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인천연구원이 발간하는 중국 전문보고서로 중국과의 교류·비즈니스 지원을 위한 시사·정책 이슈의 심층 분석과 관련 최신 정보 제공

ISSN 2765-1444(online)

 

전체 543

  • 월간한중 03-2호 (2006.03.23)

    [중국동향]- 중국 자동차산업 발전현황 분석 목차 1. 종업원 및 생산규모에 따른 중국 자동차기업 현황 2. 중국 자동차산업 공업생산총액 및 부가가치총액 추이 3. 중국 자동차산업 매출총액 및 이윤총액(세전) 추이 4. 중국 자동차시장의 주요 변화

    • 등록일 2006.04.07
  • 월간한중 02-2호 (2006. 02. 16)

    [중국동향]- 중국의 인구증가와 경제활동인구 전망 목차 1. 중국 인구증가 억제정책의 성과    2. 중국 인구정책의 당면과제    3. 중국의 경제활동 가능인구 및 경제활동인구 전망   1) 경제활동 가능인구(노동연령 인구) 전망   2) 경제활동인구 전망  3) 비경제활동인구 현황 [중국지역연구]- 쓰촨(四川)성 14개 주요 도시 발전 현황 목차 1. 쓰촨(四川)성이 중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 2. 쓰촨성 14개 주요 도시 인구 및 GDP 현황    1) 인구 및 증가율   2) GDP 총액 및 산업별 GDP 구성 3. 쓰촨성 14개 주요 도시 공업생산총액 및 고정자산투자총액    1) 공업생산총액 및 고정자산투자총액    2) 공업생산총액 증가율, 고정자산투자총액 증가율 및 실제사용 외자총액 4. 쓰촨성 14개 주요 도시 1인당 GDP, 근로자 평균임금 및 증가율    1) 도시(市區) 근로자 1인당 평균임금 및 증가율   2) 1인당 GDP 및 증가율

    • 등록일 2006.02.16
  • 월간한중 02-1호 (2006. 02. 02)

    [중국동향]- 2005년 중국경제현황 분석 목차 1. 2005년 중국의 GDP, 공업기업 부가가치증가액 및 이윤총액    1) 중국 GDP 및 산업별 GDP 비중   2) 중국 공업기업 부가가치증가액 및 이윤총액 2. 중국 고정자산투자총액, 사회소매총액 및 소비자물가  상승률     1) 고정자산투자총액, 사회소매총액 및 증가율    2) 소비자물가 상승률    3. 중국 대외무역총액 및 증가율 4. 중국 도시주민 1인당 가처분소득과 농촌주민 1인당 순수입 [중국지역연구]- 푸지엔(福建)성 9개 지급(地級)도시 발전 현황 목차 1. 푸지엔(福建)성이 중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 2. 푸지엔성 9개 지급(地級)도시 시구(市區)인구 및 GDP 현황    1) 인구 및 증가율   2) GDP 총액 및 산업별 GDP 구성 3. 푸지엔성 9개 지급도시 공업생산총액, 고정자산투자총액 및 실제외자사용액    1) 공업생산총액, 고정자산투자총액 및 증가율   2) 실제외자사용액 및 증가율 4. 푸지엔성 9개 지급도시 1인당 GDP, 근로자 평균임금 및 증가율

    • 등록일 2006.02.02
  • 월간한중 01-2호 (2006. 01. 20)

    [중국동향]- 중국의 도시발전 현황과 전망 목차 1. 중국의 도시화 현황    1) 행정구역 및 인구규모에 따른 중국의 도시 현황   2) 중국 지급(地級)이상 도시의 주요경제 지표    2. 중국의 5개 지역 부성급 도시(省都)의 인구와 GDP 변화     1) 동북 및 화북지역 부성급 도시 인구 및 GDP 추이    2) 화중 및 화남지역 부성급 도시 인구 및 GDP 추이   3) 중서부지역 부성급 도시 인구 및 GDP 추이 3. 중국의 도시화 전망 [중국지역연구]- 지린성과 헤이룽장성 14개 주요 도시 발전 현황 목차 1. 지린(吉林)성과 헤이룽장(黑龍江)성이 중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 2. 지린성, 헤이룽장성 14개 주요 도시 인구 및 GDP 현황    1) 인구 및 증가율   2) GDP 총액 및 산업별 GDP 구성 3. 지린성, 헤이룽장성 14개 주요 도시 공업생산총액 및 고정자산투자총액    1) 공업생산총액 및 고정자산투자총액   2) 공업생산총액 증가율과 고정자산투자총액 증가율 4. 지린, 헤이룽장 14개 주요 도시 1인당 GDP, 근로자 평균임금 및 증가율

    • 등록일 2006.01.20
  • 월간한중 01-1호 (2006. 01. 05)

    월간한중 01-1호 (2006. 01. 05) [중국동향]- 중국 사회소매총액 추이와 요식업 소매총액 현황 분석 목차 1. 중국의 사회소매총액 추이 1) 중국의 사회소매총액 및 전년대비 증가율2) 업종별, 행정구역별 사회소매총액 비중 2. 주요 성시별 사회소매총액 현황 분석   3. 요식업 소매총액 현황 및 요식업 발전의 필요성 [중국지역연구]- 허베이성 11개 도시 발전현황 분석 목차 1. 허베이성이 중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 2. 허베이성 11개 도시 인구 및 GDP 현황 1) 인구 및 인구 증가율2) GDP 총액 및 산업별 GDP 구성 3. 허베이성 11개 도시 공업생산총액, 고정자산투자총액 및 실제외자사용액 1) 공업생산총액, 고정자산투자총액 및 증가율2) 실제외자사용총액 및 증가율 4. 허베이성 11개 도시 1인당 GDP, 근로자 평균임금 및 증가율

    • 등록일 2006.01.05
  • 월간한중 12-1호 (2005. 12. 08)

    [중국동향]- 중국의 최종소비총액 추이와 도시가구 소비현황 분석 목차 1. 총지출 측면에서 본 중국의 최종소비총액 추이  1) 총지출 구성요소별 비중 추이와 최종소비총액 증가율의 감소2) 주민소비와 정부소비 추이 및 도시주민 소비비중의 증가 2. 중국 주요 성시의 최종소비총액 분석 1) 주요 성시별 최종소비총액 증가율 및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중2) 주요 성시별 주민소비총액 현황 3. 중국 도시주민 소득수준별 소비지출 현황    * 참고 문헌 [중국지역연구]- 산둥성 14개 주요도시 경제발전 현황 목차 1. 중국경제에서 산둥성이 차지하는 비중 2. 산둥성 14개 주요도시 인구 및 GDP 현황 1) 인구 및 인구 증가율  2) GDP 및 GDP 산업별 구성 3. 산둥성 14개 도시 공업생산총액, 고정자산투자총액 및 실제외자사용총액 1) 공업생산총액, 고정자산투자총액 및 증가율2) 실제외자사용총액 및 증가율 4. 산둥성 14개 도시 1인당 GDP, 근로자 평균임금 및 증가율 * 참고 문헌

    • 등록일 2005.12.29
  • 월간한중 12-2호 (2005. 12. 22)

    월간한중 12-2호 (2005. 12. 22) [중국동향]- 2020년 중국의 소비구조와 산업구조의 변화 목차 1. 2020년 전면적 샤오캉(小康)사회 건설의 주요 내용  2. 전면적 샤오캉 사회의 소비구조                1) 향후 중국 소비지출의 변화 양상 2) 소득수준별 중국 도시 및 농촌가구 소득, 소비지출 현황3) 2020년 중국 소비지출구조 예측 3. 전면적 샤오캉 사회와 산업구조의 변화    [중국지역연구]- 랴오닝성 14개 도시 발전현황 분석 목차 1. 랴오닝성이 중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 2. 랴오닝성 14개 도시 인구 및 GDP 현황 1) 인구 및 증가율2) GDP 총액 및 산업별 GDP 구성 3. 랴오닝성 14개 도시 공업생산총액, 고정자산투자총액 및 실제외자사용액 1) 공업생산총액, 고정자산투자총액 및 증가율2) 실제외자사용총액 및 증가율 4. 랴오닝성 14개 도시 1인당 GDP, 근로자 평균임금 및 증가율

    • 등록일 2005.12.22
  • 월간한중 11-1호 (2005. 11. 10)

    [중국동향]- 중국 교통운수업의 발전현황 및 제약요인 목차 1. 중국 교통운수업 발전현황      1) 교통운수망 총연장 추이와 GDP 비중    2) 교통수단별 여객 및 화물운송 추이    2. 중국 교통운수업 발전의 제약요인    1) 교통량 증가에 따른 사회적 비용의 증가    2) 자원조달 비용 증가    3) 에너지소비 급증 *참고문헌 [중국지역연구]-장강삼각주 16개 주요 도시 발전현황 목차 1. 중국 4대 경제권역의 경제력 비교     2. 장강삼각주 16개 도시 인구, GDP 및 1인당 GDP        1) 16개 도시 인구와 GDP 현황       2) 1인당 GDP와 증가율       3. 장강삼각주 16개 도시 고정자산투자총액, 소매총액 및 1인당 소득       1) 고정자산투자총액 및 소매총액 현황       2) 도시주민 1인당 가처분소득 및 농민 1인당 순수입 현황    4. 장강삼각주 16개 도시 수출총액 및 외국인직접투자 총액 * 참고 문헌

    • 등록일 2005.11.25
  • 월간한중 11-2호 (2005. 11. 24)

    [중국동향]- 중국의 소비와 투자증가율 차이의 심화현상 분석 목차 1. 중국의 소비수요와 투자수요간 증가속도 차이의 심화 2. 소비수요 부족과 주민소득의 관계  3. 주민소득 증가율과 재정수입 증가율 차이의 불합리한 구조 *참고문헌 [중국지역연구]- 주강삼각주 경제권 및 9개 중점도시 발전현황 목차 1. 주강삼각구 경제권(GPRD; Greater Pearl River Delta)의 구성 및 현황     2. 중국경제에서 광둥성이 차지하는 비중    3. 주강삼각주 9개 도시 인구현황과 GDP 산업별 구성     1) 인구현황 및 증가율    2) GDP 산업별 구성  4. 주강삼각주 9개 도시 GDP, 공업생산총액, 고정자산투자총액 및 증가율     1) GDP, 공업생산총액 및 고정자산투자총액 현황    2) GDP, 공업생산총액 및 고정자산투자총액 증가율  5. 주강삼각주 9개 도시 실제외자사용총액, 근로자평균임금 및 증가율     1) 실제외자사용총액 및 증가율    2) 근로자평균임금 및 증가율 * 참고 문헌

    • 등록일 2005.11.24
  • <중국의 외국인투자와 청도 진출 한국기업의 실태와 전망>

    인천-청도 우호도시 체결 1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엄<중국의 외국인투자와 청도 진출 한국기업의 실태와 전망> ■ 第2主題 : 중국 청도진출 한국기업 실태  - 강 승 호 (인천발전연구원 한중교류센터장) Ⅰ. 머리말 Ⅱ. 한국의 해외 및 대중 투자 현황    1. 한국의 해외 및 대중 투자 추이    2. 한국기업의 해외 경영성과 및 무역효과   3. 한국기업 대중투자의 지역적 특성 Ⅲ. 청도진출 한국기업 실태    1. 설문기업 개요    2. 청도현지 경영실태   3. 모기업과 현지법인의 관계 및 향후 중국사업 전망 Ⅳ. 전망 및 과제    1. 중국의 투자환경    2. 중국시장 전망   3. 과제 및 정책방향 ■ 第3主題 : 중국 청도의 한국기업 발전 현황과 전망  - 孔 庆 峒 (青岛社会科学院 中韩合作研究中心 主任) Ⅰ. 청도시와 한국기업 협력에 대한 간략한 회고 Ⅱ. 한국기업의 청도진출 발전단계에 관한 분석 Ⅲ. 한국기업의 청도투자 주요 특징 및 발전방향 Ⅳ. 청도시에 진출한 한국기업이 직면하는 주요 문제점 Ⅴ. 청도시와 한국기업간 상호 발전을 위한 제안

    • 등록일 2005.11.01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