ○ 문화적 요소와 체험·참여적 요소가 결합된 콘텐츠를 기획하여 경인 아라뱃길의 장소성을 형성·구현함으로써 여가관광 공간으로서의 가치 형성
-
문화관광 인천시 섬 관광콘텐츠 개발 연구 : 대이작도를 중심으로
- 연구기간 : 2016.07.01 ~ 2016.11.30
- 연구유형 : 기획
- 연구자 : 심진범
1. 민선6기 역점 시책으로 섬 관광 활성화의 필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섬 지역 고유 자원을 활용한 섬 관광콘텐츠 개발이 중요해짐. * 연구원 집중과제인 ‘인천 섬 지역 활성화를 위한 주요 이슈 및 정책방안’의 세부 연구주제로 진행 [연구목적]1. 옹진군 대이작도를 공간적 범위로 섬 관광콘텐츠 개발여건을 분석하고 섬 지역 특성과 여건을 고려한 관광콘텐츠 구상 및 콘텐츠 개발·운영과 관련되는 정책과제 [주요연구내용] 1. 섬 관광콘텐츠 개념 및 의의 정리2. 대이작도 섬 관광콘텐츠 개발여건 분석 : 자원, 공간, 주체 등 3. 대이작도 섬 관광콘텐츠 구상4. 섬 관광콘텐츠 개발·운영 관련 정책과제 제안
-
문화관광 인천 도시가치 발굴 시민설문조사
- 연구기간 : 2016.07.01 ~ 2016.11.30
- 연구유형 : 기획
- 연구자 : 최영화
1. 조사 목적○ 인천시가 민선6기 역점사업으로 추진 중인 ‘인천 가치 재창조’사업은 인천이 보유한 고유 자원의 재발견을 통해 현재적 가치로 만들고 미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목적이 있음.- 인천시가 보유한 다양한 도시 자원 중에서 대표 자원들을 선별하여 스토리텔링화, 콘텐츠화, 브랜드화 등 다양한 활용전략이 요구됨.○ 인천의 도시 이미지와 보유 자원에 대한 시민들의 의식 조사를 바탕으로 인천을 대표하는 다양한 가치자원들의 인지도와 선호도를 분석하고 종합적인 시사점을 도출함.- 시민들이 직접 제안하는 인천시 대표 자원을 주관식 설문문항을 통해 추가적으로 발굴함.○ 설문조사 결과를 인천 가치자원 활용전략과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참고자료이자 기초자료로 활용함.
-
문화관광 인천시 무형문화재 진흥 방안 연구
- 연구기간 : 2016.07.01 ~ 2016.11.30
- 연구유형 : 기초
- 연구자 : 최영화
○ 인천시는 민선6기 역점사업으로 ‘인천 가치 재창조’ 사업을 추진 중이며,이를 통해 인천지역의 정체성을 확보하고 대내외적으로 인천의 가치를 확산공유하고자 함.○ 인천시는 국가무형문화재 6건과 시도무형문화재 28건 및 비지정 무형문화자원을 다수 보유하고 있으나 제대로 조명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 따라서 인천시 무형문화재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그것의 다각적 활용이시의 정체성 확립과 가치 제고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연구가 필요함.○ 2016년 3월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 (이하 「무형문화재법」)이 시행됨에 따라 기존 무형문화재 범위가 크게 확대되고 정책 패러다임이 ‘원형 유지’에서 ‘전형 유지’ 및 ‘가치 구현과 향상’ 중심의 진흥 정책으로 전환됨. 향후 지자체간 무형문화재의 지정과 활용을 둘러싼 경쟁심화가 예상되므로 인천시 무형문화재의 가치를 조명하고 진흥하기 위한 선제적 연구와 전략 마련이 요구됨.○ 「무형문화재법」 제7조(기본계획의 수립)와 제8조(시행계획의 수립시행)에 따라 문화재청장은 5년마다 무형문화재의 보전과 진흥을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시도지사는 기본계획에 관한 시행계획을 매년 수립시행해야 함. 기존에 무형문화재와 관련한 계획을 수립한 바 없는 인천시의경우, 무형문화재에 대한 조사와 연구, 지정, 관리, 활용을 위한 종합적인 정책적 대응이 요구됨.○ 본 연구는 무형문화재 관련 법정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뿐만 아니라, 인천시의 무형문화재 가치를 조명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진흥하여 인천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선제적 연구로서 의의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