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연구원이 발간하는 중국 전문보고서로 중국과의 교류·비즈니스 지원을 위한 시사·정책 이슈의 심층 분석과 관련 최신 정보 제공
ISSN 2765-1444(online)
전체 540건
-
한중수교 20주년 특집Ⅰ: 한중 양국 국민의 상호인식 분석
한중수교 20주년을 맞아 양국 국민의 상호인식 변화를 추적하는 것은 향후 양국관계의 지속적인 발전을 추진하는 방향을 결정하는 토대가 될 것임. 아울러 이는 공공외교 시대의 새로운 트렌드를 구축하는 바탕이 될 것임. 이 글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한중 인적교류의 현황과 특징, 그리고 한중 양국 국민의 서로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분석함. 이를 바탕으로 상호이해와 공존을 위한 주요 해법은 무엇이 될 수 있는지 초보적으로 검토하고자 함. <목 차> 1. 한중 인적교류의 현황과 특징 2. 한국인에 대한 중국인의 인식 3. 중국인에 한국인의 인식4. 상호이해와 공존의 길
- 등록일 2012.08.06
-
북중 경제교류·협력 동향과 시사점
최근 수년간 남북한 교역과 경제협력이 둔화하고 있는 데 반해 북중 무역과 경제 협력은 크게 확대됨으로써, 이 분야에서 북중관계가 남북관계를 대체해 나가고 있는 상황임. 중국의 대북 경제 지원과 투자는 단기적으로 북한체제 안정화를 도모하는 한편, 중장기적으로 중국 동북 3성 지역의 경제 개발을 통한 변방지역의 안정화, 북한의 중화경제권 편입을 통한 동북아 영향력 증대 등과 같은 전략적 목적 하에 수행되고 있음. 북한은 생존과 체제안정을 위해 경제재건이 절실하나 자체의 자본과 기술이 부족한 상황임. 이와 같은 조건에서 북한은 해외 자본과 투자에 상당 정도 의존해야 하는 상황임. 현재 북한이 이용 가능한 해외 자본은 사실상 중국 이외에 다른 대안이 없음. <목 차> 1. 북중 무역 동향 2. 북중 경제협력 동향3. 북중 경제관계 강화가 갖는 시사점
- 등록일 2012.07.23
-
중국의 미래권력
지난 7월3일 궈진롱(郭金龙) 베이징시 당서기 선출을 마지막으로 9개월 간 진행되었던 중국 공산당 성(省〔성‧직할시‧자치구〕급 31개 당위원회 인사가 완료됨. 오는 12월 중국 공산당은 18차 전당대회를 통해 후진타오 지도부를 대신할 새로운 지도부를 선출하게 됨. 이번에 선출된 지방 각지의 성급 신임 당서기들은 중앙의 신지도부와 더불어 향후 5년에서 길게는 10년간 사회주의 중국의 정치‧ 경제‧ 사회를 관장할 파워엘리트임. 31명 성급 당서기의 신상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중국 엘리트 지형을 살펴보고 그 함의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목 차> 1. 중국의 미래권력- 성급 당서기 2. 31명 성급 당서기 프로필 분석3. 중국 정치엘리트 지형에 갖는 함의
- 등록일 2012.07.05
-
중국 동북진흥전략의 진화
최근 몇 년간 계속 악화되어 온 남북관계 경색 국면과는 달리 북-중 사이의 협력은 점차 심화 ․ 발전하고 있음. 북중 접경지대 연계 개발은 한반도 및 중국의 3자 협력에 기회와 도전의 과제를 동시에 부여하고 있음. 따라서 긍정적 측면을 극대화하여 활용하고 다른 한편 부정적 측면을 협력하여 억제하고자 하는 방안 모색과 실행이 필요함. <목 차> 1. 중국 동북진흥전략의 진화 2. 랴오닝 연해경제벨트발전계획과 북중협력3. 전망 및 정책적 시사점
- 등록일 2012.06.18
-
2012년 하반기 중국 경제 정책기조 분석 및 전망
2012년 상반기 중국 경제 성적이 예상 보다 낮아질 것으로 예측되면서, 중국 정부의 전반적인 경제 정책 기조 변화의 조짐이 보이고 있음. 2012년 상반기 수출, 투자 그리고 소비 등 영역에서의 발전이 대내외환경의 악화 등으로 인해 당초 예상치보다 낮게 나오고 있음. 더구나 이러한 대내외 환경의 호전이 단시간 내에 발생할 것으로 보이지 않기 때문에 중국 정부는 경제 정책의 전반적인 기조를 변화해야 할 절박한 상황에 직면함. <목 차> 1. 2012년 상반기 중국 경제 상황 2. 2012년 하반기 중국 경제 정책기조 분석3. 향후 전망 및 시사점
- 등록일 2012.06.11
-
중국 최고지도부 권력승계의 제도화 과정 및 함의
사회주의 중국은 여타의 레닌주의 체제와 마찬가지로 선거 등 최고지도부 권력승계를 위한 기제가 갖추어져 있지 않음. 마오쩌둥 시기는 물론, 개혁 이후에도 중국 공산당 권력승계를 둘러싼 정치 불안이 지속됨. 그러나 2002년 장쩌민으로부터 후진타오로의 안정적 권력승계가 이루어졌음. 5년과 10년을 주기로 한 상당규모의 정치엘리트 순환이 진행되고 있음. 마오쩌둥의 일인지배와 개혁기 원로정치라는 비공식정치를 대신하여 점차 권력승계의 제도화가 진전되고 있는 것. 비록 보시라이 사태와 같이 권력승계를 둘러싼 중국 정계의 난맥상이 드러나고는 있지만 오는 2012년 12월 차기 지도부 권력승계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것임. <목 차> 1. 중국 비공식정치의 지속과 변화 2. 중국 권력승계의 제도화 과정3. 중국 권력승계 제도화의 정치적 함의
- 등록일 2012.06.11
-
중국의 녹색산업 성장에 따른 녹색금융 정책과 진출전략
2007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녹색성장은 환경보호나 자원고갈에 대한 장기적인 대책보다 오히려 새로운 성장 동력을 발굴하기 위한 방안으로 부상하기 시작함. 중국 정부는 녹색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녹색금융을 적극 육성하고 있음. 중국은 화폐시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본시장이 덜 발달되어 있어 은행의 녹색대출이 녹색금융 중 절대적인 비중을 점함. <목 차> 1. 중국의 녹색산업 정책 2. 중국의 주요 녹색산업 3. 중국의 녹색금융 정책과 현황4. 우리나라 기업의 진출전략
- 등록일 2012.06.11
-
2011년 중국 500대 기업 분석
중국 기업연합회는 <2011 중국 500대 기업 발전 보고2011(中国500强企业发展报告)>를 발표함. 1위를 차지한 기업은 시노펙(中国石油化工)이며, 페트로차이나(中国石油天然气), 국가전력망공사(国家电网), 공상은행(工商银行), 차이나 모바일(中国移动)이 각각 2, 3, 4, 5위를 차지함.2011년 미국 포춘지가 발표한 세계 500대 기업에는 중국 기업들이 57개가 진입함. 세계 500대 기업과 중국 500대 기업의 평균매출은 그 격차가 점점 축소됨.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이후로 중국 대형국영기업들은 해외인수합병을 통해서 활발히 해외진출을 시도하고 있음.중국 기업들은 앞으로 국내외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면서, 기술혁신을 통해 산업구조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국제경쟁력을 갖춘 세계 일류 기업들을 육성중임. <목 차> 1. 배경 2. 2007~2010년 중국 500대 기업 변화 분석 3. 세계 500대 기업과 중국 500대 기업4. 중국 500대 기업의 발전전망
- 등록일 2012.05.25
-
중국의 영화 시장 분석 및 영화 산업의 발전 전망
최근 몇 년래 중국의 영화 시장은 방영횟수, 관객 수와 영화 매표수입 등 각종 지표가 모두 크게 증가하여 지속적인 상승세에 있음.2011년 중국의 영화 연간 매표 수입은 130억 위안을 돌파하였고, 매일 평균 새로 증가한 스크린 수는 8.3개에 달함.중국의 영화 산업은 1년에 20%이상 성장하고, 빠른 경제성장 유지를 위해 중요한 기여를 하며, 국가의 문화적 소프트파워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음.중국 영화의 매표 수입이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는 것은 의심할 가치가 없으며, 2010년의 고속 성장을 유지할 수 있을지는 영화의 질량과 마케팅 활동 등에 의존할 것으로 보임. <목 차> 1. 중국 영화 시장의 발전 현황 2. 중국 영화 시장 분석3. 중국 영화 산업의 발전 전망
- 등록일 2012.04.09
-
중국 자동차산업의 고도화와 대응전략
2009년에 세계 1위의 소비시장이자 생산국가로 부상한 중국의 자동차산업은 최근 성장세가 둔화되긴 했지만 향후에도 세계 최대 자동차시장의 지위를 유지할 것이며 그 과정에서 경쟁이 더욱 격화될 전망임.중국 자동차기업은 글로벌 브랜드와 합작을 통해 선진기술을 도입하거나, 자체 브랜드 활용, 글로벌 브랜드 인수합병 등을 통해 산업고도화를 추진해 왔으며, 향후 중국정부의 지원과 자동차업계 전반의 구조조정 과정을 거치면서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한 소수 기업이 탄생할 가능성이 있음. 한중 FTA를 통한 내국민대우 획득, 부품・R&D・신에너지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한중 협력 강화 등으로 중국 자동차시장 진출을 확대할 필요 <목 차> 1. 중국 자동차산업의 발전 추이 2. 중국 로컬 자동차기업의 고도화 현황3. 글로벌기업의 대응방향 및 시사점
- 등록일 2012.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