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인천연구원이 발간하는 중국 전문보고서로 중국과의 교류·비즈니스 지원을 위한 시사·정책 이슈의 심층 분석과 관련 최신 정보 제공

ISSN 2765-1444(online)

 

전체 540

  • 시진핑 집권 1기의 성과와 제13차 5개년 규획 평가

    중국 제12차․5개년규획(12·5규획) 기간은 중국이 대내외 난관을 극복하고 G2국가로 인정받는 과정임  - GDP, 무역량, 1인당 GNI, 도시화율, 산업구조 등에 있어 괄목할 만한 성과 - 중속성장 시대로 접어들면서 '신창타이(新常態:뉴노멀)'에 대한 대응이 절박한 과제로 등장 제13차․5개년규획(13·5규획)에서는 '개혁'과 '조정'이 주요 화두로 대두  - 신창타이에 적응하고 장기발전을 위해 사회 전 분야의 개혁 필요 - 거시경제, 지역 불균형, 산업구조 등 각 분야의 관계 재조정 필요 ‘2개의 백년(兩個百年)’을 통한 '중국의 꿈' 실현을 위해 '네 개 전면'을 지도사상으로 제기  - 12․5규획을 계승하면서 공업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중국제조업2025> 전략 제시 - 신성장 동력과 분배 및 대외개방을 강조하고 8대 중점 과제 제시  <목 차> 1. 시진핑 정부 집권 1기의 성과 2. 13․5규획의 목표와 이념 3. 13․5규획의 부문별 내용4. 시사점

    • 등록일 2015.11.23
  • 시진핑 체제 중국외교 기조의 지속과 변화

    시진핑 체제 등장 이후 중국의 대외정책의 성격에 대해 논란이 벌어지고 있음 미국과 더불어 G2 시대에 한축을 담당하는 중국이 과거의 도광양회 전략을 폐기하고 적어도 동아시아에서 패권을 추구하고 있다는 견해들이 제기되고 있음 특히 일본과의 센카쿠 열도 분쟁, 동남아 국가들과의 남중국해 분쟁에서 과거보다 강경한 태도와 조치를 취하고, 신형대국관계, 일대일로 구상 등 새로운 이니셔티브를 제기하는 것이 새로운 전략을 표방하는 것이라는 판단임  시진핑 집권 1기 주요 이슈를 중심으로 중국의 대외정책의 지속과 변화에 대하여 살펴봄 <목 차> 1. 도광양회의 유지? 2. 중국의 전략 변화에 대한 논의 3. 시진핑 집권 1기 중국의 외교 이슈4. 종합 및 전망  

    • 등록일 2015.11.09
  • 「중국도시정보 16」 중국 화중지역 거점도시 발전 현황 분석

    중국의 가파른 경제성장세와 더불어 소비를 중심으로 한 내수경제로의 발전패러다임 전환, 그리고 권역별 성장 거점 대도시와 도시간 광역네트워크 전략의 등장은 우리에게지역차원의 보다 체계적인 대 중국 전략 마련을 요구하고 있음 INChina Brief <중국도시정보> 시리즈에서는 중국 화북/동북/화동/화중/서부 지역 주요거점도시의 경제역량 및 산업구조 특성에 대한 조사를 통해, 권역 거점도시 현황 파악및 체계적 교류·협력을 전개할 수 있는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함- 중국 지역거점도시에 관한 경제지표는 주로 김수한·유다형(2015a)에 기초하고 있음 <목 차> 1. 화중 거점도시 개요 2. 화중 거점도시 발전현황 분석3. 종합 및 교류 방향

    • 등록일 2015.10.19
  • 「중국도시정보 15」 중국 화동지역 거점도시 발전 현황 분석

    중국의 가파른 경제성장세와 더불어 소비를 중심으로 한 내수경제로의 발전패러다임 전환, 그리고 권역별 성장 거점 대도시와 도시간 광역네트워크 전략의 등장은 우리에게지역차원의 보다 체계적인 대 중국 전략 마련을 요구하고 있음 INChina Brief <중국도시정보> 시리즈에서는 중국 화북/동북/화동/화중/서부 지역 주요거점도시의 경제역량 및 산업구조 특성에 대한 조사를 통해, 권역 거점도시 현황 파악및 체계적 교류·협력을 전개할 수 있는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함- 중국 지역거점도시에 관한 경제지표는 주로 김수한·유다형(2015a)에 기초하고 있음 1. 화동 거점도시 개요 2. 화동 거점도시 발전현황 분석3. 종합 및 교류 방향

    • 등록일 2015.10.05
  • 「중국도시정보 14」 중국 동북지역 거점도시 발전 현황 분석

    중국의 가파른 경제성장세와 더불어 소비를 중심으로 한 내수경제로의 발전패러다임 전환, 그리고 권역별 성장 거점 대도시와 도시간 광역네트워크 전략의 등장은 우리에게지역차원의 보다 체계적인 대 중국 전략 마련을 요구하고 있음 INChina Brief <중국도시정보> 시리즈에서는 중국 화북/동북/화동/화중/서부 지역 주요거점도시의 경제역량 및 산업구조 특성에 대한 조사를 통해, 권역 거점도시 현황 파악및 체계적 교류·협력을 전개할 수 있는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함- 중국 지역거점도시에 관한 경제지표는 주로 김수한·유다형(2015a)에 기초하고 있음 1. 동북 거점도시 개요 2. 동북 거점도시 발전현황 분석3. 종합 및 교류 방향

    • 등록일 2015.09.21
  • 「중국도시정보 13」 중국 화북지역 거점도시 발전 현황 분석

    중국의 가파른 경제성장세와 더불어 소비를 중심으로 한 내수경제로의 발전패러다임 전환, 그리고 권역별 성장 거점 대도시와 도시간 광역네트워크 전략의 등장은 우리에게 지역차원의 보다 체계적인 대 중국 전략 마련을 요구하고 있음 INChina Brief <중국도시정보> 시리즈에서는 중국 화북/동북/화동/화중/서부 지역 주요 거점도시의 경제역량 및 산업구조 특성에 대한 조사를 통해, 권역 거점도시 현황 파악 및 체계적 교류·협력을 전개할 수 있는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함- 중국 지역거점도시에 관한 경제지표는 주로 김수한·유다형(2015a)에 기초하고 있음 <목 차> 1. 화북 거점도시 개요 2. 화북 거점도시 발전현황 분석3. 종합 및 교류 방향

    • 등록일 2015.09.07
  • 중국 신선물류 현황과 시사점

    중국의 소득수준 향상에 따른 냉동식품(frozen food) 수요 증가가 신선물류 유통시스템의 급속 성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그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음 현재까지 중국의 신선물류산업은 큰 규모는 아니지만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2014년 말 기준으로 중국의 신선물류 산업규모는 약 3조 8,700억 위안으로 추산되며 이 규모는 전년 동기대비 22% 증가하였음 아직까지 선진국에 비해 신선물류 시장은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으나, 정부의 관련 정책 제정으로 냉장운영에 대한 기준 개선, 신선물류 시설의 적정온도 기준 등이 마련되는 등 수시로 변화하는 중국 신선물류 정책변화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음   <목 차> 1. 중국의 농수산물 생산 현황  2. 중국의 신선물류 규모 및 관련 정책3.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5.08.17
  • 중국 《전국유통핵심도시배치계획》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중국 정부는 2015년 6월 1일《전국유통핵심도시배치계획(全國流通節點城市布局規劃)》을 발표함  - 이 계획에 따르면 지역별로 분포하고 있는 거점 도시 및 도시군이 중국 유통네트워크의 절점(節点:node)으로 기능하게 됨- 일대일로, 창장경제벨트, 징진지로 재편된 중국 지역발전 전략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 동 계획 내용의 정리를 통해 전국적 유통네트워크 정비·발전을 위한 중국 정부의 정책 지향과 목표를 가늠하고자 함 <목 차> 1. 권역 거점도시 연계망 구상 2. 《전국유통핵심도시계획》의 주요 내용   3.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5.08.03
  • 중국 개혁2.0 시대와 정치모델의 모색

    18차 당대회 이후 중국의 정책 초점은 제2의 개혁을 성공적으로 완성하기 위한 것에 맞춰져있으며,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든 개혁2.0 시대에는 근본적인 제도 혁신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뒷받침해주는 정치개혁모델이 요구됨 이에 따라 중국이 새롭게 정립하고자 하는 ‘사회주의민주정치’는 ‘전면심화개혁’의 과제를 완수하기 위한 정치적 조건을 확립하려는 목적 뿐 아니라, ‘민주’에 대한 적극적 해석을 통해 서구의 민주 담론 주도권을 깨고, 나아가 중국정치체제의 정체성과 그 구성적 특징을 찾는 과정으로 파악해 볼 수 있음 이를 위해 다시 ‘인민’을 호출하고 당의 역할을 강조하지만, 중국 사회주의민주정치가 공감을 얻고 구체적으로 실행되려면 인민을 위한 정책을 관철시켜야 할 뿐 아니라 인민 스스로가 ‘주인으로서의 권리’를 느끼고 행사할 수 있어야함 <목 차> 1. 개혁 2.0시대로의 진입 2. 개혁 2.0시대의 변화와 특징 3. 개혁 2.0시대의 중국정치모델을 모색하다4. 평가와 전망

    • 등록일 2015.07.20
  • 중국 농민공 현황 및 특징 -『2014 전국농민공모니터링조사』분석-

    중국 국가통계국이 2015년 상반기 발표한 『2014년 전국 농민공 모니터링조사보고』내용을 중심으로 중국 농민공 현황 및 특징을 살펴봄 중국 국가통계국은 2008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전국농민공모니터링조사보고(全国农民工监测调查报告)》를 통해 매년 전국 농민공 규모, 이주현황, 고용형태, 거주환경 및 사회보장제도 참여 등에 대해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음 이 조사는 사회주의 중국의 체제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중국 농민공에 대한 중요한 현황 자료를 제공해 줌으로써 당대 중국의 사회구조를 파악하고 전망할 수 있는 중요한 이해의 틀을 제공해 주고 있음 <목 차> 1. 조사 배경 및 개요 2. 전국 농민공 조사의 주요 내용  3.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5.07.06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