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연구원이 발간하는 중국 전문보고서로 중국과의 교류·비즈니스 지원을 위한 시사·정책 이슈의 심층 분석과 관련 최신 정보 제공
ISSN 2765-1444(online)
전체 540건
-
중국 민관협력(Public Private Partnership:ppp)지역개발 현황 및 시사점
중국은 빠른 도시화로 인한 도시기반시설·공공서비스 공급 수요 증대, 지방정부 재정부담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해 민관협력사업이 확대되고 있음 관련 정책 동향 및 대표적 사례로 꼽히는 구안공업단지를 검토에 기초하여 현황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함 이를 통해 중국 도시 기반시설·공공서비스 시장에 대한 한국의 진출 여건을 가늠할 수 있을 것임 <목 차> 1. 민관협력(PPP)의 개념 및 내용 2. 민관협력사업 추진현황 및 특징 3. 사례분석: 허베이성 구안공업단지 사례4.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5.06.29
-
중국, 뉴 유라시아 육교(New Eurasia Land Bridge) 건설 현황과 시사점
시진핑 집권 이후 중국은 기존 뉴 유라시아 육교 건설을 새로운 대외 정책의 핵심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음 이 사업은 기존에도 추진 중이었지만 시진핑 집권 이후 중국이 일대일로 구축을 핵심 정책으로 삼으면서 더욱 더 적극적으로 진행되고 있음 뉴 유라시아 육교 건설은 기존의 물류 유통망의 다양화를 넘어서 국제정치경제적인 차원에서도 커다란 변화를 가져올 것인바,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 방안 마련을 우리에게 요구하고 있음 <목 차> 1. 뉴 유라시아 육교의 내용과 건설 현황 2. 일대일로(一带一路)와 뉴 유라시아 육교3. 종합 및 시사점 그리고 대응방안
- 등록일 2015.06.05
-
「중국도시정보 12」 환발해 권역 성장거점, 중국 톈진시 발전 현황 분석
중국 환발해지역 중점 공업도시인 톈진시는 국제항공·물류의 중심지라는 강점을 활용하여 금융서비스, 상업, 대외무역 등 서비스업이 발달한 종합적 경제도시 나아가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음- 특히 톈진시는 최근 징진지 수도권 일체화 전략과 더불어 국가급 자유무역구로 지정됨으로서 세계도시로 발돋움할 수 있는 결정적 전기를 마련함 경제·산업 및 대외경제 분야를 중심으로 톈진시의 발전 현황과 추세를 점검, 톈진과의 교류·비즈니스 강화와 내실화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 <목 차> 1. 시 개요 2. 경제·산업 현황 및 추세 3. 대외경제 현황 및 추세4.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5.05.26
-
「중국도시정보 11」 중국 창장중역도시군발전계획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중국 국무원이 3월 26일 비준한 《창장중역도시군발전규획(长江中游城市群发展规划)》전문이 4월 17일 공개됨 이 계획은 중국 중앙정부의 중부굴기전략, 창장경제벨트 계획 그리고 국가신형도시화계획 등 중장기 지역발전 구상의 권역 액션플랜 성격을 지님 동 계획 내용의 정리를 통해 중속성장시대의 중국 지역발전 전략의 지향과 목표를 파악하는 한편 중부 내륙 지역 발전을 전망하고자 함 <목 차> 1. 제기 배경과 목표 2. 창장중역도시군의 구성 3. 《창장중역규획》의 주요 내용4.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5.05.11
-
중국의 주변국 외교전략과 한국에 대한 함의
시진핑 지도부는 주변국 외교를 전략적으로 강조하고 있으며, 이는 미중 간 전략적 경쟁 심화 및 중국과 주변국 간 해양 영유권 분쟁 격화에 대한 적극적 대응전략임 더 나아가 중국은 미국과의 지역질서 주도권 경쟁에서 주변국을 핵심대상으로 경제통합 및 안보협력을 통해 영향력 확대를 도모하고 있음 미중 간 전략적 경쟁 구도에서 한국은 한미동맹과 한중관계의 조화로운 발전을 추구하면서, 미중 간 경쟁이 협력으로 전환하여 ‘윈-윈’ 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함 <목 차> 1. 중국의 주변국 외교정책의 전개 2. 시진핑 시기 중국의 주변국 외교에 대한 전략적 강조3. 한국에 대한 함의
- 등록일 2015.04.17
-
중국 신창타이(新常态) 시기 지역발전의 재구성- 3개 지지대 전략의 대두
중국 정부는 2015년 3월 개최된 중국 제12차 전국인민대표대회 3차 회의를 통해 중국판 ‘뉴 노멀’로 불리는 이른바 ′신창타이(新常态)’시대에 진입했음을 분명히 함 이번 회의에서는 신창타이 시대에 걸 맞는 산업구조 재편 및 내수경제 육성을 위한 다각적 정책 방향, 과제와 함께 변화된 지역발전 전략을 제기하였음- 기존의 동부, 동북, 중부, 서부의 4대 권역 중심 지역발전 전략에서 3가지 지지대, 즉 일대일로(一带一路), 창장경제벨트(长江经济带), 징진지(京津冀)전략으로 재편 신창타이 시대에 새롭게 제기된 지역발전 전략의 주요 내용 정리에 기초하여 그 특징과 함의를 살펴 봄 <목 차> 1. 지역발전 전략의 재구성 2. 3개 지지대 전략의 주요 내용3. 종합 및 함의
- 등록일 2015.04.03
-
중국의 미디어 환경 변화와 한중관계
미디어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국가의 외교정책에 영향을 끼치고, 공공외교의 주요한 수단으로 활용되는 등 외교관계에 있어 중요한 행위자 역할을 담당 급속한 경제 성장과 함께 중국의 미디어 환경에 커다란 변화가 발생하고 있는데, 특히 인터넷 미디어를 통해 형성되는 여론이 외교정책을 포함한 중국 정부의 정책 결정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음 우리는 중국과의 관계를 맺어 가는데 있어 중국의 미디어 환경, 특히 인터넷 미디어 환경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적절한 대응 전략을 수립해야 함 본 보고서는 그 기초 작업으로서 중국에서 발표된 최신 자료를 바탕으로 중국의 미디어 환경 변화와 인터넷 미디어를 통해 형성되는 여론에 대해 살펴 봄 <목 차> 1. 미디어와 외교 2. 중국의 미디어 산업 발전 현황 3. 인터넷 공간에서의 중국 여론4. 한중관계에 주는 시사점
- 등록일 2015.03.23
-
「중국도시정보 10」 한중FTA 지방협력 시범지역,산둥성 웨이하이 발전 현황
2015년 2월 25일 한중 FTA 가서명 이후 공개된 영문 협정문의 지방경제협력 관련 조항(17조 25항)에서는 인천경제자유구역(IFEZ)과 중국 산둥성 웨이하이시(威海市)를 한중FTA 단일 시범 협력 지역으로 지정함 - 관련 협정문에 따르면 향후 각 시정부의 논의를 통해 한중 FTA의 무역·투자·서비스·산업협력 등 사항을 두 지역에서 시범사업으로 추진- 시범 결과를 검토하여 동 협력 사업을 양국 전체로 확대해 나감 중국 측 시범지역으로 선정된 산둥성 웨이하이시의 일반현황 및 경제·산업 발전 현황 그리고 주요 관련 정책에 대한 정리를 통해, 보다 체계적인 한중 FTA 지방협력 시범사업 수립과 진행을 위한 기초자료로 삼고자 함 <목 차> 1. 일반현황 2. 경제·산업 현황 3. 대외경제 현황 4. 주요 지역발전전략 5.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5.03.09
-
한·중 경협 활성화를 위한 지방정부 간 협력방안
한․중 양국은 FTA협상 타결을 위한 노력 강화에 합의하고, 2014년 11월 중국에서 개최된 APEC 정상회담에서 FTA협상의 실질적 타결에 합의하였으며, 이에 향후 한․중 FTA의 효율적인 활용방안과 동북아 경제협력 구축을 위한 전략 마련을 위한 노력이 필요 이러한 배경에서 한․중 양국 간의 경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지방 정부 간 협력의 필요성과 시범지역 운용을 바탕으로 한 지방정부간 협력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함 <목 차> 1. 한·중 경제협력 가속화와 정부 간 협력 2. 한·중 지방정부간 협력의 필요성 3. 한·중 지방정부간 협력 방안 4. 국내 지방정부간 협력 방안5. 결론 및 시사점
- 등록일 2015.02.22
-
중국 제3차 경제총조사(經濟普査) 내용 및 시사점 (2)- 공업·건축업, 3차 서비스업
중국정부가 2014년 12월 16일부터 순차적으로 발표한 중국 제3차 전국경제총조사 공보를 중심으로 중국의 전국적 생산활동 법인의 규모, 형태, 고용 등의 기본현황을 파악함 인차이나브리프 Vol. 283(2015년 1월 19일)에서는 3차 경제총조사의 개요, 경제활동 법인 기본현황, 경제구조 및 지역별 변화에 대한 내용을 정리함 인차이나브리프 Vol. 284(2015년 2월 9일)에서는 3차 경제총조사의 공업, 건축업, 서비스업에 대한 조사 내용을 정리함 <목 차> 1. 중국 제3차 전국경제총조사 개요 2. 경제활동 법인 기본현황 3. 경제구조·지역 별 변화 4. 공업·건축업 현황 5. 주요 3차 산업 현황 6.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5.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