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체 1891건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 지역경제 2014년 서해평화정책포럼운영 용역

    • 연구기간 : 2014.01.01 ~ 2014.12.31
    • 연구유형 : 수탁
    • 연구자 : 김번욱

    본 연구과제는 저작권을 소유한 발주처의 권한에 의거하여, 공개 가능한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정보를 원하시는 분은 발주처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 의뢰자(부서) : 인천광역시 국제협력관실 [연구의 배경] ❍ 2012년 7월 출범한 서해평화정책포럼 운영의 성과를 바탕으로 포럼의 3차년인 2014년에는 조직 확대 및 내실화를 통한‘서해 평화벨트’ 및‘평화도시 인천’조성을 위한 정책 방안의 선도적 제시 ❍ 급변하는 북한 정세 및 중국, 일본과의 분쟁 등 국·내외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며 서해평화 실현을 위한 정책 과제 및 실현 방안 모색

  • 교육복지 2014년 지역사회 서비스지원단 운영 용역

    • 연구기간 : 2014.01.01 ~ 2014.12.31
    • 연구유형 : 수탁
    • 연구자 : 이용갑

    본 연구과제는 저작권을 소유한 발주처의 권한에 의거하여, 공개 가능한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정보를 원하시는 분은 발주처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 의뢰자(부서) : 인천광역시 사회복지봉사과 [연구의 필요성] ○ 저출산․고령화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로 인한 사회서비스 수요 증가 ○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양적확대 및 산업화에 대비 지역특성에 맞는 전문기관 설치와 인력양성 절실 ○ 제공기관 차원의 단순 서비스 개발․제공에서 탈피하여 지역특성과 주민 수요에 부합하는 사회서비스 개발․보급 필요 ○ 사회서비스 품질관리 체계 구축 및 지속 가능한 사회서비스 일자리 창출, 전문 인력․기관 양성 등 사회서비스 인프라 구축 필요 ○ 사회서비스 시장형성과 조기정착을 통한 고학력 경력 단절여성 과 청년 일자리 창출 및 실업난 해소 ○ 시․도 개발형사업 지속 확대로 인한 지도감독, 모니터링, 사업개발을 위한 지원단 반드시 필요 [연구의 목표] ○ 지역 특성에 맞는 사회서비스 시장 확대 ○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품질 향상 및 내실화

  • 지역경제 인천광역시 창조경제 활성화방안(뿌리산업을 중심으로) 용역

    • 연구기간 : 2013.12.23 ~ 2014.12.31
    • 연구유형 : 수탁
    • 연구자 : 김번욱

    본 연구과제는 저작권을 소유한 발주처의 권한에 의거하여, 공개 가능한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정보를 원하시는 분은 발주처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 의뢰자(부서) : 산업연구원 [연구의 목적] - 본 연구는 인천지역 뿌리산업의 실태를 분석하고 육성방안을 제시하여 인천지역 창조경제 활성화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특히 뿌리산업의 업종 구조화방안과 일자리 창출방안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함. [연구의 범위] - 뿌리산업의 개념 및 중요성 - 뿌리산업의 국외·국내 여건 - 인천지역 뿌리산업의 실태 - 인천지역 뿌리산업의 육성방안 · 활성화를 위한 기본방향 설정 · 인천 뿌리산업 육성을 위한 추진과제

  • 도시계획 용유무의지역 개발방안 수립용역

    • 연구기간 : 2013.04.15 ~ 2014.12.31
    • 연구유형 : 수탁
    • 연구자 : 이왕기

    본 연구과제는 저작권을 소유한 발주처의 권한에 의거하여, 공개 제공하고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정보를 원하시는 분은 발주처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 의뢰자(부서) : 경제자유구역청 용유무의개발과

  • 도시계획 아시아경기대회 사업계획변경2단계

    • 연구기간 : 2012.03.22 ~ 2014.12.31
    • 연구유형 : 수탁
    • 연구자 : 김용하

    본 연구과제는 저작권을 소유한 발주처의 권한에 의거하여, 공개 가능한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정보를 원하시는 분은 발주처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 의뢰자(부서) : 인천광역시 아시아경기대회지원본부

  • 행재정 인천광역시 학력향상협의체 구성과 역할

    • 연구기간 : 2014.09.01 ~ 2014.12.30
    • 연구유형 : 현안
    • 연구자 : 배은주

    [연구의 배경과 목적]인천시의 교육문제 중 학력향상의 문제는 중요하고도 오래된 과제임. - 인천시 학생들의 학력이 낮다는 것은 수능성적 1, 2 등급 학생의 비율이 전국 16개 시도 중에서 16위라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발표에 근거하고 있음.- 수능성적 최하위라는 보도로 인해 학생들의 학력이 낮다는 인식이 인천 시민들에게 팽배해졌고, 이는 우수 인재 유출 문제를 심화시키는 동인으로 작용함. -연속되는 수능성적 하위권이라는 보도로 인해 시교육청과 시청은 학생들의 학력향상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MOU를 체결하여 협력한 전례가 있음. - 시교육청과 시청은 일반계고교생의 학력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학력향상 선도학교’와 ‘잠재성장형학교’ 공모 및 지정을 통해 많은 예산을 지원하는 정책을 실행하였음.- ‘학력향상 선도학교’와 ‘잠재성장형학교’ 지원 사업은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지속되는 사업으로서, 시교육청과 시청이 대응투자 하여 학생들의 학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사업임. 하지만, 학력의 개념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부터 이견이 많아 학력향상을 위한 방법과 지원에 논란이 많았으므로, 학력향상의 문제는 교육자 및 교육전문가, 학부모, 일반시민들의 합의와 더불어 시민사회의 합의를 이끌어낼 필요가 있음.

  • 교통물류 한중항로 개방 물동량 추정 및 내륙운송 절감비용 산정

    • 연구기간 : 2014.08.04 ~ 2014.12.30
    • 연구유형 : 기획
    • 연구자 : 김운수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한중교역 현황- 대중국 교역에서 초기에는 대부분 중간재형태의 수출입이 주된 형태에서 점차 완제품이 증가하고 중간재가 감소하고 있음- 기계, 전기제품과 섬유, 의류, 귀금속, 광학 정밀기기 등은 높은 분업구조를 보임- 1990년대는 한국이 중국에서 의류를 수입하고 한국에서 중국으로 전자제품을 수출하였으나 2000년대에는 반도체산업 내에서 상호 활발한 교역이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 최근 20년간 한중 교역품목은 다음과 같이 변화되어 왔음

  • 행재정 인천광역시 도서관분야 중장기 추진계획(안) 검토

    • 연구기간 : 2014.08.04 ~ 2014.12.30
    • 연구유형 : 기획
    • 연구자 : 배은주

    [연구 내용]1. 인천 도서관의 미래 비전을 나타내는 슬로건 제안 및 검토 1안) 삶ㆍ문화ㆍ복지의 중심이 되는 도서관(Library as a hub for life, culture, and welfare) 2안) 책으로 소통하는 모두를 위한 도서관(Library for all to communicate through books)3안) 책으로 행복한 미래의 도서관(Future library for happiness through books)

  • 도시계획 생활중심형 주거 서비스 제공 실천방향

    • 연구기간 : 2014.08.04 ~ 2014.12.30
    • 연구유형 : 기획
    • 연구자 : 이왕기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생활중심형 주거 서비스 제공」 정책의 의미○ 정책 배경 및 목표인천시 민선6기 정부에서 제시한 공약사항으로, 원도심 일대 노후한 저층주거 밀집지역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고자 추진하는 정책임기반시설과 공동이용시설에 대한 공공 지원과 함께 개별주택 개량을 통한 맞춤형 주거지 관리 및 정비방식으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음○ 세부 사업내용2018년까지 커뮤니티 내 부족한 문화교육시설 확충형 도시재생사업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노후 주거환경을 개선할 예정임- 정비기반시설 확충: 도로, 상하수도, 공용주차장 등- 공동이용시설 정비・개량: 놀이터, 마을회관, 어린이집, 경로당 등- 노후주택 개・보수 지원: 담장 허물기, 지붕 개량, 주택 개・보수 등

  • 교통물류 목재 물동량 및 제조 수요 검토

    • 연구기간 : 2014.08.04 ~ 2014.12.30
    • 연구유형 : 현안
    • 연구자 : 김운수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목재화물은 원목과 목재·목탄·코르크를 합하여 구성되고 있음- 주로 수입화물이 대부분이며, 일부 수출 및 연안화물은 미미한 편임- 원목화물은 전용부두에 처리되며, 그밖의 화물은 컨테이너 및 일반부두에서처리됨- 또한 목재화물은 인천, 평택·당진항, 부산항, 군산항 등에 집중되어 있음2. 우리나라 목재물동량은 최근 10년간 연평균 3.9%가 증가하여 2013년17,877천톤을 기록하였음. 동 물동량의 대부분이 목재·목탄·코르크 화물의 증가에 기인함3. 주로 벌크성화물인 원목은 동기간 동안 4.0%가 감소하여 2004년 5,642천톤에서 2013년 3,915천톤으로 감소함4. 하지만 목재·목탄·코르크 화물은 컨테이너화로 진행되어 부산항을 중심으로 물동량 증가가 두드러짐5. 인천항 목재물동량은 2004년 5,692천톤에서 2013년 3,080천톤으로 26만톤이 감소하였음. 특히 목재·목탄·코르크화물은 연평균 10.8%가 감소하여 목재 물동량의 감소세를 주도하였음- 이처럼 원목의 감소는 수출국가에서 원목보다는 제재 등을 통해 1차 가공후 수출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목적과 목재·목탄·코르크 등의 일부화물이 컨테이너화로 전화됨에 따른 영향임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