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인천연구원이 발간하는 중국 전문보고서로 중국과의 교류·비즈니스 지원을 위한 시사·정책 이슈의 심층 분석과 관련 최신 정보 제공

ISSN 2765-1444(online)

 

전체 540

  • 우수 인재 부족에 시달리는 중국

    전 세계적으로 우수 인재에 대한 부족현상이 심화되는 가운데, 중국의 우수인재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우수인재 육성이 매우 시급해짐.이는 재중, 재한 기업도 같이 겪고 있는 어려움으로,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 인재를 유치하고 활용하는 방안을 생각해 보지 않을 수 없는 상황임. 인천의 경우 국제적 교육환경이 경제자유구역의 글로벌 캠퍼스를 중심으로 자리잡아가고 있으며, 인천소재 대학 재학 외국인 유학생의 70%가 중국인 유학생이므로 이를 잘 활용할 경우, 우리 기업과 중국이 필요로 하는 중국 우수인재 육성 중심지로 거듭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생각됨. <목 차> 1. 심화되는 중국의 우수인재 부족 현상 2. 해외유학을 통한 중국의 인재육성 3. 인천의 중국 우수인재 육성 여건 4. 우리기업의 중국인 유학생 활용 여건5. 송도 글로벌 캠퍼스를 활용한 중국 인재 육성 방안

    • 등록일 2011.05.09
  • 중국 부유층의 명품 소비성향

     ‘사치품’이라 일컬어지는 명품에 대한 중국인의 소비가 급속히 증가하며, 2010년에는 그 소비규모가 미국을 초월하여 세계 2위에 랭크됨. 그 증가 추세는 지속적으로 이어져 올해에는 일본을 초월하여 세계 최대 명품소비 국가가 될 것으로 전망되며,중국사회과학원의 「상업 백서(商业蓝批书)」에 의하면 2010년 중국의 명품소비액은 94억 달러에 달함.  본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중국 부유층의 명품관련 소비동향에 대해 매킨지社에서 실시한 「2010년 중국소비자조사보고」와 「확대되는 중국의 명품시장」보고서를 중심으로 정리함.   <목  차> 1. 중국인의 일반적 소비패턴 2. 중국의 부유층 현황 3. 중국 부유층의 명품 소비성향4. 시사점  

    • 등록일 2011.04.19
  • 세계 화교기업 현황과 지역별 특징

    2008년 말 현재 전세계 화교(华侨) 및 화인(华人)은 약 4,800만 명으로 추산되며,  전 세계  화상기업의 총자산은 3조9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화교는 전세계에 분포하며 자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등 각 국가의 주요 경제주체이면서 해외투자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 특히 아시아지역 화교의 경제적 영향력은 간과하기 어려울 정도로 큰 세력을 형성. 본 보고서는 중국신문사 연구부(中国新闻社课题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세계에 분포한 화상기업의 자산을추정하고 국가별 특징을 분석함.   <목   차> 1. 전 세계 화교기업 현황 2. 화교기업의 최근 동향 3. 지역별 화교기업 동향 및 특징4. 시사점

    • 등록일 2011.04.05
  • 중국‘11·5계획’기간 경제적 성과와 도시발전 동향

    중국의 ‘11·5계획’기간은 중국경제가 국내외 여러 불안 요소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성장하여 종합적으로 국력을 상승시킨 5년으로 평가됨.    2010년 중국의 1인당 GDP는 2만9,748위안, GDP는 5조8,791억 달러로‘11·5계획’기간 동안 각각 연평균 10.6%, GDP는 연평균 11.2% 성장.    대외무역규모 역시 크게 확대되어 2010년 중국의 수출입액은 2조 9,728억 달러로 ‘10·5계획’기간 말보다 1.1배 증가. 외국인직접투자 누계액은 4,260억 달러로 연평균 11.9%로 증가, ‘10·5계획’기간 보다 1.6배 성장하여 2010년 세계 2위의 FDI 대상국으로 부상.   또한 경제 급성장과 함께 빠른 도시화로 도시의 경제성장이 가속화 되며, 지급(地极)이상 도시의 생산총액은 2009년 20조7,728억 위안으로 연평균 14.3% 성장, 상하이시와 베이징시의 GDP는 1조 위안을 넘어섬.   <목  차> 1. 기초 경제분야 성과 2. 대외 경제분야 성과3. 도시화와 도시 경제분야 성과

    • 등록일 2011.03.23
  • 중국의 대외직접투자 동향 및 특징

    중국은 최근 수년간 국제수지 흑자로 외환보유고가 2010년말 기준 2조8,473억 달러로 2005년 대비 2.5배, 5년간 연평균 28.3%의 성장을 보이며 전 세계 외환보유고의 31.7% IMF자료에 의하면 2010년 말 현재 전세계 외환보유액 8조9,860억 달러를 차지. 2002년부터 2010년 까지 중국의 대외직접투자는 연평균 52%의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자국기업의 해외투자를 적극 장려, 세계 투자시장의 큰 세력으로 등장. 2010년 중국의 비금융부문 대외직접투자 규모는 590억 달러로 전년대비 36.3% 증가, 중국은 개혁개방이래 전 세계 170개국에 걸쳐 약 1.6만개의 해외기업에 총 2,458억 달러를 투자함.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2009년까지 중국의 대외직접투자 자료를 바탕으로 유동량과 분야, 주체 등 동향과 투자 특징을 살펴봄.   <목 차> 1. 중국의 대외직접투자 유동량 2. 중국의 대외직접투자 지역별 현황 3. 중국의 대외직접투자 업종별 현황 4. 중국의 대외직접투자 주체별 현황5. 최근 중국의 대외직접투자 특징 및 전망

    • 등록일 2011.03.08
  • 중국의 해외경제무역합작구 설립과 기업의 해외진출

    중국정부는 중국기업의 국제화와 해외진츨을 촉진하기 위해 기업이 주체가 되어 해외지역에 '해외경제무역합작구'를 건설, 경제무역발전과 공동이익을 창출하고자 하고 있다. 이에 2006년 11월 26일 최초로 ‘하이얼-루바 경제구역’이 파키스탄에 건립되면서 중국 기업과 지방정부의 해외 진출이 활기를 띠게 된다. 본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중국의‘합작구’설립 배경과 현황을 살펴보고 중국기업의 해외진출 전망과 시사점을 도출해 보았다. <목 차> 1. 중국의 해외경제무역합작구 추진배경 및 현황 2. 해외경제무역합작구 운영방식 및 유형 3. 해외경제무역합작구 설립사례4. 시사점

    • 등록일 2011.02.21
  • 대-중 분쟁에서 평화의 중심으로 떠오르는 진먼도

    대만의 진먼(金門)도는 중국의 푸젠성(福建)과 해협을 사이에 두고 제일 가까운 직선거리가 2km에 불과해 양안간 군사적 충돌이 가장 빈번하게 이루어지던 분쟁지역으로 대만인도 진먼섬을 출입하기 위해서는 허가를 받아야 했던 대표적 분쟁지역. 그러나, 푸젠성의 샤먼 경제특구와 대만기업투자구에 대한 대만 기업의 투자가 활발히 일어나고, 양안간 경제협력기본협정(ECFA)를 체결하는 등 정치적 긴장 완화와 함께 대만과 중국간 경제적 협력관계가 밀접해 지고, 미사일 개발로 이 지역의 군사적 중요도가 저하되면서 진먼섬에 주둔하던 대만 병력이 10만에서 1만으로 줄어듬.또한 진먼과 대륙과의 직항 개설과 직접무역을 허가하는 소삼통이 시행되면서, 상호 방문과 경제교류가 자유롭게 되자 진먼은 이제 양안의 평화 중심으로 떠오르며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됨. 진먼은 중국과 대만의 대표적 분쟁지역으로 지금까지 우리나라 서해의 벤치마킹 대상으로 자주언급되는 지역임. 이로 인해 진먼도의 요새화는 서해5도 지역의 군사시설 확대 문제가 대두될 때마다 자주 인용되기도 함. 그러나 현재 진먼은 요새화 정책을 포기하고 중국과 대만의 정치적 긴장완화와 함께 경제적 협력이 강화되면서, 양 지역의 평화와 협력의 상징이 되고 있음. 이 지역은 양 지역의 정치·경제적 협력에 앞서 시범지역으로 소삼통을 시행하고 군사시설을 축소하는 등, 평화 유지와 협력의 기반이 됨. 따라서, 남한과 북한의 정치적·군사적 긴장 완화와 통일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진먼도와 같이 평화와 협력을 위한 시범지역 또는 완충지역 구축이 필요. 대만은 육지가 아닌 해협을 사이에 두고 있는 진먼도를 시범지역으로 선정하여 군사적 안보를 확보하면서 제한적 협력과 개방을 추진한 후 중국인에 대한 대만 본토 개방을 추진. 따라서 군사적 안보를 확보하면서 제한적 협력과 개방을 추진할 수 있는 지역을 시범지구 또는 완충지역을 발전시켜 남북간 평화를 정착시키고, 통일에 대비하는 기반 조성이 필요. <목 차> 1. 대만과 중국의 최전선 진먼도 2. 진먼도 평화개발 정책 및 인프라 조성 3. 평화 정착과 개발로 활력을 되찾아가는 진먼도4. 시사점

    • 등록일 2011.02.08
  • 중국인 해외관광 현황 및 전망

    중국의 관광산업 육성과 개방 정책, 그리고 경제의 지속적 성장으로 중국인의 해외관광은 계속해서 확대되는 추세를 보임. 이는 2011년에도 계속될 전망이며, 쇼핑과 휴양, 서구문화 경험 등 중국 관광객의 해외여행에 대한 기호가 변화하고 해외여행 빈도수가 늘어나면서 해외여행지도 가까운 동남아에서 유럽, 미주 지역으로 전환되는 성향을 보임.  <목    차> 1. 중국의 관광산업 활성화 및 개방 정책 2. 2010년 1~3분기 중국인 해외관광 동향 분석 3. 2011년 중국인 해외관광 전망4. 시사점    

    • 등록일 2011.01.17
  • GDP를 통한 중국 100대 도시 발전 잠재력 전망

    GDP는 한 국가의 국경내에서 이루어진 생산활동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경제의 글로벌화와 함께 기업의 해외진출이 늘어나게 되면서 기존의 GNP가 대외수취소득을 정확하게 산출하는 것이 어려워지자 이에 대체하여 GDP가 경제성장률을 추정하는 기준으로 사용되게 됨.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1994년~2007년까지 중국의 100대 시와 직할구(市轄區)의 GDP를 통해 각 도시들의 미래 경제발전에 대해 전망해 봄.   <목    차> 1. 중국의 도시별 GDP 현황 2. GDP를 통한 중국 도시의 발전 잠재력 전망 3. 도시별 발전 단계 전망 

    • 등록일 2011.01.03
  • 중국기업의 해외 M&A 현황

    2001년 이래 중국기업의 해외 인수합병은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2008~2009년까지 중국기업의 에너지 및 자원과 관련된 기업의 해외 인수합병이 급증하여 세계 각국의 주목을 받음. 본 보고서에서는 중국기업의 해외 인수합병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전망에 대해 살펴보고자 함.   <목    차> 1. 중국기업의 해외 M&A 현황 2. 중국기업 해외 M&A의 주요 특징3. 중국기업 해외 M&A의 문제점

    • 등록일 2010.12.20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