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연구원이 발간하는 중국 전문보고서로 중국과의 교류·비즈니스 지원을 위한 시사·정책 이슈의 심층 분석과 관련 최신 정보 제공
ISSN 2765-1444(online)
전체 543건
-
《중국의 Deep Reform 2》 중국 금융시장의 구조개혁 가속과 시사점
중국 금융시장은 지난 1949년부터 2000년까지 금융시장의 통제기와 시스템 형성 및 발전기를 거치면서 기본적인 금융시장의 틀을 마련 2001년 WTO 가입이후부터 대외적으로 은행, 보험, 증권 등 업종의 개방과 대내적으로 국유은행들의 주식제 개혁을 통해 경쟁력이 크게 개선 하지만, 양적 시스템 개선에만 치중하면서 국유중심의 융자시스템 지속, 지방정부의 높은 은행여신, 기업 및 가계 부채 확대 등 금융 리스크가 확대 이에 따라, 최근 시진핑 체제로 진입하면서 금융시스템 개혁뿐 아니라, 금리 및 환율시스템 개혁, 금융안정망 구축 등 다방면에서 금융의 질적 개혁을 추진이 예상 <목 차> 1. 중국 금융시장의 개방화 과정 2. 최근 중국의 금융시장 현황 3. 중국 금융시장의 리스크와 구조개혁 4. 종합 및 시사점 * 인천발전연구원 한중Zine에서는 <중국의 Deep Reform> 연중 기획 시리즈를 통해 심화개혁(深化改革)을 기치로 내 건 2014년 중국의 개혁조치와 정책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그 향방을 가늠하고자 합니다.
- 등록일 2014.05.23
-
「중국도시정보 Ⅷ」중부 핵심 거점도시, 우한(武漢)시 발전현황 분석
우한시의 일반현황, 발전정책 그리고 최근 발전양상 정리를 통해 새로운 성장거점으로 부상하고 있는 중국 중부 권역 대도시 현황 파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 중부굴기 발전전략에 따라 중부 6개 성에는 거점도시를 중심으로 한 도시군 육성이 진행되고 있음 우한도시군 핵심인 우한은 상하이, 항저우의 창장 하류와 충칭의 창장 상류를 연결하는 증부 최대의 발전 거점도시임 <목 차> 1. 중부핵심 거점도시, 우한 2. 우한시 발전현황3.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4.05.09
-
중국『신형 도시화 계획 2014-2020』주요 내용과 시사점
중국 국무원은 2014년 3월 16일 <국가신형도시화계획國家新型城鎭化規劃(2014~2020)>(이하 신형도시화계획) 발표 이번 <신형도시화계획>은 도시화에 바탕을 둔 내수 확대로 중국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자 하는 시진핑 지도부의 국정운영 향방을 가늠할 이해의 틀거리를 제공해 주고 있음총 8편 31장으로 구성된 <신형도시화계획>은 2020년까지의 중국 도시화 중장기 전략으로서 향후 중앙정부의 각 부서 및 지방정부에서의 관련 정책 수립과 운영의 지침 역할을 하게 됨 <신형도시화계획>을 중심으로 중국 도시화 현황 및 과제 그리고 도시화 추진을 위한 각 영역별 정책 방향을 정리하고 그 함의를 고찰함 <목 차> 1. 중국 도시화 현황 및 성과·한계 2. <신형도시화계획> 주요 내용 3.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4.04.21
-
「중국도시정보 Ⅶ」 지역혁신체제수립과 지역경제발전 -허난(河南)·안후이(安徽)성의 사례-
2000년대 중반이후 중부굴기 전략의 추진, 내수시장 진작을 통한 경제성장 고도화 강조 등의 정책 추세가 나타남에 따라, 두 정책 추진의 공간대상인 중부지역에 대한 관심이 고조 상기 배경에서 중부6성 중 경제역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허난 및 안후이성의 경제현황을 살펴보고, 지역혁신체제론의 관점에서 지역혁신역량을 분석 분석결과, 대상지역의 지역혁신역량 및 지역경제발전과의 인과관계, 공간적 상관관계는 상당히 높은 편으로 도출 결과를 토대로 공간연계형 발전전략과 효율적 지역혁신체제의 구축·운영에 관한 시사점 제시 <목 차> 1. 허난·안후이성 경제발전현황 2. 지역혁신체제론의 개념 및 내용 3. 지역혁신역량 분석4. 정책적 시사점
- 등록일 2014.04.07
-
중국 전인대 12기 2중전회 주요내용 및 시사점
2014년 3월 5일 개막한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제12기 2차 전체회의 (12기 2중전회)가 14일 폐막함 지난 2013년 11월의 중국 공산당 18기 3중전회에서 대내외에 공표된 시진핑 지도부의 심화개혁(深化改革) 기조가 이번 전인대를 통해 어떻게 정책적으로 보다 구체화할 것인가가 주목되었음 정부업무보고, 전인대 상무위원회 보고 등을 중심으로 전인대 12기 2중전회의 내용을 정리하고 그 시사점을 도출함 <목 차> 1. 12기 2중전회 개요 2. 전인대 12기 2중전회 주요 내용 3. 종합
- 등록일 2014.03.17
-
중국 주택시장 동향 및 2014년 전망
중국은 주택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거시경제환경과 정책환경을 살펴보고, 주택 수요와 공급을 통해 2013년 주택시장을 분석해 2014년을 전망함 중국정부는 부동산시장에 대해서 실거주 수요에 대해서는 보장을 해주고 투기성 및 투자성 수요에 대해서는 억압을 하는 정책(有保有压)을 구사함 2013년 중국 주택시장은 수요가 공급을 크게 추월하는 양상을 보이며, 전국적으로 공급은 수요의 54.8%에 미치지 못함2014년에도 중앙정부의 정책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지역 별 상황에 따라 다소 상이한 정책들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됨 <목 차> 1. 2013년 주택시장 주변 환경 2. 2013년 주택시장 분석 3. 2014년 주택시장 전망
- 등록일 2014.03.03
-
「중국도시정보 Ⅵ」 중국 中原 거점도시, 정저우(郑州)시 발전현황 분석
정저우의 일반현황, 발전정책 그리고 최근 발전양상 정리를 통해 새로운 성장거점으로 부상하고 있는 중국 중부 권역 대도시 현황 파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 중부굴기 발전전략에 따라 중부 6개 성에는 거점도시를 중심으로 한 도시군 육성이 진행되고 있음 정저우시는 허난성 도시네트워크인 중원도시군의 핵심도시로서, 도시육성 정책에 힘입어 산업구조 재편이 가속화되고, 소비시장이자 물류 연계점으로서의 지위와 역량이 제고되고 있음 <목 차> 1. 중부굴기와 정저우 2. 정저우 발전현황3. 전망 및 연계방안
- 등록일 2014.02.17
-
한중 도시교류와 인문유대:인천-톈진 사례
최근 한중 교류의 주요 내용이자 형식으로 제기하고 있는 인문유대의 배경 및 내용을 살펴보고, 이에 기초하여 한중 국제교류의 새로운 방식으로서 인문유대가 갖는 유용성과 한계를 알아 봄. 동북아 국제관계의 내실화를 위하여 역사·문화와 같은 소프트파워를 운용한 협력의제 발굴 필요 인천광역시의 대 중국교류 현황 및 인천-톈진 간 인문유대 추진 내역을 살펴보고 그 함의를 논의함 세계화와 지방화가 교차하는 Glocalization 시대에 지방외교의 역할 제고. 국제정세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도시정부 차원에서의 인문유대 추진 필요 <목 차> 1. 아시아 패러독스와 인문유대 2. 인문유대를 통한 한중관계 내실화 구상3. 인천 – 톈진 간 인문유대 논의
- 등록일 2014.02.03
-
「중국도시정보 Ⅴ」 중국 권역거점도시 발전·분포 현황과 시사점
중국은 연해 대도시를 위주로 한 기존의 불균형 지역발전 전략을 수정, 권역 별 거점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도시군(城市群)육성의 권역거점 지역발전 전략을 전개하고 있음 이 같은 권역거점 지역발전 전략을 통해 연해지역에 새로운 1선 대도시 및 도시연계망이 발전하고, 내륙의 중서부 지역에 새로운 성장거점 대도시가 나타나는 등, 전국적으로 경제·사회적 공간구조의 재편이 가속화 되고 있음 중국의 가파른 경제성장세와 더불어 소비를 중심으로 한 내수경제로의 발전패러다임 전환, 그리고 권역별 성장 거점 대도시와 도시네트워크의 등장은 우리에게 국가 ·지역 차원의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對 중국전략 마련을 요구하고 있음 <목 차> 1. 개혁개방과 지역발전전략 2. 권역거점 육성 전략 대두 3. 권역거점 도시 발전· 분포 현황4.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4.01.20
-
《중국의 Deep Reform 1》 “약화되는 정당성, 진화하는 통치술”
중국공산당은 2013년 11월 9일부터 12일까지 제18기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 ‘18기 3중 전회’)를 개최함 회의에서는 사회주의 중국 국정운영에 대한 전략적 함의를 담고 있는 “전면적인 개혁 심화의 몇 가지 중대 문제에 관한 중국공산당 중앙의 결정”의 당 문건을 통과시킴 문건의 첫 번째 부분인 ‘전면적 개혁 심화의 중대 의미와 지도사상’에서는 중국 개혁을 완성하기 위한 정치적 목표를 제시 이는 지난 30여 년 간 경제개혁에 부합하는 정치모델을 끊임없이 모색해온 중국 공산당이 보다 구체적이고 분명한 정치개혁의 목표를 제시한 것임 문건에 적시된 관련 내용을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서 심화개혁(深化改革)을 기치로 내 건 시진핑 중국 지도부가 추진할 중국 정치개혁 및 통치모델의 내용을 탐색하고 향후를 전망하고자 함 <목 차> 1. 중국식 정치모델은 가능한가? 2. 레닌주의 당-국가체제에서의 의법치국 3. 당 영도 합법성의 근거 4. 군중노선 강화의 배경과 함의5. 평가 및 전망 * 인천발전연구원 한중Zine에서는 <중국의 Deep Reform> 연중 기획 시리즈를 통해 심화개혁(深化改革)을 기치로 내 건 2014년 중국의 개혁조치와 정책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그 향방을 가늠하고자 합니다.
- 등록일 2014.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