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인천연구원이 발간하는 중국 전문보고서로 중국과의 교류·비즈니스 지원을 위한 시사·정책 이슈의 심층 분석과 관련 최신 정보 제공

ISSN 2765-1444(online)

 

전체 540

  • 랴오닝성 5점1선 발전 전략 분석

      - 목차 -           1. 5점1선 발전 전략 수립 과정 및 배경          2. 5점1선 발전 전략 추진 현황         3. 5점1선 전략의 문제점과 전망

    • 등록일 2010.07.09
  • 중국 보세구의 발전 현황

    세관보세 등의 우대혜택을 통해 외국의 자본 및 기술을 이용하여 외향형경제를 발전시키고 나아가 지역경제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1990년대에 중국은 보세구를 지정하여 운영하기 시작. <목    차> 1. 중국 보세구의 개요 2. 중국 보세구의 종류 및 기능3. 중국 보세구의 운영현황 및 실적

    • 등록일 2010.07.06
  • 신중국 탄생 이후 60년간 상하이의 변화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탄생 이래 2009년까지 60년간 상하이는 개혁개방과 푸둥(浦東)개발 정책을 통해 도시 경제가 급속하게 발전하였고, 이와 함께 도시민의 생활수준과 도시가 크게 변모하게 됨.   <목    차> 1. 국민경제의 빠른 발전 및 종합국력 신장 2. 산업 구조조정을 통한 경제 성장 기반 확립 3. 개방구조 형성 및 대외경제관계 확대4. 사회·문화적 생활수준 향상

    • 등록일 2010.06.21
  • 2008년 중국의 문화소비시장 현황

    2008년 중국은 베이징올림픽과 패럴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하였으나 남방지역의 눈피해와 원촨 대지진, 글로벌 금융위기로 경제가 불안해지고 소비시장이 위축됨에 따라 문화소비시장도 복잡해짐.     <목    차> 1. 관광소비의 내수 주도 2. 인터넷 사용 증가 및 신매체의 접촉 기회 증가3. 문화소비 수준의 향상

    • 등록일 2010.06.07
  • 2009년 칭다오시 중소기업의 발전 현황

    2009년 금융위기의 영향으로 중국의 국내외 경제성장이 둔화되었고 이에 따라 칭다오시의 중소기업은 대외무역 수출의 차단, 내수시장의 수요 감소, 자본 부족, 융자난 등의 어려움에 직면했으나 지속적으로 완만한 성장세를 유지함. <목    차> 1. 칭다오시 중소기업의 발전 현황 2. 금융위기와 칭다오시 중소기업 3. 칭다오시 중소기업의 현안4. 칭다오시의 중소기업 발전 지원 정책

    • 등록일 2010.05.17
  • 빈하이(濱海)신구와 푸둥(浦東)의 금융혁신모델

    개혁개방 후 30년간 중국경제는 80년대 주강 삼각주(珠江三角洲) 지역, 90년대 장강 삼각주(長江三角洲)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하였으며 현재는 톈진 빈하이신구 등 환발해지역 및 상하이 푸둥지역을 중심으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음.   <목    차> 1. 빈하이신구와 푸둥의 금융발전을 위한 기초역량    ▣ GDP와 금융자산량    ▣ 금융시장과 금융기구 수    ▣ 빈하이신구와 새로운 금융환경 2. 빈하이신구와 푸둥의 금융혁신모델    ▣ 빈하이와 푸둥 금융혁신의 지도방침 및 목표    ▣ 빈하이신구와 푸둥 금융혁신모델의 특징3. 빈하이신구와 푸둥 금융혁신모델의 성과  

    • 등록일 2010.05.03
  • 2008~2009년 중국의 인바운드 관광시장 현황

     2008년 중국의 인바운드 관광객 수가 소폭 감소를 나타낸 가운데 근거리 관광시장의 주요 타깃인 홍콩과 마카오의 인바운드 관광객 수는 각각 소폭 증가 및 감소 추세를 보였으며 중,장거리 관광시장의 주요 타깃인 타이완과 해외시장은 모두 뚜렷한 감소세를 보임. <목    차 > 1. 국제 관광시장 현황 2. 중국 인바운드 관광 현황3. 중국의 관광시장 활성화 정책

    • 등록일 2010.04.19
  • 포스트 금융위기 시대 중국의 전자정보산업

    2008년 미국 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글로벌 금융위기가 가속화 되면서 세계 경제의 증가속도가 둔화되고 중국의 전자정보산업이 타격을 입었으나 이와 함께 새로운 변화와 기회 및 도전에 직면함.   <목    차> 1. 중국 전자정보산업의 현황 2. 중국 전자정보산업의 기회여건3. 중국 전자정보산업이 직면한 과제

    • 등록일 2010.04.05
  • 2009년 중국의 소득분배 현황 및 전망

    미국발 금융위기의 영향으로 중국의 수출이 타격을 입어 경제 성장속도가 둔화되고 소득분배에도 악영향을 끼침. 중국 정부는 이를 타계할 해법으로 일련의 경제 촉진 계획을 추진, 이들 정부 정책에 힘입어 중국 경제는 2009년 2분기를 기점으로 다시 반등하기 시작함.   < 목    차 > 1. 중국의 도농간 소득격차 변화 2. 중국의 지역간 소득격차 변화 3. 중국의 업종간 소득격차 변화 4. 중국의 소득분배 정책 변화5. 중국의 소득분배 현안    

    • 등록일 2010.03.23
  • 중국 현대 중산층과 여성의 소비성향 분석

    통계에 의하면 2006년 연간소득이 7,500~25,000달러에 달하는 중국의 중산층 가정은 약 3,500만 가구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학력의 전문직 여성은 약 1,740만 명, 자녀가 없는 딩크(DINK) 가정은 60만에 달함 <목    차 > 1. 중국 중산층과 현대여성 현황 및 특성 2. 중국 중산층과 현대여성의 소비패턴 및 특징3. 시사점

    • 등록일 2010.03.09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