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환경안전
인천광역시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량 추정 및 재활용 방안
- 연구자
- 발행년도
1998
- 연구기간
1998.01.01 ~ 1998.12.31
- 연구유형
기초
연구개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음식물쓰레기의 사료화 또는 퇴비화에 의한 재활용은 자원의 재순환이라는 긍정적 측면 이외에도 음식물쓰레기를 제외한 다른 생활폐기물의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음식물쓰레기의 2011년까지의 배출량을 추정하고 이를 근거로 음식물쓰레기의 효율적인 재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음식물쓰레기의 사료화 또는 퇴비화에 의한 재활용은 자원의 재순환이라는 긍정적 측면 이외에도 음식물쓰레기를 제외한 다른 생활폐기물의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음식물쓰레기의 2011년까지의 배출량을 추정하고 이를 근거로 음식물쓰레기의 효율적인 재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목차
Ⅰ. 서론
Ⅱ. 음식물쓰레기 현황 및 배출량 추정 방법
2.1 현황분석
2.1.1 배출현황
2.1.1.1 배출원수
⑴ 인구 및 주택
⑵ 감량의무사업장
㈎ 감량의무사업장의 범위
2.1.1.2 배출량
2.1.2 수거.운반 현황
2.1.3 처리현황
2.2. 배출량 추정 방법
2.2.1 배출량 추정방법 고찰
2.2.1.1 물질수지법(Material Balance Method)
2.2.1.2 다중회귀모델(Multiple Regression Model)
2.2.1.3 경향법(Trend Method)
2.2.1.4 실측에 의한 해석법
2.2.2 배출량 추정방법의 선정
Ⅲ.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사례 분석
3.1 국내 사례분석
3.1.1 재활용 사례
3.1.1.1 배출자에 의한 재활용
3.1.1.2 지방정부에 의한 재활용
3.1.2 재활용 방법별 비교
3.1.2.1 재활용 방법별 장.단점 비교
⑴ 퇴비화 방법
⑵ 사료화 방법
3.1.2.2 입지조건 비교
3.1.2.3 처리비용 비교
3.1.2.4 부산물의 안정성 비교
3.1.3 국내 사례의 시사점
3.2 외국 사례 분석
3.2.1 재활용 사례
3.2.2 재활용 경향 분석 및 시사점
3.2.2.1 생활쓰레기 처리방법 및 관련 정책의 변화
3.2.2.2 지역특성을 고려한 재활용 방식과 규모의 선택
3.2.2.3 수거방식 및 재활용 방법의 변화
3.2.2.4 부산물의 안정성과 수요처 확보 추세
Ⅳ.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추정 및 재활용 방안
4.1 배출량 추정결과
4.1.1 배출원별 원단위 배출량
4.1.2 배출원수의 예측
4.1.3 발생량 추정
4.1.4 배출량 추정
4.1.4.1 배출원 관리 목표의 설정
4.1.4.2 배출량 추정
4.2 인천광역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방안
4.2.1 재활용 방안 수립원칙 설정
4.2.1.1 재활용 목표(안)의 설정
4.2.1.2 재활용시설의 선택기준
4.2.1.3 재활용방법에 따른 배출원 선정기준
4.2.1.4 재활용시설의 운영주체 및 부산물 활용의 원칙
4.2.2 수거.운반체계 구축
4.2.2.1 음식물쓰레기 분리배출의 법적 근거 마련
4.2.2.2 분리배출 및 수거.운반 지역의 단계적 확대
4.2.2.3 재활용 방법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수거.운반 방안
4.2.2.4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방법 및 처리비용의 부과
4.2.3 재활용 시설의 적정규모
4.2.3.1 인천시의 초기 퇴비화 시설의 적정규모
4.2.3.2 재활용 시설의 필요규모 산정
⑴ 각 자치구별 재활용시설의 필요규모
⑵ 처리권역별 재활용 시설의 필요규모
4.2.3.3 재활용에 따른 파급효과
4.2.4 재활용 시설의 효율적인 설치 및 운영 방안
4.2.5 음식물쓰레기 적정 수수료(안)
4.2.5.1. 수거.운반비용
⑴ 인천광역시 생활폐기물 수거?운반 대행료
⑵ 음식물쓰레기 수거.운반비용 산정
4.2.5.2 재활용 방법별 처리비용
4.2.5.3 재활용 방법별 적정 수수료(안)
Ⅴ. 결론 및 정책건의
5.1 배출량 추정
○ 감량목표의 설정
○ 배출량 추정
5.2 인천광역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방안
5.2.1 재활용 방안 수립 원칙 설정
○ 재활용 목표의 설정
○ 재활용 방법에 따른 배출원 선정기준
○ 재활용시설의 선택기준
○ 재활용시설의 운영주체 및 부산물 활용의 원칙
5.2.2 수거.운반체계 구축
○ 음식물쓰레기 분리배출의 법적 근거 마련
○ 분리배출 및 수거.운반 지역의 단계적 확대
○ 음식물쓰레기의 배출 및 수거.운반 방법
5.2.3 재활용 시설의 적정규모
○ 인천시 초기 퇴비화 시설의 적정규모
○ 각 자치구별 재활용시설의 필요규모
○ 처리권역별 재활용 시설의 필요규모
○ 재활용에 따른 파급효과
5.2.4 재활용 시설의 효율적인 설치 및 운영 방안
○ 퇴비화시설 설치 및 운영방안
○ 사료화 시설의 설치 운영 방안
5.2.5 음식물쓰레기 적정 수수료(안)
○ 1가구 부담 수수료
○ 수거방법별 수수료
Ⅱ. 음식물쓰레기 현황 및 배출량 추정 방법
2.1 현황분석
2.1.1 배출현황
2.1.1.1 배출원수
⑴ 인구 및 주택
⑵ 감량의무사업장
㈎ 감량의무사업장의 범위
2.1.1.2 배출량
2.1.2 수거.운반 현황
2.1.3 처리현황
2.2. 배출량 추정 방법
2.2.1 배출량 추정방법 고찰
2.2.1.1 물질수지법(Material Balance Method)
2.2.1.2 다중회귀모델(Multiple Regression Model)
2.2.1.3 경향법(Trend Method)
2.2.1.4 실측에 의한 해석법
2.2.2 배출량 추정방법의 선정
Ⅲ.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사례 분석
3.1 국내 사례분석
3.1.1 재활용 사례
3.1.1.1 배출자에 의한 재활용
3.1.1.2 지방정부에 의한 재활용
3.1.2 재활용 방법별 비교
3.1.2.1 재활용 방법별 장.단점 비교
⑴ 퇴비화 방법
⑵ 사료화 방법
3.1.2.2 입지조건 비교
3.1.2.3 처리비용 비교
3.1.2.4 부산물의 안정성 비교
3.1.3 국내 사례의 시사점
3.2 외국 사례 분석
3.2.1 재활용 사례
3.2.2 재활용 경향 분석 및 시사점
3.2.2.1 생활쓰레기 처리방법 및 관련 정책의 변화
3.2.2.2 지역특성을 고려한 재활용 방식과 규모의 선택
3.2.2.3 수거방식 및 재활용 방법의 변화
3.2.2.4 부산물의 안정성과 수요처 확보 추세
Ⅳ.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추정 및 재활용 방안
4.1 배출량 추정결과
4.1.1 배출원별 원단위 배출량
4.1.2 배출원수의 예측
4.1.3 발생량 추정
4.1.4 배출량 추정
4.1.4.1 배출원 관리 목표의 설정
4.1.4.2 배출량 추정
4.2 인천광역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방안
4.2.1 재활용 방안 수립원칙 설정
4.2.1.1 재활용 목표(안)의 설정
4.2.1.2 재활용시설의 선택기준
4.2.1.3 재활용방법에 따른 배출원 선정기준
4.2.1.4 재활용시설의 운영주체 및 부산물 활용의 원칙
4.2.2 수거.운반체계 구축
4.2.2.1 음식물쓰레기 분리배출의 법적 근거 마련
4.2.2.2 분리배출 및 수거.운반 지역의 단계적 확대
4.2.2.3 재활용 방법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수거.운반 방안
4.2.2.4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방법 및 처리비용의 부과
4.2.3 재활용 시설의 적정규모
4.2.3.1 인천시의 초기 퇴비화 시설의 적정규모
4.2.3.2 재활용 시설의 필요규모 산정
⑴ 각 자치구별 재활용시설의 필요규모
⑵ 처리권역별 재활용 시설의 필요규모
4.2.3.3 재활용에 따른 파급효과
4.2.4 재활용 시설의 효율적인 설치 및 운영 방안
4.2.5 음식물쓰레기 적정 수수료(안)
4.2.5.1. 수거.운반비용
⑴ 인천광역시 생활폐기물 수거?운반 대행료
⑵ 음식물쓰레기 수거.운반비용 산정
4.2.5.2 재활용 방법별 처리비용
4.2.5.3 재활용 방법별 적정 수수료(안)
Ⅴ. 결론 및 정책건의
5.1 배출량 추정
○ 감량목표의 설정
○ 배출량 추정
5.2 인천광역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방안
5.2.1 재활용 방안 수립 원칙 설정
○ 재활용 목표의 설정
○ 재활용 방법에 따른 배출원 선정기준
○ 재활용시설의 선택기준
○ 재활용시설의 운영주체 및 부산물 활용의 원칙
5.2.2 수거.운반체계 구축
○ 음식물쓰레기 분리배출의 법적 근거 마련
○ 분리배출 및 수거.운반 지역의 단계적 확대
○ 음식물쓰레기의 배출 및 수거.운반 방법
5.2.3 재활용 시설의 적정규모
○ 인천시 초기 퇴비화 시설의 적정규모
○ 각 자치구별 재활용시설의 필요규모
○ 처리권역별 재활용 시설의 필요규모
○ 재활용에 따른 파급효과
5.2.4 재활용 시설의 효율적인 설치 및 운영 방안
○ 퇴비화시설 설치 및 운영방안
○ 사료화 시설의 설치 운영 방안
5.2.5 음식물쓰레기 적정 수수료(안)
○ 1가구 부담 수수료
○ 수거방법별 수수료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