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인천연구원이 발간하는 중국 전문보고서로 중국과의 교류·비즈니스 지원을 위한 시사·정책 이슈의 심층 분석과 관련 최신 정보 제공

ISSN 2765-1444(online)

 

전체 540

  • 다롄시 한국기업투자 현황

    한국은 홍콩, 일본에 이어 다롄의 3대 투자국으로 다롄에 투자하는 한국기업의 수준이 규모나 기술수준 등 크게 변모하고 있음. 2010년, 다롄시 신규 승인된 한국기업의 투자 건수는 75개로, 다롄 투자 외국기업의 총수의 15.9%를 차지함. 등록자본금은 1.59억 달러로 2%, 실제 이용 한국자본은 6억 달러로 6%임.   <목  차> 1. 한국기업 재(在)다롄 직접투자규모 점차 확대 2. 다롄 투자 한국기업 주요산업 업종 3. 다롄 투자 한국기업의 투자방식 4. 다롄 투자 한국기업의 건당 투자규모 및 수준 5. 다롄 투자 한국기업 기술수준6. 대기업이 중소기업을 추동하여 부품 계열화하는 투자방식 형성

    • 등록일 2011.10.10
  • 중국 서비스 무역 발전 현황과 발전전략

    최근에 중국 정부가 서비스 무역 발전을 중요시함에 따라 2004년 이래 경쟁력 지수 값이 소폭 상승하였으며, 중국의 서비스 무역 국제 경쟁력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2007년 중국 서비스 무역 발전 보고서> 중 2006년 서비스 무역 수출입 총액은 1,917.5억 달러로서 2005년에 비하여 22.1% 증가하였으며 그중 수출이 914.2 억 달러로 23.7% 증가, 수입이 1,003.3 억 달러로 20.6% 증가함.   <목  차> 1. 중국 서비스 무역의 현황 2. 중국 서비스 무역의 비교우위 분석 3. 중국 서비스 무역의 문제점4. 중국 서비스 무역의 발전전략

    • 등록일 2011.09.26
  • 중국의 도시화 전망(3)

    전통적인 중국에 관한 견해와 달리 중국의 의사결정은 상대적으로 분권화되어 있음. 이는 중국의 지방정부들이 각기 다른 도시화의 기회와 도전에 직면해있음을 의미함. 대부분의 세금은 지방정부가 관할하고 산업보조금부터 유통허가에 이르는 의사결정을 지방정부에서 처리함. 전통적으로 중앙정부는 성장을 추구하는 지방정부의 기업가적 성향에 의존해 왔음.   <목  차> 1. 도시화 시나리오별 장․단점 2. 국가정책의 집중화된 도시화 적용가능성3. 도시생산성 제고를 위한 제언 * 본 호는 제200호, 제201호와 함께 열람하시기 바랍니다.

    • 등록일 2011.09.14
  • 중국의 도시화 전망(2)

    이미 중국의 도시화 수준은 1980년의 두 배 이상 증가하여 2005년에 44%가 되었고, MGI에서는 2025년에는 중국 인구의 2/3정도 64%가 도시에서 살게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또 도시는 지난 20년간 중국 GDP성장의 주된 성장 요인이었으며 이는 앞으로도 20년간은 더 지속될 것이며, 현재 중국 GDP의 75%가 도시에 발생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2025년에는 95%로 그 비중이 높아질 것임.   <목  차>  3. 고용수요와 도시화 동력4. 분산된 도시화의 압력요인 * 본 호는 제200호 중국의 도시화 전망(1)과 함께 열람하시기 바랍니다.

    • 등록일 2011.08.29
  • 중국의 도시화 전망(1)

    중국이 보여주고 있는 놀라운 경제성장과 생활수준의 급격한 향상은 역사상 유래를 찾아볼 수 없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중국 도시화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음. MGI(McKinsey Global Institute)는 이런 추세를 검토하여, 2025년 중국의 도시화를 전망함.2025년경 인구 100만 명이상의 도시는 유럽의 경우 35개인데 비해 중국의 경우는 221개(이중 인구 500만 명 이상인 도시도 23개)로, 중국 GDP의 90%이상이 도시경제에서 발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목  차>  1. 도시화 4대 유형과 중국 도시화 시나리오2. 2025년 중국의 도시화 전망

    • 등록일 2011.08.17
  • 충칭시 도농통합개혁 현황과 성과

    충칭시는 중국의 도농통합개혁 즉 사회의 공평, 안정, 경제발전을 저해하는 도시와 농촌의 호적을 이원화하여 관리하는 현재의 호적제도를 개혁하고, 관련 농촌토지제도를 개혁하는 핵심 시범지역임. 본 보고서는 도농통합 개혁의 가장 중요한 내용인 호구제개혁의 비용 및 재원조달 현황과 2010년 도농통합의 성과에 대해서 충칭시와 관련된 자료를 중심으로 정리하여 봄.   <목  차> 1. 충칭시 도농통합개혁의 개요 2. 2010년 주요부문의 개혁성과3. 기타부문의 성과와 2012년 목표

    • 등록일 2011.07.26
  • 대규모 도시화의 새로운 실험: 성유(成渝)도농종합개혁시험구

    성유(成渝)지역 2007년 6월에 전국도농종합개혁시험구로 선정되었음. 중경과 성도는 이미 11차 5개년 규획1)에서부터 서부지역 발전을 견인할 서남지역(사천, 귀주, 운남)의 중심축을 형성할 성유경제구의 핵심으로 지정됨.  중국연해지역에서 비즈니스코스트가 급속히 상승하여, 제조업이 중서부로 이전하고, 서부 중심도시 중경과 성도는 많은 제조업을 받아들여, 공업화가 급진전되고 있음.  사회의 공평, 안정, 경제발전을 저해하는 도시와 농촌의 호적을 이원화하여 관리하는 현재의 호적제도가 최대의 개혁대상이 되고 있으며 관련 농촌토지제도의 개혁도 필요로 제기되고 있음.   <목  차> 1. 성유(成渝)종합개혁시험구 2. 성유시험구의 최근 호적․토지개혁 현황 3. 개혁의 중점과 과제4. 두 가지 개혁패턴

    • 등록일 2011.07.11
  • 산동반도 해양경제구 발전계획

    산동성(山东省)이 향후 해양경제(Marine economy를 주요 성장 동력으로 하는 중국의 핵심 경제구역으로 성장할 전망임. 산동성의 향후 경제건설 전망에 관하여 살펴보기 위해서는 최근 국가발전전략으로 된 2개의 발전계획을 참조할 필요가 있음. 산둥반도는 중국 최대크기의 반도(半岛)로써 해안선 길이가 3,345㎞이며 200개가 넘는 만(湾)과 1만 톤급 이상 선박이 정박 가능한 수심을 지닌 곳은 51개 보유하고 있는 등 해양경제의 요지임.   <목  차> 1. 산둥반도 해양경제 자원 및 발전현황 2. 발전계획 및 목표3. 시사점

    • 등록일 2011.07.01
  • 중국인 해외관광 수요와 발전전망

    지금까지 아시아지역의 관광시장은 대부분 일본과 한국, 홍콩이 주도해 왔으나, 2013년이 되면 중국이 일본을 넘어서 세계 2대 관광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2020년 중국의 관광시장 규모는 국내 관광의 경우 매년 14%의 성장을 이루며 5.4조 위안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해외관광 역시 대폭 성장하여 일본의 3배에 달할 것으로 보임.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중국인의 해외여행 수요와 함께 한국 관광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해 봄.   <목 차> 1. 중국의 해외여행 시장규모 2. 중국인 해외여행객 특징 3. 중국인의 한국에 대한 여행수요 및 인식4. 시사점  

    • 등록일 2011.06.13
  • 중국 개인의 고액 자산 소유 현황 및 투자동향

     2010년 중국 개인의 전체 투자여유자산 규모는 62조 위안으로 전년대비 약 19% 성장.또한 천만위안(약 1조7천억원)이 넘는 자산을 소유한 고액순자산보유자는 2010년 50만명으로, 평균 소유자산이 3천만 위안, 전체 자산규모는 15조 위안(약 2,500조원)에 달함.이러한 고액순자산보유자수는 2011년에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59만명에 달할 것으로 보이며, 그 자산규모는 18조 위안으로 늘어날 전망.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중국의 차오샹(招商)은행에서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새로운 투자 세력으로 떠오르고 있는 중국의 고액자산 소유 개인의 현황을 알아보고 그 동향을 살펴보고자 함.   <목  차> 1. 중국 개인의 고액자산 소유 규모 2. 중국의 고액순자산보유자의 지역별 분포 3. 지역별 고액순자산보유자 특징 4. 중국 고액순자산보유자의 해외투자 동향5. 시사점

    • 등록일 2011.05.23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