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인천연구원이 발간하는 중국 전문보고서로 중국과의 교류·비즈니스 지원을 위한 시사·정책 이슈의 심층 분석과 관련 최신 정보 제공

ISSN 2765-1444(online)

 

전체 540

  • 해외로 진출하는 중국의 기업

    2003년 이후 중국다국적기업의 발전세가 매우 거세게 일어나고 있다. 상무부와 국가통계소, 관련기업의 통계수치를 보면 이러한 양상을 더욱 뚜렷이 알 수 있다. 대외투자액에는 물론 홍콩, 마카오 등의 투자액도 포함되어 있으나, 이러한 대외투자액의 추이를 통해 3년간의 다국적기업의 고속성장을 엿볼 수 있다.   < 목차 >  1. 다국적 투자의 새로운 양상  2. 중국기업의 해외투자 목적  3. 지역별 투자 현황 4. 중국기업의 해외투자 주요 현안

    • 등록일 2008.11.21
  • 중국도시경쟁력 분석 : 양조우(扬州)

    양조우(扬州)시는 2,500년의 문화적 역사를 가지며, 수차례 흥망성쇠의 길을 걸어왔다. 개혁개방정책 이래 초고속 성장을 해왔으며, 도시경쟁력 역시 끊임없이 제고시켜왔다. 2007년 양조우시의 생산총액과 1인당 GDP는 각각 1,311억 위안과 2.9만 위안에 달해 1980년도 대비 74.7배와 66.8배의 성장률을 보였다. 2000년 이후 양조우시는 '국가위생도시', '국가환경보호 모범도시', '전국 문명도시 근로선진도시', '국가조경도시', '전국생태 모범도시', '중국거주환경상'등의 영예를 얻었으며, 2006년에는 유엔에서 수여하는 ‘세계 주거상(World Habitat Awards)'을 수상하는 명예까지 얻었다. 양조우시는 중국 24개 역사문화 도시중 국무원이 처음으로 지정한 도시로, 치안상태역시 선진도시의 면모를 지니고 있다. 그 결과연속 5년간 저장성(浙江省)으로부터 “사회치안안전도시”라는 평가 또한 받았다.  또한, 양조우시는 세계 다국적기업의 주요 투자지로서 미국의 콜게이트, 이탈리아의 피렐리, 네덜란드 필립스, 독일 지멘스, 일본 도레이 등 30여국가의 500여 글로벌 기업이 입주해 있다. 중국도시경쟁력 분석 : 양조우(扬州))-인문 생태환경의 조화로 살기 좋고 기업하기 좋은 도시- < 목차 >    1. 지속가능 도시발전 전략 수립    2. 지속가능 경제발전 전략    3. 지속가능 문화 발전 전략    4. 지속가능 생태환경 보존 전략    5. 지속가능 사회발전 전략

    • 등록일 2008.11.14
  • 중국도시경쟁력 분석 : 선전(深圳)

    월간한중 08-10-03호 중국도시경쟁력 분석 : 선전(深圳)-비교우위에서 경쟁우위로 전환한 중국의 선도도시- < 목차 >    1. 선도적인 제도 개혁을 통한 발전 전략 수립    2. 비교우위에서 경쟁우위 창출    3. 산업 집적 발전 전략    4. 외부 자원을 이용한 발전   5. 자주적 도시문화 형성

    • 등록일 2008.10.27
  • 중국 사회과학원 2008년 세계도시 경쟁력 평가

    < 목 차 >      1. 평가 개요      2. 도시경쟁력 평가 순위      3. 지표분석 결과     4. 500개 도시 종합 순위와 점수

    • 등록일 2008.10.10
  • 중국의 저가 항공시장 현황

    < 목 차 >      1. 저가전략      2. 해외 저가항공사의 성공 사례      3. 중국 저가항공사 설립의 영향 요인 분석      4. 중국 저가항공사설립의 운영방식과 구체적인 대책      5. 결론

    • 등록일 2008.10.10
  • 한국기업의 중국 철수 요인분석

    <목   차>    1. 한국 기업의 중국 철수 러쉬    2. 맹목적 중국투자    3. 불법철수를 막기 위한 한?중 공동 대응   4. 제한적 영향

    • 등록일 2008.09.26
  • 외자기업의 중국철수를 통해 바라본 중국 진출 전망

    <목  차>   1. 외국기업 밀집지역의 새로운 국면   2. 생산비용증가   3. 중국의 외자기업에 대한 요구 변화  4. 중국진출에 우위를 지니는 산업분야

    • 등록일 2008.09.26
  • 대만·중국 양안간 경제무역 상호 win-win 가능성

    <목차> 1.민진당 집권후 대만경제의 난관 2.2000년 이후 양안 경제무역관계의 기본현황 3.양안 경제관계 동요원인 4.양안관계의 장기적 유지와 상호 win-win의 가능성

    • 등록일 2008.09.12
  •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 30년간 양안 경제·무역 변화

    <목차> 1.상호발전적인 양안관계 구축정책 2.양안 무역경제에 있어서의 발전 추이와 특징 3.양안무역의 발전과정4.무역경제발전의 특징

    • 등록일 2008.09.12
  • 대만·중국의 삼통(三通)이 홍콩에 미치는 영향 분석

    <목차>  1.개요  2.대만기업의 중국투자  3.양안관계에서의 홍콩의 역할  4.삼통(三通) : 무역과 투자촉진

    • 등록일 2008.08.29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