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연구원이 발간하는 중국 전문보고서로 중국과의 교류·비즈니스 지원을 위한 시사·정책 이슈의 심층 분석과 관련 최신 정보 제공
ISSN 2765-1444(online)
전체 543건
-
상하이 산업관광의 현황
상하이 지역은 타 지역에 비해 자연 관광 자원이 풍부하지 못한 반면 백 여 년에 걸친 산업발전으로 중국 산업의 역사와 문화가 집적되어 있는 산업관광 메카로 발전할 수 있는 다양한 요건을 지니고 있음. <목 차> Ⅰ.산업관광의 개념 및 정의 Ⅱ.상하이 산업관광의 현황 및 특징 Ⅲ.2010년 세계엑스포와 상하이 산업관광발전의 전망 Ⅵ.상하이 산업관광 현안Ⅴ.결론 및 시사점
- 등록일 2009.06.15
-
중국 실버관광시장의 현황
▣ 중국의 실버관광시장은 아직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으나 그 잠재력은 매우 크며, 이러한 중국의 실버관광 수요에 부응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전략 수립이 필요함. ::::: 목 차 ::::: Ⅰ.서론 Ⅱ.중국 실버관광의 현황 Ⅲ.중국실버관광 시장의 현안 Ⅵ.중국 실버관광시장의 잠재력 Ⅴ.해외실버관광 사례 Ⅶ.시사점
- 등록일 2009.05.25
-
화동(华东) 수출상품 교역회의 성장
▣ 화동 수출상품 교역회(华东出口商品交易会, 화교회)는 규모와 바이어 참가수, 교역량 등에서 중국 최고를 자랑하는 국제무역 전시회라 할 수 있음. ::::: 목 차 ::::: Ⅰ.화동 수출상품 교역회 개요 Ⅱ.화동 수출상품 교역회의 성장과정 Ⅲ.화교회의 주요 특징 Ⅳ.화교회의 역할과 성과
- 등록일 2009.05.11
-
2008 중국 전시산업 현황
2008년 중국의 인쇄, 제지업, 포장, 바코드라벨산업의 전시회 현황을 지역, 월별로 분석 <목 차> Ⅰ.연간 전시회 개최 현황 Ⅱ.지역별 전시현황 Ⅲ.지역·년도별 전시현황 Ⅳ.전시회장별 현황Ⅴ.주관업체별 현황
- 등록일 2009.04.27
-
중국 5대 경제특구 충칭(重慶)- 지우롱포 개발구
▣ 충칭시는 베이징, 상하이에 이은 세 번째 국가급 중심 도시로서 서부 진출의 전략적 거점지역이라는 이점과 발전우위를 지니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음. ::::: 목 차 ::::: Ⅰ.충칭시 개요 Ⅱ.지우롱포 개발구 현황 Ⅲ.지우롱포의 5개 산업원구 Ⅳ.정책적 시사점
- 등록일 2009.04.13
-
중국 대학 산학 연계 창업 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전세계적으로 소상품시장으로 명성을 떨치고 있는 중국 절강성 이우시에 입지하고 있는 이우공상직업기술대학((义乌工商职业技术学院, 이하 "이우공상대학"이라 칭함)에서는 산학 연계 교육 프로그램을 이용한 학제운영으로 졸업생의 창업 및 실무능력 제고에 주력하고 있음. <목 차> Ⅰ.창업과 함께 관련 기업이 캠퍼스로 진출 Ⅱ.창업과 대학교육의 접목Ⅲ.정책적 시사점
- 등록일 2009.03.27
-
월경(越境)적 교류 확대를 통해 도시기능을 통합하는 홍콩과 중국선전(深圳)
홍콩이 중국 선전과의 협력을 시작한 이래, 홍콩주민의 선전에 대한 관광, 투자와 비지니스, 소비 및 거주뿐만 아니라 선전 주민의 홍콩에 대한 방문과 투자가 급속도로 증가함. 홍콩-선전의 협력강화와 도시기능 통합은 추후 남북의 신뢰 형성 및 통일 후 도시 기능 통합, 체제 융합의 좋은 모델이라 할 수 있음 <목 차> Ⅰ.홍콩-선전의 교류 현황 Ⅱ.홍콩-선전 접경지역 공동개발의 가속화 Ⅲ.시사점
- 등록일 2009.03.13
-
도시의 성장동력 중국 이우(義烏)소상품 시장
개혁개방이래 경제부흥을 중점으로 한 도시건설이라는 '흥상건시(兴商建市)' 발전 전략하에 이우(义乌)시는 소상품 도매시장을 중심으로 공업화, 국제화, 도농(都農)일체화를 도모해옴. 본고에서는이우시의 경제사회발전특색을 중심으로 그 내용을 알아보고자 함. <목 차> Ⅰ.이우시장의 현황과 발전 특징 Ⅱ.이우시장을 세계로 이어주는 "이우 박람회"Ⅲ.세계적 불황속에서도 성장하는 이우시장
- 등록일 2009.02.27
-
위기속에서 기회 잡는 중국 자동차 산업
▣ 9년간의 지속적인 두 자리 수 성장을 거듭해 오던 중국의 자동차 산업에도 세계 경제위기로 인한 한파가 밀려드는 가운데, 이를 기회로 반전시키기 위한 중국 자동차 업계의 자구책이 속속 발표되고 있음. 타 다국적 기업들 역시 연간 소비량 930만대를 넘는 중국시장에 대한 기대감으로 지속적 투자를 계획 중이며, 이로 인해 향후 중국 자동차 시장에서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 질 것으로 보임. ::::: 목 차 ::::: Ⅰ.세계 자동차 산업 불황이 중국에 미치는 영향 Ⅱ.중국 자동차 시장에 대한 전망 Ⅲ.중국 대체 에너지 자동차 개발의 약진Ⅳ.중국의 자동차 산업 지원정책
- 등록일 2009.02.12
-
2009년 중국 거시경제 및 정책동향 전망
▣ 본 보고서는 2008년 12월 중국의 차이징(财经) 잡지와 중국국가통계국의 중국경기모니터링센터(中国景气监测中心, 이하 모니터링센터라 칭함)가 합작으로 진행한 거시경제조사 결과를 정리한 것으로, 4조 위안(약 805조원)이 투입되는 경기부양계획의 효과, 그리고 2009년 중국의 거시경제 위험요소와 정책 동향에 대해 전망한 내용임. ::::: 목 차 ::::: I. 신뢰지수를 통한 전망 II. 중국 경제 회복에 대한 전망III. 중국 경제의 변화 특징
- 등록일 2009.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