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인천연구원이 발간하는 중국 전문보고서로 중국과의 교류·비즈니스 지원을 위한 시사·정책 이슈의 심층 분석과 관련 최신 정보 제공

ISSN 2765-1444(online)

 

전체 540

  • 「중국도시정보 Ⅶ」 지역혁신체제수립과 지역경제발전 -허난(河南)·안후이(安徽)성의 사례-

    2000년대 중반이후 중부굴기 전략의 추진, 내수시장 진작을 통한 경제성장 고도화 강조 등의 정책 추세가 나타남에 따라, 두 정책 추진의 공간대상인 중부지역에 대한 관심이 고조 상기 배경에서 중부6성 중 경제역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허난 및 안후이성의 경제현황을 살펴보고, 지역혁신체제론의 관점에서 지역혁신역량을 분석 분석결과, 대상지역의 지역혁신역량 및 지역경제발전과의 인과관계, 공간적 상관관계는 상당히 높은 편으로 도출 결과를 토대로 공간연계형 발전전략과 효율적 지역혁신체제의 구축·운영에 관한 시사점 제시 <목 차> 1. 허난·안후이성 경제발전현황 2. 지역혁신체제론의 개념 및 내용 3. 지역혁신역량 분석4. 정책적 시사점

    • 등록일 2014.04.07
  • 중국 전인대 12기 2중전회 주요내용 및 시사점

    2014년 3월 5일 개막한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제12기 2차 전체회의 (12기 2중전회)가 14일 폐막함 지난  2013년 11월의 중국 공산당 18기 3중전회에서 대내외에 공표된 시진핑 지도부의 심화개혁(深化改革) 기조가 이번 전인대를 통해 어떻게 정책적으로 보다 구체화할 것인가가 주목되었음 정부업무보고, 전인대 상무위원회 보고 등을 중심으로 전인대 12기 2중전회의 내용을 정리하고 그 시사점을 도출함 <목 차> 1. 12기 2중전회 개요  2. 전인대 12기 2중전회 주요 내용 3. 종합

    • 등록일 2014.03.17
  • 중국 주택시장 동향 및 2014년 전망

    중국은 주택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거시경제환경과 정책환경을 살펴보고, 주택 수요와 공급을 통해 2013년 주택시장을 분석해 2014년을 전망함  중국정부는 부동산시장에 대해서 실거주 수요에 대해서는 보장을 해주고 투기성 및 투자성 수요에 대해서는 억압을 하는 정책(有保有压)을 구사함  2013년 중국 주택시장은 수요가 공급을 크게 추월하는 양상을 보이며, 전국적으로 공급은 수요의 54.8%에 미치지 못함2014년에도 중앙정부의 정책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지역 별 상황에 따라 다소 상이한 정책들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됨    <목 차> 1. 2013년 주택시장 주변 환경 2. 2013년 주택시장 분석 3. 2014년 주택시장 전망 

    • 등록일 2014.03.03
  • 「중국도시정보 Ⅵ」 중국 中原 거점도시, 정저우(郑州)시 발전현황 분석

    정저우의 일반현황, 발전정책 그리고 최근 발전양상 정리를 통해 새로운 성장거점으로 부상하고 있는 중국 중부 권역 대도시 현황 파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 중부굴기 발전전략에 따라 중부 6개 성에는 거점도시를 중심으로 한 도시군 육성이 진행되고 있음 정저우시는 허난성 도시네트워크인 중원도시군의 핵심도시로서, 도시육성 정책에 힘입어 산업구조 재편이 가속화되고, 소비시장이자 물류 연계점으로서의 지위와 역량이 제고되고 있음 <목 차> 1. 중부굴기와 정저우 2. 정저우 발전현황3. 전망 및 연계방안

    • 등록일 2014.02.17
  • 한중 도시교류와 인문유대:인천-톈진 사례

    최근 한중 교류의 주요 내용이자 형식으로 제기하고 있는 인문유대의 배경 및 내용을 살펴보고, 이에 기초하여 한중 국제교류의 새로운 방식으로서 인문유대가 갖는 유용성과 한계를 알아 봄. 동북아 국제관계의 내실화를 위하여 역사·문화와 같은 소프트파워를 운용한 협력의제 발굴 필요 인천광역시의 대 중국교류 현황 및 인천-톈진 간 인문유대 추진 내역을 살펴보고 그 함의를 논의함 세계화와 지방화가 교차하는 Glocalization 시대에 지방외교의 역할 제고. 국제정세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도시정부 차원에서의 인문유대 추진 필요 <목  차> 1. 아시아 패러독스와 인문유대 2. 인문유대를 통한 한중관계 내실화 구상3. 인천 – 톈진 간 인문유대 논의

    • 등록일 2014.02.03
  • 「중국도시정보 Ⅴ」 중국 권역거점도시 발전·분포 현황과 시사점

    중국은 연해 대도시를 위주로 한 기존의 불균형 지역발전 전략을 수정, 권역 별 거점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도시군(城市群)육성의 권역거점 지역발전 전략을 전개하고 있음 이 같은 권역거점 지역발전 전략을 통해 연해지역에 새로운 1선 대도시 및 도시연계망이 발전하고, 내륙의 중서부 지역에 새로운 성장거점 대도시가 나타나는 등, 전국적으로 경제·사회적 공간구조의 재편이 가속화 되고 있음 중국의 가파른 경제성장세와 더불어 소비를 중심으로 한 내수경제로의 발전패러다임 전환, 그리고 권역별 성장 거점 대도시와 도시네트워크의 등장은 우리에게 국가 ·지역 차원의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對 중국전략 마련을 요구하고 있음 <목 차> 1. 개혁개방과 지역발전전략 2. 권역거점 육성 전략 대두 3. 권역거점 도시 발전· 분포 현황4.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4.01.20
  • 《중국의 Deep Reform 1》 “약화되는 정당성, 진화하는 통치술”

    중국공산당은 2013년 11월 9일부터 12일까지 제18기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 ‘18기 3중 전회’)를 개최함 회의에서는 사회주의 중국 국정운영에 대한 전략적 함의를 담고 있는 “전면적인 개혁 심화의 몇 가지 중대 문제에 관한 중국공산당 중앙의 결정”의 당 문건을 통과시킴 문건의 첫 번째 부분인 ‘전면적 개혁 심화의 중대 의미와 지도사상’에서는 중국 개혁을 완성하기 위한 정치적 목표를 제시 이는 지난 30여 년 간 경제개혁에 부합하는 정치모델을 끊임없이 모색해온 중국 공산당이 보다 구체적이고 분명한 정치개혁의 목표를 제시한 것임 문건에 적시된 관련 내용을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서 심화개혁(深化改革)을 기치로 내 건 시진핑 중국 지도부가 추진할 중국 정치개혁 및 통치모델의 내용을 탐색하고 향후를 전망하고자 함 <목 차> 1. 중국식 정치모델은 가능한가? 2. 레닌주의 당-국가체제에서의 의법치국 3. 당 영도 합법성의 근거 4. 군중노선 강화의 배경과 함의5. 평가 및 전망 * 인천발전연구원 한중Zine에서는 <중국의 Deep Reform> 연중 기획 시리즈를 통해 심화개혁(深化改革)을 기치로 내 건 2014년 중국의 개혁조치와 정책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그 향방을 가늠하고자 합니다.

    • 등록일 2014.01.06
  • 시진핑 체제 1년, 성과와 한계- 국내정치를 중심으로

    2013년 3월 시진핑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가 중국의 국가주석으로 취임하면서 명실 공히 시진핑 체제가 출범했음.10년 만에 이뤄진 최고 지도자의 교체로 인해 중국의 변화에 대해 각계의 관심이 집중되었음. 시진핑 체제는 기본적으로 대내적으로 개혁개방 정책의 부작용, 즉 불균형 발전의 부작용을 해소하면서도 경제성장과 사회 안정을 이루어 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음. 이러한 대내적인 안정을 바탕으로 대외전략을 추진할 수 있는 것이기에 상대적으로 국내 정책에 관심의 초점이 맞춰짐. 한편, 이런 국내정책 가운데 가장 관심을 모은 것은 정치 개혁과 관련된 것임. 이는 2012년 11월 런민(人民) 일보에서 실시한 여론 조사에서 약 80%의 대도시 주민들이 가장 시급한 개혁 과제로 정치 영역을 선택한 것으로 통해서도 알 수 있음. 이 글에서는 시진핑의 1년을 국내 정치 특히 그중에서도 정치 개혁과 관련된 사항을 살펴봄. 또 현 시기 시진핑 체제의 향후 집권 전략이 제출되었다고 평가되는 중국 공산당 제18기 당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이하 18기 3중전회)의 주요 결정 내용을 살펴보고 평가함.   <목  차> 1. 집권능력 강화를 위한 정치·행정 개혁 2. ‘중공 18기 3중전회’ 주요 내용과 평가3. 향후 전망 및 시사점

    • 등록일 2013.12.23
  • 리커노믹스(Likonomics) 1년, 초기조건, 정책기조 및 주요 내용

    2013년 시진핑·리커창의 중국 새 지도부는 경제·산업구조의 근본적 체질 개선 없이는 중국 경제의 지속성장 담보할 수 없다는 점에 주목, 과거 고성장 시대와의 작별을 고하고 경제뿐만 아니라 소득불균형 등 사회전반의 문제를 해결해야 함을 강조.  중국경제 운영의 책임자인 리커창 중국 총리는 중국 경제현황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해결방안인 리커노믹스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음. 리커노믹스는 중국의 새 지도부를 대표하는 경제통인 리커창 총리의 경제정책을 일컫는 신조어임. 디플레이션에서 탈피해 경제성장을 재개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일본 아베총리의 경제운영 기조인 아베노믹스와 달리, 리커노믹스는 성장을 둔화시키더라도 성장의 질을 높이는 방향을 추구. 리커노믹스는 지속가능한 성장으로의 전환을 위해 단기적 성장 둔화가 불가피하다면 이를 용인한다는 중국 새 지도부의 기본 방침이 담겨 있음. 리커노믹스의 핵심은 경기부양책 비동원, 부채 축소, 구조개혁 단행임. 리커노믹스 1년의 주요 경제 정책 내용과 방향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우리의 대응방안을 초보적으로 제시함.   <목  차> 1. 리커노믹스 도입의 초기조건 2. 리커노믹스의 정책기조 및 주요 내용3. 전망 및 대응의 기본 방향

    • 등록일 2013.12.09
  • 「중국도시정보 Ⅳ」 중국 권역별 거점도시·도시군 육성전략

    후진타오를 이은 시진핑 중국 신지도부의 핵심 국가운영 기조인 권역 별 거점도시·도시군 육성전략의 대표사례로서 선양경제구(沈阳经济区)를 살펴봄. 중국 동북3성은 도시군 발전전략을 통하여 도시 간 통합과 연계가 가속화되고 공간적으로 확산, 과거 낙후 노후공업지역의 이미지를 벗고 동북아의 신성장 거점으로 거듭나고 있음. 랴오닝성 성도(省都)이자 동북 3성 최대도시인 선양을 중심으로 한 선양대도시권 육성을 주목할 필요가 있음.선양경제구의 핵심인 선양시는 조만간 중국의 5번째 직할시로 승격될 것임. 랴오닝성 지역의 지역내 총생산액은 2007년부터 2011년의 최근 5년간 연평균 13.5%의 고성장을 기록하고 있으며, 2011년에도 소속 14개 도시가 모두 11~14%대의 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빠른 성장과정에 놓여 있음. 지역 별로 상당한 거리를 두고 분포해 있는 대도시들을 인위적으로 연결 짓고 있는 여타의 중국 도시군과 달리 선양경제구 도시군은 공간적으로 맞닿아 있을 뿐만 아니라 산업구조 및 업종 유사성 등 도시네트워크 구현을 위한 유리한 여건이 갖추어져 있음. 선양경제구는 출해항구로서 잉커우(營口)항을 포함하고 있어 향후 환황해 권역의 국제물류에도 막대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됨. <목 차> 1. 중국 거점도시·도시군 육성전략 2. 동북부 지역발전과 도시군 육성 3. 선양경제구 육성전략 개요4. 발전현황 및 전망

    • 등록일 2013.11.18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