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개요
인천시는 21세기 동북아의 중심 도시로 부상하기 위한 각종 시책을 추진하고 있는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도시환경의 질, 생활환경의 질이 높고 자연과 인간의 공존․공생이 가능한 생태계를 구현해야 한다. 그러므로 우선적으로 생태계 유지의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는 남북 녹지축의 현황을 파악하고 생태계 보전․복원 대책이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또한, 녹지축 형성의 잠재력이 높은 녹지를 발굴하여 인천시 전체의 공원․녹지축 연결 체계 즉, 생태네크워크의 구현을 위한 대안 제시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환경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도시발전과 생태계의 건전성을 유지시키는데 있어서 핵심골격이 되는 공원․녹지축의 보전 및 복원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생태계 특성과 공원․녹지축의 중요성과 관련하여 도시생태계의 특성, 생태네트워크와 공원․녹지축의 보전 및 복원중요성의 관계, 생태네트워크 구축 선진사례를 살펴보았다.
둘째, 인천시 공원․녹지 현황과 문제점을 녹지감소와 녹지축 단절현황, 녹지의 자연성, 시민 이용상 문제점, 환경보전상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셋째, 이를 종합하여 향후 현실화 시킬 수 있는 공원․녹지축의 보전 및 복원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환경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도시발전과 생태계의 건전성을 유지시키는데 있어서 핵심골격이 되는 공원․녹지축의 보전 및 복원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생태계 특성과 공원․녹지축의 중요성과 관련하여 도시생태계의 특성, 생태네트워크와 공원․녹지축의 보전 및 복원중요성의 관계, 생태네트워크 구축 선진사례를 살펴보았다.
둘째, 인천시 공원․녹지 현황과 문제점을 녹지감소와 녹지축 단절현황, 녹지의 자연성, 시민 이용상 문제점, 환경보전상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셋째, 이를 종합하여 향후 현실화 시킬 수 있는 공원․녹지축의 보전 및 복원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차
1. 서 론
2. 도시생태계 특성과 공원.녹지축의 중요성
2.1. 도시생태계의 특성
2.2. 생태네트워크와 인천시 공원.녹지축의 보전 및 복원 중요성
2.2.1. 생태네트워크의 정의와 목표
2.2.2. 생태네트워크 계획의 구성
2.2.3. 생태네트워크 형성에 관한 기본 사항
2.2.4. 생태네트워크와 인천시 공원.녹지축 과의 관계
2.3. 생태네트워크 구축 선진사례
2.3.1. 비오톱 지도화와 네트워크
2.3.2. 네델란드의 국토생태네트워크와 도시생태네트워크
2.3.3. 에코로드 건설
2.3.4. 생태공원의 조성
3. 인천시 녹지현황과 문제점
3.1. 녹지 감소와 녹지축 단절 현황
3.2. 녹지의 자연성
3.3. 시민 이용상 문제점
3.4. 환경보전상 문제점
4. 인천시 공원.녹지축의 보전 및 복원 방안
4.1. 비오톱지도화(Biotope Mapping)를 통한 생태도시기반 조성
4.2. 남북 S자 녹지축의 보전 및 복원
4.2.1. 훼손지 복원 및 보전 체계 수립
4.2.2. 단절된 녹지축의 복원(생물이동로의 조성)
4.3. 중장기 녹지확충계획 수립과 동서 및 해안 녹지축 정비
4.4. 해안 간석.간척지를 활용한 생태공원 조성
4.5. 생태적 식재 개념을 도입한 택지개발지의 녹지축 정비
4.6. 인공지반 및 벽면녹화, 공개공지 등을 활용한 도심녹지의 확보
4.7. 공단지역 및 수도권매립지 완충녹지의 생태적 조성
4.8. 공원.녹지를 활용한 생태교육 실시 ·
4.8.1. 도시자연공원내 자연생태관찰로 조성
4.8.2. 생태공원 조성과 생태교육 활성화
4.8.3. 도시 생태문화관찰로의 조성
5. 결 론
2. 도시생태계 특성과 공원.녹지축의 중요성
2.1. 도시생태계의 특성
2.2. 생태네트워크와 인천시 공원.녹지축의 보전 및 복원 중요성
2.2.1. 생태네트워크의 정의와 목표
2.2.2. 생태네트워크 계획의 구성
2.2.3. 생태네트워크 형성에 관한 기본 사항
2.2.4. 생태네트워크와 인천시 공원.녹지축 과의 관계
2.3. 생태네트워크 구축 선진사례
2.3.1. 비오톱 지도화와 네트워크
2.3.2. 네델란드의 국토생태네트워크와 도시생태네트워크
2.3.3. 에코로드 건설
2.3.4. 생태공원의 조성
3. 인천시 녹지현황과 문제점
3.1. 녹지 감소와 녹지축 단절 현황
3.2. 녹지의 자연성
3.3. 시민 이용상 문제점
3.4. 환경보전상 문제점
4. 인천시 공원.녹지축의 보전 및 복원 방안
4.1. 비오톱지도화(Biotope Mapping)를 통한 생태도시기반 조성
4.2. 남북 S자 녹지축의 보전 및 복원
4.2.1. 훼손지 복원 및 보전 체계 수립
4.2.2. 단절된 녹지축의 복원(생물이동로의 조성)
4.3. 중장기 녹지확충계획 수립과 동서 및 해안 녹지축 정비
4.4. 해안 간석.간척지를 활용한 생태공원 조성
4.5. 생태적 식재 개념을 도입한 택지개발지의 녹지축 정비
4.6. 인공지반 및 벽면녹화, 공개공지 등을 활용한 도심녹지의 확보
4.7. 공단지역 및 수도권매립지 완충녹지의 생태적 조성
4.8. 공원.녹지를 활용한 생태교육 실시 ·
4.8.1. 도시자연공원내 자연생태관찰로 조성
4.8.2. 생태공원 조성과 생태교육 활성화
4.8.3. 도시 생태문화관찰로의 조성
5. 결 론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