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인천연구원이 발간하는 중국 전문보고서로 중국과의 교류·비즈니스 지원을 위한 시사·정책 이슈의 심층 분석과 관련 최신 정보 제공

ISSN 2765-1444(online)

 

전체 543

  • 월간한중 10-01호(2007.10.11)

    중국 광동성의 경제발전 분석 ‘아시아 4대 용(한국, 홍콩, 대만, 싱가포르)’과의 비교   Ⅰ. 광동과 아시아 4대 용의 경제발전 비교   1. 주요 성과 2007년 광동 GDP는 '아시아 4대 용'의 평균 수준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2005년 GDP증가량이 한국을 넘어섰으며, 2007년에는 수출총량에서 한국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2. 주요 격차 광동은 GDP증가량 및 수출총량이 높지만 1인당 GDP, 산업구조, 도시화 수준, 거주민 생활수준, 기술수준 등은 ‘아시아 4대 용’과 비교해볼 때 아직 큰 격차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3. 원인 분석 중국의 경제 발전은 ‘아시아 4대 용’과 비교해볼 때 출발이 늦었고, 중국의 산업구조, 소득, 발전 등이 불균형해서 격차가 나타나고 있다.   Ⅱ. '아시아 4대 용' 발전의 특징   1. 한국: 장기적으로 수출주도 정책 지속, 적절한 산업구조 조정 2. 싱가포르: 본부경제 발전지원, 정부기업 설치 3. 홍콩: 중국 내륙지역에 투자, 탈공업화로 야기되는 문제 4. 대만: 국제시장 변화의 기회 활용   Ⅲ. 광동의 발전 방향 정립   1. 적절한 발전수준 유지 (1) 경제성장률: 13% (2) 고정자산투자증가율 (투자율: 30%, 투자증가속도: 16%) (3) 대출증가율: 18%   2. 단계별 발전추진 (1) 1단계 (2007년~2015년) (2) 2단계 (2016년~2025년) (3) 3단계 (2026년~2035년) 3. 문제점 (1) 높아져가는 노동력 코스트 (2) 공업의 중형화 발전 (3) 서비스업 발전 추진의 어려움 (4) 내원형 경제의 발전환경 문제 (5) 쉽지 않은 소비 고도화 4. 해결방안 (1) 사회주의 시장경제 지속 추진 (2) 국유자본 관리체계, 국유기업 관리구조 수립 (3) 신중하게 중점 산업을 선택 (4) 산업 조직망 추진 가속화 (5) 외향형 경제발전 지속 (6) 하이테크 산업 발전을 통한 산업구조 고도화 (7) 과학기술 창조체계 구축 (8) 중소기업 대규모 지원 (9) 외자의 질과 규모 중시 (10) 농업 산업구조 조정 가속화 (11) 민생의 기본 문제 중시

    • 등록일 2007.10.11
  • 월간한중 09-01호(2007.09.27)

    한국의 시도별 외국인 인구 변화추이(2001년~2006년) - 목 차 -     1. 전국 외국인 인구     2. 시도별 외국인 인구 및 분포 비중     3. 국별 외국인 인구 구조     4. 시도별 인구 1,000명당 외국인수    5. 분석결과 및 인천의 특징  [분석결과 요약] ○ 전국의 외국인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외국인 인구의 연평균 증가율은 2001년에서 2004년까지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2004년에서 2006년에는 다소 둔화되고 있다. 2004년에서 2006년의 연평균 증가율을 지역별로 분석해보면 수도권 지역의 증가율이 낮아졌고, 비수도권의 증가율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국별 외국인 비중을 살펴보면 주요 5대 국가의 외국인 비중이 대체로 감소하고 기타 국가의 외국인 비중이 크게 증가하고 있었다. 5대 국가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국가는 중국이며, 중국도 미국, 일본 등의 선진국과 마찬가지로 외국인 인구비중이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 전 시기에 전체 시도별 인구의 천 명당 외국인수는 많아지고 있으며 외국인의 경기, 서울 지역 집중이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인천은 전국에서 경기, 서울지역 다음으로 외국인이 많은 지역이지만 경기, 서울지역을 제외한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인천 또한 외국인 비중이 점차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 한국의 관문도시(Gateway city), 국제도시, 동북아 중심도시를 지향하는 인천에서 외국인 비중이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 보다 많은 외국인 고급인력 유치가 시급한 인천에게 있어서 조치가 필요한 시점이다.

    • 등록일 2007.09.28
  • 월간한중 08-02호(2007.08.30)

    수교 이래 한중분업관계의 발전과 전망    - 목차 -    1. 머리말    2. 한중무역구조    3. 한중산업경쟁력분석    4. 한중양국 산업내무역 분석   5. 결론 및 전망

    • 등록일 2007.08.31
  • 월간한중 08-02호(2007.08.30)

    한국의 산동성 투자 현황과 전망    - 목차 -    1. 머리말    2. 한국의 산동성 투자 현황    3. 한국의 산동성 투자에 있어서 취약점과 어려움    4. 한국의 산동성 투자 전망

    • 등록일 2007.08.30
  • 월간한중 08-01호(2007.08.16)

    홍콩-심천 통합도시 구축을 통한 세계 일류도시 건설 - 목 차 -     1. 통합도시의 유래와 특수성     2. 발전현황 및 문제    3. 통합도시 목표의 청사진

    • 등록일 2007.08.20
  • 월간한중 08-01호(2007.08.16)

    홍콩-심천 통합도시에 대한 정책적 건의 - 목 차 -     1. 기초인프라: 홍콩-심천 1시간 도시생활권 구축     2. 철로연결 (홍콩-심천 초대형 공항 건설)     3. 허타오(河套)발전관리국 건립으로 허타오(河套)지역 개발추진     4. 홍콩 변경금지구역 개발계획     5. 홍콩-심천 개발계획: 국제적인 일류 도시 건설     6. 다국적 기업 및 내자 기업의 지역 본사를 유치     7. 교육문화 부문의 합작을 강화     8. 금융합작을 심화하고 홍콩 국제금융센터 기능을 강화     9. 구체적인 항목에서부터 합작을 시행하며 이는 국가의 지지를 받음   10. 환경보호 문제를 공동 해결하며 대주삼각지역의 지속발전성을 이끔

    • 등록일 2007.08.16
  • 월간한중 07-01호(2007.07.05)

    홍콩 반환이후 10년간의 변화 및 주요내용 목차 1. 홍콩반환 10년 연표 2. 홍콩반환 10년간 분야별 변화

    • 등록일 2007.08.16
  • 월간한중 07-01호(2007.07.05)

     홍콩반환 10주년 1. 환율 2. 주식시장 3. CEPA 4. 투자은행 5. 은행 6. 부동산 산업 7. 관리감독 8. 정부

    • 등록일 2007.08.16
  • 월간한중 06-01호(2007.06.07)

    북경과 세계 선진도시와의 격차 목차 1. 세계 선진도시 2. 세계 선진도시의 경험과 공통된 특징 3. 북경과 주요 선진도시와의 비교 및 시사점

    • 등록일 2007.08.16
  • 월간한중 06-01호(2007.06.07)

    중국 3대 도시권과 세계 선진도시권과의 격차 목차 1. 수치 비교 2. 특징 분석 3. 행정지역 경제: 대도시권 발전의 장애요인 4. 시민화 사회의 형성: 대도시권 발전의 필수요인

    • 등록일 2007.08.16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