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인천연구원이 발간하는 중국 전문보고서로 중국과의 교류·비즈니스 지원을 위한 시사·정책 이슈의 심층 분석과 관련 최신 정보 제공

ISSN 2765-1444(online)

 

전체 540

  • 월간한중 11-02호(2007.11.22)

    세계 500대 다국적기업의 중국투자 경향  - 목 차 -     1. 투자 영역의 확대     2. 투자 영역의 변화 - 전통제조업에서 하이테크산업, 서비스업     3. 기술 이전의 확대     4. 선호하는 환경         1) 집적경제 (Agglomerations Economies)         - 산업기반 및 산업부대능력, 도시화, 외자의 집적정도      2) 법제 및 정책 환경      3) 정부 각 부서의 효율성과 서비스 의식    [부록 1] 중국내 다국적기업에 대한 중국인의 선호도 조사    [부록 2] 세계 500대 다국적기업 분석     1. 아시아 상위 50대 기업     2. 세계 상위 500대 기업 중 한국 기업    3. 세계 상위 500대 기업 중 중국 기업

    • 등록일 2007.11.22
  • 월간한중 11-02호(2007.11.22)

    중국 요식업의 현황과 전망 목차     1. 중국 요식업 현황     2. 중국 요식업 전망     3. 중국 요식업 성장요인      (1) 빨라져가는 생활리듬      (2) 사회기능의 지속적 확대      (3) 사회적 교류의 확대      (4) 유동인구 증가      (5) 직업을 가지는 여성의 증가     4. 요식업 경영·매출의 발전 방향         (1) 패스트푸드 확대      (2) 식당의 분위기 중시      (3) 친환경, 녹색식품, 웰빙이 중시      (4) 개성화, 특색화, 이미지화      (5) 감성 마케팅 확대     [부록] 중국 요식업 관련 최근 자료     1. 2008년 북경올림픽과 요식업시장    2. 2007년 중국 요식업 소매액 1.22조 위안가량으로 전망

    • 등록일 2007.11.22
  • 월간한중 11-01호(2007.11.08)

    중국 자동차 부품시장 분석 목차 1. 자동차 부품산업의 기회 2. 자동차 부품산업의 문제점3. 자동차 부품산업의 발전방안

    • 등록일 2007.11.08
  • 월간한중 11-01호(2007.11.08)

    중국 대·중형 버스 수출 현황 목차     1. 수출대상 국가의 확대     2. 차량 유형별 시장점유율     3. 중국 대·중형버스 수출산업이 직면한 문제점    4. 세계 시장에서 중국 버스 수출산업의 지위와 발전 방향

    • 등록일 2007.11.08
  • 월간한중 10-02호(2007.10.25)

    높은 부동산 가격이 중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 목 차 -   1. 부동산 가격의 상승을 가져오는 주요 요인       (1) 경제 성장: 양호한 경제 성장이 부동산 가격의 상승 요인      (2) 도시 철거 및 투기: 도시 철거 및 투기가 부동산에 대한 과도한 수요를 야기      (3) 원가: 원가는 부동산 가격을 높이는 내제된 요인      (4) 구조적 모순: 구조적 모순이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못함      (5) 기타 요인   2. 부동산 가격의 빠른 상승이 중국 경제발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1) 거주민의 주택 구입 부담을 과중하게 하고 기타 부분에 대한 소비에 어려움을 가져옴      (2) 지역 및 거주민 간의 빈부 격차를 더욱 확대      (3) 언젠가 부동산 가격 하락이 나타날 때 금융질서의 안전 및 국민경제는 큰 혼란에 놓일 위험이 있음      (4) 높은 부동산 가격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조방식 경영은 중국의 에너지 및 자원 소비를 높이는 부정적 영향을 끼침      (5) 농촌의 발전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     (6) 도시 상업, 무역 코스트를 높이게 되고 이는 도시 종합 경쟁력을 저해  [부록] 부동산에 집중되고 있는 중국의 10대 부호 순위

    • 등록일 2007.10.25
  • 월간한중 10-02호(2007.10.25)

    중국 10대 도시 부동산가격 동향     - 목 차 -     1. 북경: 토지 공급부족     2. 심천: 인접해있는 홍콩의 영향으로 부동산 가격 상승     3. 광주: 성 정부의 소재지로 활기를 띄고 있는 경제     4. 북해: 중국에서 가장 높은 부동산 가격 상승폭     5. 상해: 엑스포 효과로 부동산가격 상승     6. 항주: 타 지역에서 고급 주택을 구입     7. 남경: 증가하지 않고 있는 주택 공급     8. 중경: 직할시 10주년     9. 성도: ‘도시중심론’    10. 천진: 중국 북방지역 경제중심지, 북경과의 편리한 교통

    • 등록일 2007.10.25
  • 월간한중 10-01호(2007.10.11)

      중국의 무역불균형 원인분석 1. 중국 무역 불균형의 시기별 내용 (1) 1978년~1989년: 무역적자 단계 (2) 1990년~1994년: 무역흑자가 늘어나는 단계 (3) 1995년 이후: 무역흑자가 높은 속도로 증가하는 단계     2. 무역불균형의 원인 (1) 생산요소 차이 (2) 국제산업 이전 (3) 중국 생산능력 과잉 (4) 수출주도 정책 (5) 중국과 미국, 경제구조의 차이   3. 중국 무역 균형을 가속화하기 위한 몇 가지 방법 (1) 내부경제의 구조적 모순을 조정하고 국내 수요를 확대한다. (2) 수출상품 구조를 고도화하고 무역 성장방식을 전환한다. (3) 외자정책을 조정하고 관리를 강화하며 외자의 품질을 제고한다. (4) 수출을 장려하는 동시에 수입의 증가를 위해 노력한다. (5) 대외투자를 확대하고 해외진출을 가속화한다.  

    • 등록일 2007.10.11
  • 월간한중 10-01호(2007.10.11)

    중국 광동성의 경제발전 분석 ‘아시아 4대 용(한국, 홍콩, 대만, 싱가포르)’과의 비교   Ⅰ. 광동과 아시아 4대 용의 경제발전 비교   1. 주요 성과 2007년 광동 GDP는 '아시아 4대 용'의 평균 수준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2005년 GDP증가량이 한국을 넘어섰으며, 2007년에는 수출총량에서 한국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2. 주요 격차 광동은 GDP증가량 및 수출총량이 높지만 1인당 GDP, 산업구조, 도시화 수준, 거주민 생활수준, 기술수준 등은 ‘아시아 4대 용’과 비교해볼 때 아직 큰 격차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3. 원인 분석 중국의 경제 발전은 ‘아시아 4대 용’과 비교해볼 때 출발이 늦었고, 중국의 산업구조, 소득, 발전 등이 불균형해서 격차가 나타나고 있다.   Ⅱ. '아시아 4대 용' 발전의 특징   1. 한국: 장기적으로 수출주도 정책 지속, 적절한 산업구조 조정 2. 싱가포르: 본부경제 발전지원, 정부기업 설치 3. 홍콩: 중국 내륙지역에 투자, 탈공업화로 야기되는 문제 4. 대만: 국제시장 변화의 기회 활용   Ⅲ. 광동의 발전 방향 정립   1. 적절한 발전수준 유지 (1) 경제성장률: 13% (2) 고정자산투자증가율 (투자율: 30%, 투자증가속도: 16%) (3) 대출증가율: 18%   2. 단계별 발전추진 (1) 1단계 (2007년~2015년) (2) 2단계 (2016년~2025년) (3) 3단계 (2026년~2035년) 3. 문제점 (1) 높아져가는 노동력 코스트 (2) 공업의 중형화 발전 (3) 서비스업 발전 추진의 어려움 (4) 내원형 경제의 발전환경 문제 (5) 쉽지 않은 소비 고도화 4. 해결방안 (1) 사회주의 시장경제 지속 추진 (2) 국유자본 관리체계, 국유기업 관리구조 수립 (3) 신중하게 중점 산업을 선택 (4) 산업 조직망 추진 가속화 (5) 외향형 경제발전 지속 (6) 하이테크 산업 발전을 통한 산업구조 고도화 (7) 과학기술 창조체계 구축 (8) 중소기업 대규모 지원 (9) 외자의 질과 규모 중시 (10) 농업 산업구조 조정 가속화 (11) 민생의 기본 문제 중시

    • 등록일 2007.10.11
  • 월간한중 09-01호(2007.09.27)

    한국의 시도별 외국인 인구 변화추이(2001년~2006년) - 목 차 -     1. 전국 외국인 인구     2. 시도별 외국인 인구 및 분포 비중     3. 국별 외국인 인구 구조     4. 시도별 인구 1,000명당 외국인수    5. 분석결과 및 인천의 특징  [분석결과 요약] ○ 전국의 외국인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외국인 인구의 연평균 증가율은 2001년에서 2004년까지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2004년에서 2006년에는 다소 둔화되고 있다. 2004년에서 2006년의 연평균 증가율을 지역별로 분석해보면 수도권 지역의 증가율이 낮아졌고, 비수도권의 증가율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국별 외국인 비중을 살펴보면 주요 5대 국가의 외국인 비중이 대체로 감소하고 기타 국가의 외국인 비중이 크게 증가하고 있었다. 5대 국가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국가는 중국이며, 중국도 미국, 일본 등의 선진국과 마찬가지로 외국인 인구비중이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 전 시기에 전체 시도별 인구의 천 명당 외국인수는 많아지고 있으며 외국인의 경기, 서울 지역 집중이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인천은 전국에서 경기, 서울지역 다음으로 외국인이 많은 지역이지만 경기, 서울지역을 제외한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인천 또한 외국인 비중이 점차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 한국의 관문도시(Gateway city), 국제도시, 동북아 중심도시를 지향하는 인천에서 외국인 비중이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 보다 많은 외국인 고급인력 유치가 시급한 인천에게 있어서 조치가 필요한 시점이다.

    • 등록일 2007.09.28
  • 월간한중 08-02호(2007.08.30)

    수교 이래 한중분업관계의 발전과 전망    - 목차 -    1. 머리말    2. 한중무역구조    3. 한중산업경쟁력분석    4. 한중양국 산업내무역 분석   5. 결론 및 전망

    • 등록일 2007.08.31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