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인천연구원이 발간하는 중국 전문보고서로 중국과의 교류·비즈니스 지원을 위한 시사·정책 이슈의 심층 분석과 관련 최신 정보 제공

ISSN 2765-1444(online)

 

전체 540

  • 상하이 다국적 기업 본부 현황

    상하이 다국적 기업의 투자 특징을 알아보고 세계 500대 기업 중 기업 본부가 상하이에 입주한 58개 기업을 대상으로 국가별, 업종별로 나누어 살펴보며, 상하이 다국적 기업 본부의 입지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4가지 요인(교통, 기업이미지, 상권의 번화성, 문화의 융합성) 에 대해 살펴봄.  <목    차> 1. 상하이 다국적 기업의 투자 특징 2. 상하이 다국적 기업 본부의 공간 집적 3. 상하이 다국적 기업 본부 입지 선정의 영향 요인 4. 시사점  

    • 등록일 2010.12.07
  • 중국 항공 운송 산업의 글로벌화 전략

    본 보고서는 중국 화물 운송 시장의 위기와 미국과 EU간에 체결한 'Open Sky'  협정에 따른 중국 및 기타 국가들의 개방화 추세, 중국 항공 운송 산업의 현황 및 글로벌화 전략을 살펴본다.   <목   차> 1. 중국 화물 운송 시장의 위기 2. 글로벌 항공 시장의 개방화 3. 중국 항공 운송 산업의 현황 4. 중국 항공 운송 산업의 글로벌화 전략 

    • 등록일 2010.11.23
  • 중국의 도시집적과 네트워크 구조의 특징

    중국 도시군의 기본 개념, 특징 및 21세기 중국 도시군의 미래 발전 모델과 중국의 미래 도시화 발전방향에 대한 핵심 대책을 알아본다.   <목    차> 1. 도시군의 기본 개념 2. 중국 도시군의 특징 3. 21세기 중국 도시군의 미래 발전 모델4. 중국의 미래 도시화 발전방향에 대한 핵심 대책

    • 등록일 2010.11.10
  • 중국 대학의 국제화와 인재육성 정책

    중국 고등교육의 육성정책 및 중국 상위대학의 경쟁력과 국제협력 현황을 살펴보고, 중국의 해외유학 현황 및 외국인 유학생 현황을 분석해 봄.   <목    차> 1. 중국의 고등교육 육성 정책 2. 주요 대학의 경쟁력 및 국제협력 현황 3. 중국의 인재육성 정책과 해외유학생4. 시사점  

    • 등록일 2010.10.19
  • 다롄시 발전전략의 변화 및 구상

    다롄시의 30년간의 개혁개방 역사를 통해 변화된 다롄시의 발전전략을 살펴보고 미래 도시의 발전전략을 구상해 본다.   <목    차> 1. 다롄시 발전전략의 변화과정 2. 다롄시 발전전략을 위한 조건3. 새로운 시기 도시발전전략의 초기 구상

    • 등록일 2010.10.05
  • 아시아 각국 도시들의 경쟁력 평가

    본 보고서에서는 세계 500대 도시 내 랭크된 187개 아시아 도시의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아시아 도시의 경쟁력을 분석평가함.                                                                                                   <목    차> 1. 세계 속 아시아 도시의 위상 2. 주요 요소환경별 경쟁력 분석3. 아시아 도시의 잠재력

    • 등록일 2010.09.20
  • 상하이 엑스포와 장강삼각주 문화산업발전의 신구도

     본 보고서에서는 상하이, 항저우, 난징 등 3개 도시를 축으로 하는 장강삼각주 지역의 문화산업발전 현황을 살펴보고 상하이 엑스포가 이 지역의 문화산업 구도에 미칠 영향을 전망해 보고자 함. <목    차 > 1. 장강삼각주 지역의 문화산업 개요 2. 장강삼각주 문화산업의 발전현황 3. 장강삼각주의 문화산업 발전 요인4. 상하이 엑스포와 장강삼각주 문화산업

    • 등록일 2010.09.07
  • 징진지(京津冀) 지역의 경제발전 및 협력 전망

    톈진 빈하이신구가 국가 발전 전략에 편입되고 차오페이뎬 신도시의 건설이 가속화되면서 중국 국가발전위원회는 징진지 지역의 발전 계획을 제정함. 

    • 등록일 2010.08.25
  • 칭다오의 환발해지역 역내 경제협력전략

    최근 중국의 지역경제협력에 새로운 방향이 형성되고 톈진 빈하이신구의 개발이 중국 국가발전 전략구도에 편입됨에 따라 환발해경제권의 발전 역시 새로운 단계로 접어듦.이런 시기에 칭다오와 환발해경제권의 발전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칭다오의 미래 발전에 매우 중요한 전략적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음.  <목    차> 1. 칭다오의 경쟁력 분석 2. 칭다오의 기능 포지셔닝3. 칭다오와 기타 환발해지역간의 경제협력방안

    • 등록일 2010.08.10
  • 중국 환황해지역의 본사경제(總部經濟) 평가 현황

    기업은 자사의 필요에 따라 R&D, 마케팅, 구매 등의 기능을 강화하여 R&D센터, 마케팅센터, 구매센터 등의 독자적인 본사를 설립하거나 영업이익 극대화 및 시장의 원할한 통제와 관리를 위해 유럽 본사, 아시아 본사, 중국 지역 본사 등의 지역 본사를 설립함.   <목    차> 1. 본사경제의 개념 2. 중국 환황해지역의 본사경제 평가 현황 2-1. 베이징의 본사경제 평가 현황 2-2. 상하이의 본사경제 평가 현황 2-3. 톈진의 본사경제 평가 현황2-4. 칭다오의 본사경제 평가 현황

    • 등록일 2010.07.28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