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개요
[연구의 목적 및 내용]
현재 국가의 성평등 의제는 대통령직속 여성특별위원회가 주체가 되어 제1차 여성정책기본계획(1998-2002)을 통해 실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앙정부의 성평등 의식 확산과 남녀평등 실현이라는 국가계획이 보다 성공적으로 추진되기 위하여 지역여성들의 의식과 태도를 조사하여 이를 인천시 여성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주된 연구방법으로 설문지조사법을 사용, 인천시 일반여성 1,010명과 여성단체 438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내용은 일반여성의 경우 일반사항, 가족생활과 자녀양육, 경제활동, 사회참여, 여성정책, 성평등의식의 6개 영역이며, 여성단체의 경우 기본사항, 활동 및 목적, 재정상황, 여성단체와 지자체관계, 여성정책의 5개 영역이다.
현재 국가의 성평등 의제는 대통령직속 여성특별위원회가 주체가 되어 제1차 여성정책기본계획(1998-2002)을 통해 실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앙정부의 성평등 의식 확산과 남녀평등 실현이라는 국가계획이 보다 성공적으로 추진되기 위하여 지역여성들의 의식과 태도를 조사하여 이를 인천시 여성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주된 연구방법으로 설문지조사법을 사용, 인천시 일반여성 1,010명과 여성단체 438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내용은 일반여성의 경우 일반사항, 가족생활과 자녀양육, 경제활동, 사회참여, 여성정책, 성평등의식의 6개 영역이며, 여성단체의 경우 기본사항, 활동 및 목적, 재정상황, 여성단체와 지자체관계, 여성정책의 5개 영역이다.
연구목차
1. 서론
2. 여성정책에 대한 개념적 검토
2.1 ‘부녀복지’에서 ‘여성복지’의 행정으로
2.2 여성정책의 개념
3. 인천광역시 여성현황
3.1 인천여성의 일반 현황
3.1.1 인구 및 가족
3.1.2 경제활동
3.1.3 교육
3.1.4 복지
3.1.5 정치사회참여
3.2 여성단체 현황
4. 주요 시도의 여성정책 비교
4.1 인천광역시 여성정책(2000)
4.2 주요 시도와 인천광역시의 여성정책 비교
4.2.1 서울특별시 여성정책:[새서울 여성정책 3개년 계획]
4.2.2 경기도 여성정책: [경기여성발전 중장기 실천계획]
4.2.3 서울시, 경기도, 그리고 인천시 여성정책의 비교
5. 인천 일반여성 의식조사 결과
5.1 응답자의 일반 사항
5.2 가족 생활과 자녀 양육
5.2.1 자녀양육 : 탁아 및 방과후 시설
5.2.2 가족관계 및 성 안정성
5.3 경제활동
5.3.1 경제활동 실태 및 복지욕구
5.3.2 비경제활동 실태 및 복지욕구
5.3.3 직업훈련 욕구 및 취업대책
5.4 사회참여
5.4.1 활동 내용
5.4.2 여성단체활동
5.5 성평등 의식
5.5.1 여성의 노동권
5.5.2 여성의 정치활동
5.5.3 가족관계
5.5.4 성규범
5.6 여성정책 인식과 여성사회교육기관에 대한 태도
5.6.1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
5.6.2 여성사회교육기관에 대한 태도
6. 인천 여성단체 의식조사 결과
6.1 응답자의 일반사항
6.2 활동 및 목적
6.3 재정상황
6.4 여성단체와 지자체와의 관계
6.4.1 여성단체와 지자체의 교류
6.4.2 여성단체 활성화를 위한 요구
6.5 여성정책 인식
7. 결론 및 정책 제언
7.1 설문결과 요약
7.1.1 일반여성
7.1.2 여성단체
7.2 정책 제언
7.2.1 인천 여성정책 방향
7.2.2 인천시 여성정책 주류화를 위한 제언
2. 여성정책에 대한 개념적 검토
2.1 ‘부녀복지’에서 ‘여성복지’의 행정으로
2.2 여성정책의 개념
3. 인천광역시 여성현황
3.1 인천여성의 일반 현황
3.1.1 인구 및 가족
3.1.2 경제활동
3.1.3 교육
3.1.4 복지
3.1.5 정치사회참여
3.2 여성단체 현황
4. 주요 시도의 여성정책 비교
4.1 인천광역시 여성정책(2000)
4.2 주요 시도와 인천광역시의 여성정책 비교
4.2.1 서울특별시 여성정책:[새서울 여성정책 3개년 계획]
4.2.2 경기도 여성정책: [경기여성발전 중장기 실천계획]
4.2.3 서울시, 경기도, 그리고 인천시 여성정책의 비교
5. 인천 일반여성 의식조사 결과
5.1 응답자의 일반 사항
5.2 가족 생활과 자녀 양육
5.2.1 자녀양육 : 탁아 및 방과후 시설
5.2.2 가족관계 및 성 안정성
5.3 경제활동
5.3.1 경제활동 실태 및 복지욕구
5.3.2 비경제활동 실태 및 복지욕구
5.3.3 직업훈련 욕구 및 취업대책
5.4 사회참여
5.4.1 활동 내용
5.4.2 여성단체활동
5.5 성평등 의식
5.5.1 여성의 노동권
5.5.2 여성의 정치활동
5.5.3 가족관계
5.5.4 성규범
5.6 여성정책 인식과 여성사회교육기관에 대한 태도
5.6.1 여성정책에 대한 인식
5.6.2 여성사회교육기관에 대한 태도
6. 인천 여성단체 의식조사 결과
6.1 응답자의 일반사항
6.2 활동 및 목적
6.3 재정상황
6.4 여성단체와 지자체와의 관계
6.4.1 여성단체와 지자체의 교류
6.4.2 여성단체 활성화를 위한 요구
6.5 여성정책 인식
7. 결론 및 정책 제언
7.1 설문결과 요약
7.1.1 일반여성
7.1.2 여성단체
7.2 정책 제언
7.2.1 인천 여성정책 방향
7.2.2 인천시 여성정책 주류화를 위한 제언
동일 저자 보고서
더보기- 전화번호
- 이메일
- 학위
- 전공 및 담당업무